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지질 및 지반조사 자료 관리 현황에 대한 실용적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952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건설 시공의 정보화에 더불어 이를 이용한 원가 및 비용 절감 방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조물의 설계에서 필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지질 및 지반정보의 관리 현황을 파악하여 비교ㆍ분석하여 보다 나은 활용성을 가진 관리 시스템을 만드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현재 지질 및 지반 정보는 한국 지질자원 연구원의 지질도 및 지질공학도 그 외 여러 가지 주제도, 한국광물공사의 국가광물자원지리정보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지반정보 포털시스템의 시추정보, 서울특별시의 지반정보시스템, 해양조사원의 종합해양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수집 및 관리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건설 시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하수 정보는 한국수자원공사의 국가지하수정보센터와 한국농어촌공사의 농어촌지하수넷을 통하여 그 정보를 수집·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정부 출연 연구소에서 수집 및 관리되고 있는 지질 및 지반 정보의 종류를 소개하며, 미국, 일본,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는 관리 시스템과의 비교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형태의 자료제공 및 관리 시스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들어, 건설 시공의 정보화에 더불어 이를 이용한 원가 및 비용 절감 방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조물의 설계에서 필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

      최근 들어, 건설 시공의 정보화에 더불어 이를 이용한 원가 및 비용 절감 방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조물의 설계에서 필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지질 및 지반정보의 관리 현황을 파악하여 비교ㆍ분석하여 보다 나은 활용성을 가진 관리 시스템을 만드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현재 지질 및 지반 정보는 한국 지질자원 연구원의 지질도 및 지질공학도 그 외 여러 가지 주제도, 한국광물공사의 국가광물자원지리정보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지반정보 포털시스템의 시추정보, 서울특별시의 지반정보시스템, 해양조사원의 종합해양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수집 및 관리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건설 시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하수 정보는 한국수자원공사의 국가지하수정보센터와 한국농어촌공사의 농어촌지하수넷을 통하여 그 정보를 수집·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정부 출연 연구소에서 수집 및 관리되고 있는 지질 및 지반 정보의 종류를 소개하며, 미국, 일본,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는 관리 시스템과의 비교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형태의 자료제공 및 관리 시스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on the cost reduction and savings during the construction activities with the development of automation and computerized information system. Considering the cost savings during the construction, the development of the geological and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with high practical use becomes very important since the geologic and geotechnical data are required for the design of the various structures. Currently, the geological and geotechnical data are collected and distributed as a geological/geotechnical map or engineering geology map and map with other specific purpose through geoinfo system at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orea Mineral Resources GIS at Korea Mineral Resources Corporation, Geotechnical Information Portal System a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at the City of Seoul and the Ocean Data Integration Material System at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Furthermore, the information on the groundwater is monitored and collected via Integrated Ground Water Information Service a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and Rural Groundwater net at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geological and geotechnical data collected from the above mentioned government organization are compared and the DB and distribution system with higher utilization are suggested based on the comparisons with those from other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of America, Japan and Germany.
      번역하기

      Recently,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on the cost reduction and savings during the construction activities with the development of automation and computerized information system. Considering the cost savings during the construction, the develop...

      Recently,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on the cost reduction and savings during the construction activities with the development of automation and computerized information system. Considering the cost savings during the construction, the development of the geological and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with high practical use becomes very important since the geologic and geotechnical data are required for the design of the various structures. Currently, the geological and geotechnical data are collected and distributed as a geological/geotechnical map or engineering geology map and map with other specific purpose through geoinfo system at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orea Mineral Resources GIS at Korea Mineral Resources Corporation, Geotechnical Information Portal System a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at the City of Seoul and the Ocean Data Integration Material System at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Furthermore, the information on the groundwater is monitored and collected via Integrated Ground Water Information Service a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and Rural Groundwater net at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geological and geotechnical data collected from the above mentioned government organization are compared and the DB and distribution system with higher utilization are suggested based on the comparisons with those from other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of America, Japan and German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국내 지질조사자료 종류 및 관리현황
      • 3. 국내 지반조사자료 종류 및 관리현황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국내 지질조사자료 종류 및 관리현황
      • 3. 국내 지반조사자료 종류 및 관리현황
      • 4. 국내 지하수 자료 종류 및 관리현황
      • 5. 해외 지질 및 지반조사 자료 통합관리 및 공동활용 사례 조사
      • 6.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정보시스템"

      2 "한국수자원공사 국가지하수정보센터"

      3 "한국농어촌공사 농촌지하수넷"

      4 "한국광물자원공사 국가광물자원지리정보망"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

      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발" 건설교통부 337-350, 2001

      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발" 건설교통부 136-139, 2009

      8 국토해양부, "지반 조사성과 전산화 및 활용에 관한 지침" 191-352, 2009

      9 "서울시 지반정보통합관리시스템"

      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지하정보 건설분야 활용기술개발" 국토해양부 5-38, 2010

      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정보시스템"

      2 "한국수자원공사 국가지하수정보센터"

      3 "한국농어촌공사 농촌지하수넷"

      4 "한국광물자원공사 국가광물자원지리정보망"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

      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발" 건설교통부 337-350, 2001

      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발" 건설교통부 136-139, 2009

      8 국토해양부, "지반 조사성과 전산화 및 활용에 관한 지침" 191-352, 2009

      9 "서울시 지반정보통합관리시스템"

      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지하정보 건설분야 활용기술개발" 국토해양부 5-38, 2010

      11 "국립해양조사원"

      12 "U.S. Geological Survey"

      13 Dearman W. R., "The preparation of maps and plans in terms of engineering geology; Report by Geological Society Engineering Group Working Part" 5 (5): 295-382, 1972

      14 "Landesamt fur Bergbau, Energie und Geologie"

      15 "Geological survey of Japan"

      16 Jang, Y. G., "Development of geotechnical information computerization system based on site investigation standard format" 227-230, 2012

      17 Jang, Y. G., "A study on integrated management plan of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for preventing earthquake and steep slope" 446-449, 2012

      18 한국공간정보통신, "2006년도 국토지반정보 DB구축사 업(DB구축 및 시스템개발)" 건설교통부 181-265, 2006

      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2년 건설 시추정보 전산화 사업" 국토해양부 170-195, 2012

      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1년 건설 시추정보 전산화 사업" 국토해양부 171-195, 2011

      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년 건설 시추정보 DB구축" 국토해양부 72-105,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6 0.26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9 0.46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