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안교육의 사상적 기반으로서 이찬갑의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Lee Chan Gap As a Basis of Alternativ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420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 educational thoughts of Lee Chan Gap, founder of the Poolmoo School. Lee, a graduate of Osan School, had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Yi Sung Hun, Grundtvig, and Kim Gyo Shin. He believed "awakening" to be an educational aim and emphasized common people as educational objects who had not been given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a long time. He also thought that teaching language and history was the most important task of schooling. A village, he believed, can be a place of schooling and it can be improved through schooling. These ideas were implemented by the Poolmoo School, and are now being carried out there. Lee's educational thoughts have been an important educational basis of alternative education. This study on Lee Chan Gap could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new direction to overcome the confusion in our education today.
      번역하기

      This study is on the educational thoughts of Lee Chan Gap, founder of the Poolmoo School. Lee, a graduate of Osan School, had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Yi Sung Hun, Grundtvig, and Kim Gyo Shin. He believed "awakening" to be an educational aim a...

      This study is on the educational thoughts of Lee Chan Gap, founder of the Poolmoo School. Lee, a graduate of Osan School, had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Yi Sung Hun, Grundtvig, and Kim Gyo Shin. He believed "awakening" to be an educational aim and emphasized common people as educational objects who had not been given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a long time. He also thought that teaching language and history was the most important task of schooling. A village, he believed, can be a place of schooling and it can be improved through schooling. These ideas were implemented by the Poolmoo School, and are now being carried out there. Lee's educational thoughts have been an important educational basis of alternative education. This study on Lee Chan Gap could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new direction to overcome the confusion in our education tod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풀무학교의 설립자인 이찬갑의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논문이다. 오산학교 출신인 이찬갑은 이승훈, 그룬트비히, 김교신의 영향을 받아 정신적 각성을 교육의 목표로 생각하였고, 오랫동안 교육으로부터 소외되어왔던 평민들을 교육의 대상으로 생각하였다. 그리고 우리 말과 역사를 가르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교육의 내용이라 생각하였다. 학교는 지역공동체와 함께 해야 한다는 신념하에 마을을 교육의 장으로, 교육을 통해 마을을 건설하는 것을 중요한 교육적 과제로 생각하였다. 이러한 그의 교육사상은 풀무학교를 통해 구현되었고, 지금도 시도되고 있다. 이찬갑의 교육사상은 우리나라 대안교육의 중요한 사상적 기반이 되었으며, 이찬갑에 대한 본 연구는 목표의 혼란으로 어려움에 처해있는 우리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새롭게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풀무학교의 설립자인 이찬갑의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논문이다. 오산학교 출신인 이찬갑은 이승훈, 그룬트비히, 김교신의 영향을 받아 정신적 각성을 교육의 목표로 생각하였고, ...

      본 논문은 풀무학교의 설립자인 이찬갑의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논문이다. 오산학교 출신인 이찬갑은 이승훈, 그룬트비히, 김교신의 영향을 받아 정신적 각성을 교육의 목표로 생각하였고, 오랫동안 교육으로부터 소외되어왔던 평민들을 교육의 대상으로 생각하였다. 그리고 우리 말과 역사를 가르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교육의 내용이라 생각하였다. 학교는 지역공동체와 함께 해야 한다는 신념하에 마을을 교육의 장으로, 교육을 통해 마을을 건설하는 것을 중요한 교육적 과제로 생각하였다. 이러한 그의 교육사상은 풀무학교를 통해 구현되었고, 지금도 시도되고 있다. 이찬갑의 교육사상은 우리나라 대안교육의 중요한 사상적 기반이 되었으며, 이찬갑에 대한 본 연구는 목표의 혼란으로 어려움에 처해있는 우리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새롭게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순명, "홍순명 선생님이 들려주시는 풀무학교 이야기" 부키 2006

      2 이찬갑, "풀무학교를 열며" 그물코 2010

      3 이영남, "풀무50년 ‘각성한 존재의 새로운 역사.’ 풀무교육 50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풀무교육 50년: 다시 새날이 그리워 1" 호성문화사 2008

      4 양희규, "전인교육의 변함없는 샘물, 풀무학교 50주년을 축하합니다. 풀무교육 50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풀무교육50년: 다시 새날이 그리워 2" 호성문화사 2008

      5 조현, "울림: 우리가 몰랐던 이 땅의 예수들" 시작 2008

      6 사토마나부,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 에듀케어 2006

      7 송순재, "생명학교, 대안학교, 풀무학교. 풀무교육 50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풀무교육50년: 다시 새날이 그리워 2" 호성문화사 2008

      8 이찬갑, "산 믿음의 새 생활(증보)" 시골문화사 1994

      9 이한기, "밝맑 이찬갑: 풀무학교에 쏟은 열정" (49) : 86-91, 1994

      10 홍순명, "더불어 사는 평민을 기르는 풀무학교 이야기" 내일을 여는 책 1998

      1 홍순명, "홍순명 선생님이 들려주시는 풀무학교 이야기" 부키 2006

      2 이찬갑, "풀무학교를 열며" 그물코 2010

      3 이영남, "풀무50년 ‘각성한 존재의 새로운 역사.’ 풀무교육 50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풀무교육 50년: 다시 새날이 그리워 1" 호성문화사 2008

      4 양희규, "전인교육의 변함없는 샘물, 풀무학교 50주년을 축하합니다. 풀무교육 50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풀무교육50년: 다시 새날이 그리워 2" 호성문화사 2008

      5 조현, "울림: 우리가 몰랐던 이 땅의 예수들" 시작 2008

      6 사토마나부,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 에듀케어 2006

      7 송순재, "생명학교, 대안학교, 풀무학교. 풀무교육 50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풀무교육50년: 다시 새날이 그리워 2" 호성문화사 2008

      8 이찬갑, "산 믿음의 새 생활(증보)" 시골문화사 1994

      9 이한기, "밝맑 이찬갑: 풀무학교에 쏟은 열정" (49) : 86-91, 1994

      10 홍순명, "더불어 사는 평민을 기르는 풀무학교 이야기" 내일을 여는 책 1998

      11 정해진, "대안교육의 사상적 기반으로서의 그룬트비히 교육사상과 실천" 고려대학교 2004

      12 서재복, "남강 이승훈의 민족교육사상 연구" (13) : 137-158, 2008

      13 노평구, "김교신 전집 1: 인생론" 부키 2001

      14 김정환, "김교신" 한국신학연구소 1983

      15 한규무, "기독교민족운동의 영원한 지도자: 이승훈" 역사공간 2008

      16 오혁진, "그룬트비히 교육사상에 기초한 한국 사회교육의 전개과정과 의의"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1-28, 2008

      17 백승종, "그 나라의 역사와 말: 일제시기 한 평민 지식인의 세계관" 그물코 2008

      18 고병헌, "교사, 대안의 길을 묻다" 이매진 2009

      19 Jung, S. K., "A Korean Agricultural School's Integration of ESD within a Regional Community: EIU Best Practices 2009" APCEIU of UNESCO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1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교육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25 2.25 2.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7 1.68 2.64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