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기 사회사업 개념 형성에 미친 외원단체 활동의 영향  :  (<카나다 유니테리안 봉사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6881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주제는 초기 사회사업 개념 형성에 의원단체들의 활동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라는 것이다. 한국 사회사업의 시작이래 일반인들은 사회사업을 자선사업이나 시설사업 또는 구호사업으로 인식해왔다. 이러한 '통속적인 사회사업 개념'은 '사회문제에 대한 과학적 접근'으로 주장되는 '전문사회사업 개념'과 큰 간극을 보이며 긴장을 내포하고 있다. 사회사업 개념에 있어서 이러한 긴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통속적인 사회사업을 전개해 온 의원단체들이 1950년대 후반부터 전문사회사업을 시작하면서부터이다. 이 글에서는 의원단체 가운데 전문사회사업을 소개하고 실천하는데 있어 현저한 활동을 한 것으로 거론되는 <카나다 유니테리안 봉사회>의 사회사업 실천사례를 고찰하였다.
      <카다다 유니테리안 봉사회>의 사회사업 실천은 1950년대 말 구호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능적 필요성과 한국의 대학에서 교육받은 사회사업가들이 일반 구호종사자들과 자신들을 구분하기 위해 전문사회사업 방법을 적용하려 했다는 조건이 결합되어 시작된 것으로 밝혀졌다. 전문사회사업은 가정복지사업과 의료사회사업, 육아원지도사업 및 지역사회복지관 사업 등의 형태로 나타났다. 치료적 사회사업 모델에 입각하여 사회사업가들은 '제도'보다는 '개인'에 초점을 두는 개별사회사업에 경도되었다.
      <봉사회>와 같은 의원단체의 활동이 초기 사회사업 개념 형성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사회사업가를 중심으로 한 내부집단에 대한 전문사회사업 개념의 형성에 크게 기여하였다. 전문사회사업의 이론과 방법을 소개하였으며 전문사회사업 실천을 위한 무대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원단체 활동의 영향은 중요하게 평가되어야 한다. 둘째, <봉사화>를 비롯한 의원단체들은 사회사업 대상자를 포함한 일반인들 사이에 통속적 사회사업 개념을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 반면 전문사회사업 개념을 형성하는데는 성공적이지 못하였다. 의원단체들은 자체 특성들로 인하여 통속적 사회사업 개념에 부합되는 활동을 주로 전개하였고, 사회사업 대상자들과 일반인들은 그것을 사회사업으로 받아들였던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의 주제는 초기 사회사업 개념 형성에 의원단체들의 활동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라는 것이다. 한국 사회사업의 시작이래 일반인들은 사회사업을 자선사업이나 시설사업 또는 구호...

      이 논문의 주제는 초기 사회사업 개념 형성에 의원단체들의 활동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라는 것이다. 한국 사회사업의 시작이래 일반인들은 사회사업을 자선사업이나 시설사업 또는 구호사업으로 인식해왔다. 이러한 '통속적인 사회사업 개념'은 '사회문제에 대한 과학적 접근'으로 주장되는 '전문사회사업 개념'과 큰 간극을 보이며 긴장을 내포하고 있다. 사회사업 개념에 있어서 이러한 긴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통속적인 사회사업을 전개해 온 의원단체들이 1950년대 후반부터 전문사회사업을 시작하면서부터이다. 이 글에서는 의원단체 가운데 전문사회사업을 소개하고 실천하는데 있어 현저한 활동을 한 것으로 거론되는 <카나다 유니테리안 봉사회>의 사회사업 실천사례를 고찰하였다.
      <카다다 유니테리안 봉사회>의 사회사업 실천은 1950년대 말 구호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능적 필요성과 한국의 대학에서 교육받은 사회사업가들이 일반 구호종사자들과 자신들을 구분하기 위해 전문사회사업 방법을 적용하려 했다는 조건이 결합되어 시작된 것으로 밝혀졌다. 전문사회사업은 가정복지사업과 의료사회사업, 육아원지도사업 및 지역사회복지관 사업 등의 형태로 나타났다. 치료적 사회사업 모델에 입각하여 사회사업가들은 '제도'보다는 '개인'에 초점을 두는 개별사회사업에 경도되었다.
      <봉사회>와 같은 의원단체의 활동이 초기 사회사업 개념 형성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사회사업가를 중심으로 한 내부집단에 대한 전문사회사업 개념의 형성에 크게 기여하였다. 전문사회사업의 이론과 방법을 소개하였으며 전문사회사업 실천을 위한 무대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원단체 활동의 영향은 중요하게 평가되어야 한다. 둘째, <봉사화>를 비롯한 의원단체들은 사회사업 대상자를 포함한 일반인들 사이에 통속적 사회사업 개념을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 반면 전문사회사업 개념을 형성하는데는 성공적이지 못하였다. 의원단체들은 자체 특성들로 인하여 통속적 사회사업 개념에 부합되는 활동을 주로 전개하였고, 사회사업 대상자들과 일반인들은 그것을 사회사업으로 받아들였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opic of this paper is the impacts of foreign voluntary agencies on the conception formation of social work in Korea Koreans in general recall charity, relief work or orphanage management when they gear social work. I define it as the lay conception of social work as compared to the professional conception of social work which stresses on the scientific approach to social problems. These two conceptions of social work differ in their perception on the social worker's role and status in society.
      Foreign voluntary agencies, which had been practicing social work of lay conception, suddenly introduced professional social work such as social case work in the late 1950s USCC was one of the major agencies which hired social case workers.
      There are two conditions for USCC to introduce social case work: one was the need of USCC to facilitate the relief work and the other was the existence of social workers educated in Korean universities. Social case work was practiced in family welfare work, medical case work, orphanage work and social center programs. Social workers who studied medical, curative social work focused on the 'individual problem' rather than 'structural failure' in their case work practices.
      USCC like some other foreign voluntary agencies ha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social work conception in the following contexts. It had contributed to the conception formation of professional social work within the social workers; it introduced ideas and methods of social work and supplied practice fields for the social workers. Its contribution to introduce and to practice professional social work should be appreciated properly in Korean social work history. But at the same time, foreign voluntary agencies including USCC, had contributed the formation of lay conception of social work. Their major missions were still the one rather than professional social work itself. They had practiced charity, philantrophy and relief work. Therefore Koreans in general considered their work as social work.
      A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a need to understand the existence of dual conception of social work and to resolve the tensions between the two conceptions of social work. Much efforts to develop the professional social work should be pursued, and at the same time much more energy must be exerted to diffuse the conception of professional social work towards the general public.
      번역하기

      The topic of this paper is the impacts of foreign voluntary agencies on the conception formation of social work in Korea Koreans in general recall charity, relief work or orphanage management when they gear social work. I define it as the lay concepti...

      The topic of this paper is the impacts of foreign voluntary agencies on the conception formation of social work in Korea Koreans in general recall charity, relief work or orphanage management when they gear social work. I define it as the lay conception of social work as compared to the professional conception of social work which stresses on the scientific approach to social problems. These two conceptions of social work differ in their perception on the social worker's role and status in society.
      Foreign voluntary agencies, which had been practicing social work of lay conception, suddenly introduced professional social work such as social case work in the late 1950s USCC was one of the major agencies which hired social case workers.
      There are two conditions for USCC to introduce social case work: one was the need of USCC to facilitate the relief work and the other was the existence of social workers educated in Korean universities. Social case work was practiced in family welfare work, medical case work, orphanage work and social center programs. Social workers who studied medical, curative social work focused on the 'individual problem' rather than 'structural failure' in their case work practices.
      USCC like some other foreign voluntary agencies ha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social work conception in the following contexts. It had contributed to the conception formation of professional social work within the social workers; it introduced ideas and methods of social work and supplied practice fields for the social workers. Its contribution to introduce and to practice professional social work should be appreciated properly in Korean social work history. But at the same time, foreign voluntary agencies including USCC, had contributed the formation of lay conception of social work. Their major missions were still the one rather than professional social work itself. They had practiced charity, philantrophy and relief work. Therefore Koreans in general considered their work as social work.
      A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a need to understand the existence of dual conception of social work and to resolve the tensions between the two conceptions of social work. Much efforts to develop the professional social work should be pursued, and at the same time much more energy must be exerted to diffuse the conception of professional social work towards the general publi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의 제기
      • Ⅱ. 봉사회의 내한과 통속적 사회사업의 전개(1962-1968)
      • Ⅲ. 개별사회사업이 시작
      • 1. 개별사회사업을 시작한 배경
      • 2. 개별사회사업의 소개와 전파
      • Ⅰ. 문제의 제기
      • Ⅱ. 봉사회의 내한과 통속적 사회사업의 전개(1962-1968)
      • Ⅲ. 개별사회사업이 시작
      • 1. 개별사회사업을 시작한 배경
      • 2. 개별사회사업의 소개와 전파
      • 3. 개별사회사업의 내용
      • Ⅳ. 개인에서 지역사회로: 새로운 지평의 개척
      • Ⅴ. 맺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