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통합된 이진화 구조를 가진 복합기용 1-Chip 영상처리 프로세서의 개발 = Single chip multi-function peripheral image processor with unified binarization architec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852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복합기에 사용할 수 있는 고속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된 영상 처리 프로세스는 단일화 된 데이터 경로를 가진 이진화 알고리듬 아키텍쳐를 가진다. 외부 메모리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화소별 파이프라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쉐이딩 보정, 감마 보정, 자동이득조절과 같은 전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CCD와 CIS를 구동한다. 전처리된 데이터는 확대/축소 과정을 거치고 다양한 이진화 알고리듬에 의해 이진화된다. 내장된 이진화 알고리듬은 단순이진화, 고대역 통과 필터링, 디더링, 오차확산법, 임계값이동 오차확산법이다. 이들 알고리듬의 구현은 임계값 이동 오차확산법에 기반을 두고 동일한 동작을 하는 회로들을 공유하도록 데이터 경로를 설계하였다. 이 구조를 구현함에 의해 제어의 복잡도와 게이트 카운터를 줄일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복합기에 사용할 수 있는 고속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된 영상 처리 프로세스는 단일화 된 데이터 경로를 가진 이진화 알고리듬 아키텍쳐를 가...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복합기에 사용할 수 있는 고속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된 영상 처리 프로세스는 단일화 된 데이터 경로를 가진 이진화 알고리듬 아키텍쳐를 가진다. 외부 메모리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화소별 파이프라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쉐이딩 보정, 감마 보정, 자동이득조절과 같은 전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CCD와 CIS를 구동한다. 전처리된 데이터는 확대/축소 과정을 거치고 다양한 이진화 알고리듬에 의해 이진화된다. 내장된 이진화 알고리듬은 단순이진화, 고대역 통과 필터링, 디더링, 오차확산법, 임계값이동 오차확산법이다. 이들 알고리듬의 구현은 임계값 이동 오차확산법에 기반을 두고 동일한 동작을 하는 회로들을 공유하도록 데이터 경로를 설계하였다. 이 구조를 구현함에 의해 제어의 복잡도와 게이트 카운터를 줄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high-speed image processor (HIP) is implemented for a high-speed multi-function peripheral. HIP has a binarization architecture with unified data path. It has the pixel-by-pixel pipelined processing to minimize size of the external memory. It performs pre-processing such as shading correction, automatic gain control (AGC), and gamma correction, and also drives external CCD or CIS modules. The pre-processed data can be enlarged or reduced. Various binarizatin algorithms can be processed in the unified archiecture. The embedded binarization algorithms are simple thresholding, high pass filtering, dithering, error diffusion, and thershold modulated error diffusion. These binarization algorithms are unified based on th threshold modulated error diffusion. The data path is designed to share the common functional block of the binarization algorithms. The complexity of the controls and the gate counts is greatly reduced with this novel architecture.
      번역하기

      A high-speed image processor (HIP) is implemented for a high-speed multi-function peripheral. HIP has a binarization architecture with unified data path. It has the pixel-by-pixel pipelined processing to minimize size of the external memory. It perfor...

      A high-speed image processor (HIP) is implemented for a high-speed multi-function peripheral. HIP has a binarization architecture with unified data path. It has the pixel-by-pixel pipelined processing to minimize size of the external memory. It performs pre-processing such as shading correction, automatic gain control (AGC), and gamma correction, and also drives external CCD or CIS modules. The pre-processed data can be enlarged or reduced. Various binarizatin algorithms can be processed in the unified archiecture. The embedded binarization algorithms are simple thresholding, high pass filtering, dithering, error diffusion, and thershold modulated error diffusion. These binarization algorithms are unified based on th threshold modulated error diffusion. The data path is designed to share the common functional block of the binarization algorithms. The complexity of the controls and the gate counts is greatly reduced with this novel architectu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