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개구분출화염에 의한 건물간 화재 전파성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965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rban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n densely populated areas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Most cities have structural weaknesses and cannot prevent all natural disasters, fires, and calamities. Many places are also vulnerable to catastro...

      Urban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n densely populated areas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Most cities have structural weaknesses and cannot prevent all natural disasters, fires, and calamities. Many places are also vulnerable to catastrophes, such as old houses standing close together. In Korea, the frequency of earthquakes has risen since the 1990s. As it has been reported that conflagrations triggered by earthquakes often lead to more injuries, fatalities and property damage in other countries, Korean urban regions are vulnerable to fires as well. As a result of experiments to evaluate the risk of fire spreading between buildings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buildings and the presence of eaves, jet inflame coming out of the opening of buildings has a great influence as the distance between buildings gets close, and high temperature and heat flux are shown due to heat accumulation when buildings has eav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본 연구관련 동향
      • 3. 우리나라의 도시화재 위험성
      • 4. 국내 화재경계지구의 가연물 조사
      • Abstract
      • 1. 서론
      • 2. 본 연구관련 동향
      • 3. 우리나라의 도시화재 위험성
      • 4. 국내 화재경계지구의 가연물 조사
      • 5. 인동건물의 영향을 고려한 개구분출화염 성상 실험
      • 6.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이철, "방재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화재의 물리적 연소성상 예측모델 구축에 관한 조사 및 실험적 연구" (19) : 247-272, 2009

      2 강양석, "도시기본계획의 방재계획 부문에서 설정되어야 할 지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7-29, 2007

      3 강양석, "도시기본계획의 방재계획 부문에서 설정되어야 할 지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7-29, 2007

      4 최인창, "건축물 외벽 개구부로의 분출화염특성을 고려한 적정 차양형태에 관한 연구 -수평차양의 돌출길이와 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21 (21): 261-268, 2005

      5 신이철, "건물간격에 따른 개구분출화염의 성상에 대한 실험" 34-39, 2009

      6 추연희, "가연물의 가연조건에 다른 화재성상 예측 연구" 경북대학교 2002

      7 신이철, "韓國における火災警戒地區の實態及び市街地火災シミュレーションを活用した火災危險性評價"

      8 高橋祥央, "物理的延燒メカニズムに基づく市街地火災延燒シミュレーションモデルの構築-有風下における噴出火炎性狀の實驗的解明とモデルの應用"

      9 日本建築硏究所, "市街地の延燒危險性評價手法の開發"

      10 日本建築學會, "局所火災に対する耐火設計をえる"

      1 신이철, "방재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화재의 물리적 연소성상 예측모델 구축에 관한 조사 및 실험적 연구" (19) : 247-272, 2009

      2 강양석, "도시기본계획의 방재계획 부문에서 설정되어야 할 지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7-29, 2007

      3 강양석, "도시기본계획의 방재계획 부문에서 설정되어야 할 지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7-29, 2007

      4 최인창, "건축물 외벽 개구부로의 분출화염특성을 고려한 적정 차양형태에 관한 연구 -수평차양의 돌출길이와 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21 (21): 261-268, 2005

      5 신이철, "건물간격에 따른 개구분출화염의 성상에 대한 실험" 34-39, 2009

      6 추연희, "가연물의 가연조건에 다른 화재성상 예측 연구" 경북대학교 2002

      7 신이철, "韓國における火災警戒地區の實態及び市街地火災シミュレーションを活用した火災危險性評價"

      8 高橋祥央, "物理的延燒メカニズムに基づく市街地火災延燒シミュレーションモデルの構築-有風下における噴出火炎性狀の實驗的解明とモデルの應用"

      9 日本建築硏究所, "市街地の延燒危險性評價手法の開發"

      10 日本建築學會, "局所火災に対する耐火設計をえる"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4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