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 眞平王 시기 백제 관계와 薯童 說話 -역사의 충돌과 설화의 화해- = The Relationship with Baekje and the Story of Seodong during the Reign of King Jinpyeong of Silla -The clash of History and The Reconciliation of a 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26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garding the period of King Jinpyeong of Silla, it was noted that the three kingdoms were united by the establishment of political ideology and efforts to stabilize the authority of Queen Seondeok. However, this conclusion is based on the data left in the position of Silla, which unified the three kingdoms, and the data behind it may not be viewed as such.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the Silla Dynasty and the three ancient kingdoms, this research focused on materials which were largely left behind in the background of this period like Samguksagi and Samgukyusa.
      We looked at the relationship of Baekje and Silla, in the course of the reign of King Jinpyeong and King Mu of Baekje, and tried to look at the history of the time in different ways, using the clash between Silla and Baekje Kingdom and the reconciliation. As a result, Silla, who fought against King Mu of Baekje, felt a sense of national crisis rather than the stability of the monarchy, and saw its determination to overcome it in times of pain. This may have been the driving force behind Silla's willingness to bring in the Tang and unify the three kingdoms.
      In addition, as for the Seodong story, which had been analyzed a lot from the perspective of Baekje, he also noted what it was possible to read from Silla's point of view. The Seodong legend originally entered the Baekje kingdom by accepting Mahan's King Mughang's myth during the reign of King Mu of Baekje, but since Silla's integration, it has also been transformed from the position of Silla. This shows that during the period of King Jinpyeong of Silla, King Mu of Baekje was actually a series of fierce conflicts throughout history, but in the storyline, the relationship was very close.
      번역하기

      Regarding the period of King Jinpyeong of Silla, it was noted that the three kingdoms were united by the establishment of political ideology and efforts to stabilize the authority of Queen Seondeok. However, this conclusion is based on the data left i...

      Regarding the period of King Jinpyeong of Silla, it was noted that the three kingdoms were united by the establishment of political ideology and efforts to stabilize the authority of Queen Seondeok. However, this conclusion is based on the data left in the position of Silla, which unified the three kingdoms, and the data behind it may not be viewed as such.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the Silla Dynasty and the three ancient kingdoms, this research focused on materials which were largely left behind in the background of this period like Samguksagi and Samgukyusa.
      We looked at the relationship of Baekje and Silla, in the course of the reign of King Jinpyeong and King Mu of Baekje, and tried to look at the history of the time in different ways, using the clash between Silla and Baekje Kingdom and the reconciliation. As a result, Silla, who fought against King Mu of Baekje, felt a sense of national crisis rather than the stability of the monarchy, and saw its determination to overcome it in times of pain. This may have been the driving force behind Silla's willingness to bring in the Tang and unify the three kingdoms.
      In addition, as for the Seodong story, which had been analyzed a lot from the perspective of Baekje, he also noted what it was possible to read from Silla's point of view. The Seodong legend originally entered the Baekje kingdom by accepting Mahan's King Mughang's myth during the reign of King Mu of Baekje, but since Silla's integration, it has also been transformed from the position of Silla. This shows that during the period of King Jinpyeong of Silla, King Mu of Baekje was actually a series of fierce conflicts throughout history, but in the storyline, the relationship was very clo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신라 진평왕 시기에 대해서는 그동안 정치 이데올로기의 완비를 통해 왕권을 안정시켰고, 이어지는 선덕여왕의 왕권 안정을 위해 노력하면서 삼국 통합의 기반을 다졌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하지만 이는 삼국을 통합한 신라의 입장에서 남겨진 자료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이며, 그 이면의 자료를 통해서는 그렇게 바라보지 않을 수도 있다.
      본고는 신라 진평왕 시기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한 자료로, 이 시기를 배경으로 하여 많이 남겨진 ≪삼국사기≫ 열전과 ≪삼국유사≫ 속의 인물 설화 기록을 주목하였다. 그리고 당시 백제와의 관계를 성왕 시기부터의 흐름 속에서 살펴보면서, 신라 진평왕과 백제 무왕 시기에 벌어진 역사의 충돌 상황과 설화 속의 화해를 키워드로 삼아 당시의 역사상을 다른 측면에서 검토하려고 노력하였다. 그 결과 진평왕 시기의 신라는 백제 무왕과 사활을 건 전쟁을 수행하면서 왕권의 안정보다는 국가적 위기감을 더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고통의 시간 속에서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처절한 의지를 살펴볼 수 있었다. 어쩌면 이러한 점이 이후 신라가 당나라를 어떻게든 끌어들여 삼국을 통합하려 했던 의지의 원동력이 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또한, 그 동안 백제의 입장에서 많이 분석되었던 서동 설화에 대하여, 신라의 입장에서는 어떤 점을 읽어낼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주목하였다. 서동 설화는 본래 백제 무왕 시기에 마한의 무강왕 신화를 받아들여 백제 신화 체계에 들어온 것이지만, 신라의 백제 통합 이후에는 백제인을 회유하기 위한 사상 통합의 일환으로, 신라의 입장에서 변용된 설화적 진실도 내포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신라 진평왕 시기에 백제 무왕과는 실제 역사적으로 치열한 충돌의 연속이었지만, 설화 속에서는 매우 친밀한 관계로 화해시키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신라 진평왕 시기에 대해서는 그동안 정치 이데올로기의 완비를 통해 왕권을 안정시켰고, 이어지는 선덕여왕의 왕권 안정을 위해 노력하면서 삼국 통합의 기반을 다졌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신라 진평왕 시기에 대해서는 그동안 정치 이데올로기의 완비를 통해 왕권을 안정시켰고, 이어지는 선덕여왕의 왕권 안정을 위해 노력하면서 삼국 통합의 기반을 다졌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하지만 이는 삼국을 통합한 신라의 입장에서 남겨진 자료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이며, 그 이면의 자료를 통해서는 그렇게 바라보지 않을 수도 있다.
      본고는 신라 진평왕 시기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한 자료로, 이 시기를 배경으로 하여 많이 남겨진 ≪삼국사기≫ 열전과 ≪삼국유사≫ 속의 인물 설화 기록을 주목하였다. 그리고 당시 백제와의 관계를 성왕 시기부터의 흐름 속에서 살펴보면서, 신라 진평왕과 백제 무왕 시기에 벌어진 역사의 충돌 상황과 설화 속의 화해를 키워드로 삼아 당시의 역사상을 다른 측면에서 검토하려고 노력하였다. 그 결과 진평왕 시기의 신라는 백제 무왕과 사활을 건 전쟁을 수행하면서 왕권의 안정보다는 국가적 위기감을 더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고통의 시간 속에서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처절한 의지를 살펴볼 수 있었다. 어쩌면 이러한 점이 이후 신라가 당나라를 어떻게든 끌어들여 삼국을 통합하려 했던 의지의 원동력이 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또한, 그 동안 백제의 입장에서 많이 분석되었던 서동 설화에 대하여, 신라의 입장에서는 어떤 점을 읽어낼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주목하였다. 서동 설화는 본래 백제 무왕 시기에 마한의 무강왕 신화를 받아들여 백제 신화 체계에 들어온 것이지만, 신라의 백제 통합 이후에는 백제인을 회유하기 위한 사상 통합의 일환으로, 신라의 입장에서 변용된 설화적 진실도 내포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신라 진평왕 시기에 백제 무왕과는 실제 역사적으로 치열한 충돌의 연속이었지만, 설화 속에서는 매우 친밀한 관계로 화해시키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朱甫暾, "한국사 7" 국사편찬위원회 1997

      2 문경현, "진한의 철산과 신라의 강성" 7.8 : 1973

      3 곽장근, "장수군 제철유적의 분포양상과 그 의미" 호남고고학회 57 : 4-25, 2017

      4 양기석, "위덕왕의 즉위와 집권세력의 변화"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5 장경호, "아름다운 백제건축" 주류성 2004

      6 김현자, "신화, 신들의 역사 인간의 이미지" 책세상 2004

      7 정운용, "신라와의 관계"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8 김재경, "신라 토착신앙과 불교의 융합사상사 연구" 民族社 2007

      9 고현아, "신라 진흥왕계 왕실의 구축과 정치 이념 연구" 가톨릭대학교 2016

      10 이정숙, "신라 중고기 정치사회 연구" 혜안 2012

      1 朱甫暾, "한국사 7" 국사편찬위원회 1997

      2 문경현, "진한의 철산과 신라의 강성" 7.8 : 1973

      3 곽장근, "장수군 제철유적의 분포양상과 그 의미" 호남고고학회 57 : 4-25, 2017

      4 양기석, "위덕왕의 즉위와 집권세력의 변화"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5 장경호, "아름다운 백제건축" 주류성 2004

      6 김현자, "신화, 신들의 역사 인간의 이미지" 책세상 2004

      7 정운용, "신라와의 관계"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8 김재경, "신라 토착신앙과 불교의 융합사상사 연구" 民族社 2007

      9 고현아, "신라 진흥왕계 왕실의 구축과 정치 이념 연구" 가톨릭대학교 2016

      10 이정숙, "신라 중고기 정치사회 연구" 혜안 2012

      11 신선혜, "신라 중고기 僧職의 설치와 僧團" 한국불교연구원 (46) : 179-207, 2017

      12 金哲埈, "신라 상대사회의 Dual Organization(下)" 2 : 1952

      13 안지원, "신라 眞平王代帝釋信仰과" 63 : 1997

      14 신은이, "보덕국의 탄생과 그 의미" 대구사학회 132 : 237-273, 2018

      15 김수태, "백제의 전쟁" 주류성 2007

      16 김성구, "백제의 와전 예술" 주류성 2004

      17 조경철, "백제 익산 彌勒寺 창건의 신앙적 배경 —彌勒信仰과 法華信仰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32) : 1-37, 2009

      18 강종원, "백제 무왕의 대신라 강경책과 그 배경" 백제연구소 (65) : 157-183, 2017

      19 김수태, "백제 무왕대의 미륵사 서탑 사리 봉안" 신라사학회 (16) : 5-44, 2009

      20 김수태, "백제 무왕대의 대신라 관계" 백제문화연구소 1 (1): 61-93, 2010

      21 김상현, "백제 무왕대 불교계의 동향과 미륵사" 고려사학회 (37) : 7-31, 2009

      22 이장웅, "백제 法王의 정치와 불교" 역사문화학회 21 (21): 201-234, 2018

      23 문경현, "백제 武王과 善花公主攷" 신라사학회 (19) : 297-355, 2010

      24 권영필, "문명의 충돌과 미술의 화해" 두성북스 2011

      25 조법종, "고구려유민의 백제 金馬渚 배치와 報德國" 한국고대사학회 (78) : 97-138, 2015

      26 이병호, "경주 출토 백제계 기와 제작기술의 도입과정-傳 흥륜사지 출토품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69) : 5-56, 2013

      27 李基白, "韓國古代政治社會史硏究" 一潮閣 1996

      28 高翊晋, "韓國古代佛敎思想史" 동국대 출판부 1989

      29 金福順, "韓國古代佛敎史硏究" 민족사 2002

      30 "釋迦譜"

      31 "觀世音應驗記"

      32 "舊唐書"

      33 李晶淑, "眞平王代王權强化와 帝釋信仰" 16 : 1999

      34 이장웅, "百濟의 馬韓 薯童(武康王) 神話 수용과 益山 彌勒寺" 한국역사민속학회 (38) : 7-48, 2012

      35 盧重國, "百濟武王과 知命法師" 107 : 1999

      36 김수태, "百濟威德王의 정치와 외교" 2 : 2004

      37 "王興寺址舍利器銘文"

      38 윤선태, "武王과 彌勒寺-익산의 역사지리적 환경과 관련하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39 전덕재, "椵岑城의 位置와 그 戰鬪의 역사적 성격" 부산경남사학회 (87) : 1-36, 2013

      40 "梁書"

      41 "日本書紀"

      42 盧重國, "新羅와 百濟의 交涉과 交流" 17.18 : 2000

      43 金杜珍, "新羅眞平王代의 釋迦佛信仰" 10 : 1988

      44 李晶淑, "新羅眞平王代의 政治的性格" 52 : 1986

      45 姜英卿, "新羅眞平王代巫佛關係에 대한 一考察" 13 : 1989

      46 李基白, "新羅初期佛敎와 貴族勢力" 40 : 1975

      47 辛鍾遠, "新羅初期佛敎史硏究" 民族社 1992

      48 朱甫暾, "新羅中古의 地方統治組織에 대하여" 23 : 1979

      49 金瑛河, "新羅中古期의 政治過程試論" 4 : 1988

      50 김덕원, "新羅中古政治史硏究" 景仁文化社 2007

      51 "新增東國輿地勝覽"

      52 "扶餘隆墓誌銘"

      53 南東信, "慈藏의 佛敎思想과 佛敎治國策" 76 : 1992

      54 "彌勒寺址西塔舍利奉安記"

      55 이도학, "彌勒寺址 西塔 「舍利奉安記」의 分析" 백산학회 (83) : 237-267, 2009

      56 양정석, "彌勒寺址 塔址의 調査過程에 대한 檢討" 고려사학회 (36) : 357-395, 2009

      57 吉基泰, "彌勒寺 創建의 信仰的 性格" 한국사상사학회 (30) : 1-33, 2008

      58 신종원, "圓光과 眞平王代의 占察法會" 12 : 1991

      59 "三國遺事"

      60 "三國史記"

      61 Eliade, M, "Cosmos and History : The Myth of Eternal Return" 1959

      62 崔鈆植, "6世紀東아시아 地域의 佛敎擴散過程에 대한 再檢討" 13 : 2011

      63 박종욱, "602년 阿莫城 戰鬪의 배경과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69) : 171-216,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8 0.98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