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이중언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이중언어강사 업무 분석을 중심으로- = Current Status and Tasks of Multicultural Bilingu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86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multicultural bilingual education has been progressing in the public education field and to discuss problems and improvement. To do this, we analyze the duties and roles of bilingual education teachers and investigat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their work.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FGI), multicultural bilingual education has not been realized at school due to institutional constraints. The main reason is that the demand for bilingual education can not be grasped closely. As the demand for education and the supply of instructors do not coincide, bilingual instructors placed at each school are not able to provide actual education. Also, bilingual education teachers are not doing the original role in the school and doing other unintended tasks such a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for general Korean students.
      For the active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bilingu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ducational context where bilingual education is possible,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is required according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multicultural bilingual education has been progressing in the public education field and to discuss problems and improvement. To do this, we analyze the duties and roles of bilingual education teachers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multicultural bilingual education has been progressing in the public education field and to discuss problems and improvement. To do this, we analyze the duties and roles of bilingual education teachers and investigat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their work.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FGI), multicultural bilingual education has not been realized at school due to institutional constraints. The main reason is that the demand for bilingual education can not be grasped closely. As the demand for education and the supply of instructors do not coincide, bilingual instructors placed at each school are not able to provide actual education. Also, bilingual education teachers are not doing the original role in the school and doing other unintended tasks such a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for general Korean students.
      For the active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bilingu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ducational context where bilingual education is possible,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is required according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진영, "한국 다문화 사회의 이중언어 교육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2 윤석룡, "초.중등학교 다문화 언어강사 제도 개선 방안: 다문화 언어 강사 직무스트레스 및 관계자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2015

      3 권순희, "이중언어교육의 필요성과 정책 제안" 국어교육학회 (34) : 57-115, 2009

      4 정해숙, "이중언어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13

      5 장인실, "이중언어강사의 역할과 발전적 활용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12

      6 먼 리 리, "이중언어강사의 역할, 만족도 및 문제점에 대한 탐색: 서울다솜학교를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8 (8): 39-59, 2015

      7 이현이, "이중언어강사의 역할 분석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먼리리, "서울다솜학교에서 이중언어강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2015

      9 김이선, "다문화가족의 언어 문화 사용 및 세대간 전수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10 이창덕, "다문화 한국 사회를 위한 이중언어교육" (1) : 49-76, 2010

      1 황진영, "한국 다문화 사회의 이중언어 교육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2 윤석룡, "초.중등학교 다문화 언어강사 제도 개선 방안: 다문화 언어 강사 직무스트레스 및 관계자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2015

      3 권순희, "이중언어교육의 필요성과 정책 제안" 국어교육학회 (34) : 57-115, 2009

      4 정해숙, "이중언어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13

      5 장인실, "이중언어강사의 역할과 발전적 활용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12

      6 먼 리 리, "이중언어강사의 역할, 만족도 및 문제점에 대한 탐색: 서울다솜학교를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8 (8): 39-59, 2015

      7 이현이, "이중언어강사의 역할 분석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먼리리, "서울다솜학교에서 이중언어강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2015

      9 김이선, "다문화가족의 언어 문화 사용 및 세대간 전수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10 이창덕, "다문화 한국 사회를 위한 이중언어교육" (1) : 49-76, 2010

      11 홍종명, "다문화 이중언어 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 -결혼이민자 모국어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6 (16): 279-302, 2012

      12 Baker. C., "Foundations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Multilingual Matters Ltd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 1.56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