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 = The relation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192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시 농촌 간의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도시 농촌 간의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를 비교 연구하는 것은 오늘날 도시 농촌 간의 격차가 경제적으로 학력적으로 날로 극심해지고 양분화 되어가는 시점에서 도시 농촌 학교의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점검해볼 수 있는 뜻깊은 계기가 되리라 본다.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도시 농촌 간의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영향이 서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며 그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와 그 차이점을 만드는 원인을 살펴보고자 했다. 그리하여 농촌지역 중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진로교육을 강조하고 일선 교육에서 자기효능감 및 진로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었다.
      연구대상자는 중학교 3학년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전주시 중학교 100명, 남원시 중학교 100명, 읍면지역 학교 100명 등 4개 학교에서 각각 임의로 표집하여 실시하였으며 이 300명 중 성실하게 대답한 27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로는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로 정원식(1984)이 제작, 이동영(1997)이 수정한 검사지<부모의 양육태도-40문항>를, 자기효능감은 김아영과 차정은(1996)에 의해 개발된 검사지<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24문항>를 사용하였다. 진로성숙도의 측정도구로는 이기학과 한종철(1997)이 개발한 검사지<진로성숙도 검사-47문항>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의 처리 및 통계 분석은 SPSS PC+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을 전체적으로 실시하였고, 변인들의 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농촌 간의 학교소재지에 따른 차이점으로는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모두 농촌지역이 도시지역보다 낮다는 것이다. 부모의 양육태도 하위변인인 성취, 개방, 친애, 자율 등 모든 영역에서 부모 둘 다 농촌지역이 도시지역보다 낮다. 특히 하위변인 중 친애가 다른 요인보다 유의한 차이(p〈.05)를 보이며 농촌이 도시에 비해 더욱 낮게 나온다.
      둘째, 도시나 농촌이나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p〈.05) 부모의 양육태도가 친애일 때 자기효능감이 높으며, 진로성숙도도 높게 나타난다. 이것은 부모의 애정적인 양육태도가 자녀의 자기효능감 형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으며, 자녀의 진로성숙도에도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간에 유의한 차이(p〈.01)가 있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은 진로성숙도도 높다는 것이다.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은 학생은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 중에 특히 준비성, 목적성, 확신성이 높다.
      넷째, 도시지역이 자기효능감의 자신감에 있어 부모의 친애적인 양육태도가 비록 가장 큰 영향을 주고는 있지만, 개방, 자율 등도 골고루 영향을 미치는 반면, 농촌은 친애가 주로 영향을 끼친다. 즉 농촌은 부모의 친애성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자신감이 높은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부모의 친애적 양육태도가 도시에 비해 농촌이 낮아 영향을 덜 미친다는 것이다.
      다섯째, 농촌지역의 학생이 도시지역의 학생보다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준비성 및 확신성이 낮다. 이것은 농촌지역의 학생이 자신의 진로에 대해 스스로 미리 준비하고 결정하는 진로의식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제언을 요약하면, 도시지역이나 농촌지역이나 자녀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긍정적인(애정적, 자율적, 성취적, 합리적) 양육태도가 요구되며, 특히 친애적인 부모 양육태도가 자녀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부모는 자녀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를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관계가 되기 위한 양육태도를 지향하여야 하며, 사회교육기관을 비롯한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부모교육을 실시하여 좋은 부모-자녀 관계의 필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도시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친애적인 부모 양육태도가 낮은 농촌지역의 부모교육을 위해 학교현장을 비롯한 각 지역에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며, 도시 학생에 비해 농촌 학생들에게 부족한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준비성, 확신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방과후 활동이라든지 특기적성 시간을 활용해 실시해야 한다. 진로성숙은 외부 환경적인 요인과 학교교육에 의해 달라지므로 농촌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진로교육을 체계적, 지속적으로 하여 청소년들의 미래의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학생과 부모와 교사와 학교, 지역과 사회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나아가 농촌 학생들이 조금 더 높은 성취 목표를 정하고,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여 바람직한 사회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또한 청소년에게 자신의 환경을 통제하고 조정하는 삶의 주체는 자기 자신이며, 그러한 자신에 대한 소중함을 인식하게 되고 현제나 미래의 행복한 삶은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신의 행위의 결과라는 인식을 다소나마 환기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도시 농촌 간의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도시 농촌 간의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를 비교 연구...

      본 연구는 도시 농촌 간의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도시 농촌 간의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를 비교 연구하는 것은 오늘날 도시 농촌 간의 격차가 경제적으로 학력적으로 날로 극심해지고 양분화 되어가는 시점에서 도시 농촌 학교의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점검해볼 수 있는 뜻깊은 계기가 되리라 본다.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도시 농촌 간의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영향이 서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며 그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와 그 차이점을 만드는 원인을 살펴보고자 했다. 그리하여 농촌지역 중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진로교육을 강조하고 일선 교육에서 자기효능감 및 진로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었다.
      연구대상자는 중학교 3학년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전주시 중학교 100명, 남원시 중학교 100명, 읍면지역 학교 100명 등 4개 학교에서 각각 임의로 표집하여 실시하였으며 이 300명 중 성실하게 대답한 27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로는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로 정원식(1984)이 제작, 이동영(1997)이 수정한 검사지<부모의 양육태도-40문항>를, 자기효능감은 김아영과 차정은(1996)에 의해 개발된 검사지<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24문항>를 사용하였다. 진로성숙도의 측정도구로는 이기학과 한종철(1997)이 개발한 검사지<진로성숙도 검사-47문항>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의 처리 및 통계 분석은 SPSS PC+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을 전체적으로 실시하였고, 변인들의 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농촌 간의 학교소재지에 따른 차이점으로는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모두 농촌지역이 도시지역보다 낮다는 것이다. 부모의 양육태도 하위변인인 성취, 개방, 친애, 자율 등 모든 영역에서 부모 둘 다 농촌지역이 도시지역보다 낮다. 특히 하위변인 중 친애가 다른 요인보다 유의한 차이(p〈.05)를 보이며 농촌이 도시에 비해 더욱 낮게 나온다.
      둘째, 도시나 농촌이나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p〈.05) 부모의 양육태도가 친애일 때 자기효능감이 높으며, 진로성숙도도 높게 나타난다. 이것은 부모의 애정적인 양육태도가 자녀의 자기효능감 형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으며, 자녀의 진로성숙도에도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간에 유의한 차이(p〈.01)가 있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은 진로성숙도도 높다는 것이다.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은 학생은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 중에 특히 준비성, 목적성, 확신성이 높다.
      넷째, 도시지역이 자기효능감의 자신감에 있어 부모의 친애적인 양육태도가 비록 가장 큰 영향을 주고는 있지만, 개방, 자율 등도 골고루 영향을 미치는 반면, 농촌은 친애가 주로 영향을 끼친다. 즉 농촌은 부모의 친애성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자신감이 높은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부모의 친애적 양육태도가 도시에 비해 농촌이 낮아 영향을 덜 미친다는 것이다.
      다섯째, 농촌지역의 학생이 도시지역의 학생보다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준비성 및 확신성이 낮다. 이것은 농촌지역의 학생이 자신의 진로에 대해 스스로 미리 준비하고 결정하는 진로의식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제언을 요약하면, 도시지역이나 농촌지역이나 자녀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긍정적인(애정적, 자율적, 성취적, 합리적) 양육태도가 요구되며, 특히 친애적인 부모 양육태도가 자녀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부모는 자녀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를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관계가 되기 위한 양육태도를 지향하여야 하며, 사회교육기관을 비롯한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부모교육을 실시하여 좋은 부모-자녀 관계의 필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도시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친애적인 부모 양육태도가 낮은 농촌지역의 부모교육을 위해 학교현장을 비롯한 각 지역에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며, 도시 학생에 비해 농촌 학생들에게 부족한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준비성, 확신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방과후 활동이라든지 특기적성 시간을 활용해 실시해야 한다. 진로성숙은 외부 환경적인 요인과 학교교육에 의해 달라지므로 농촌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진로교육을 체계적, 지속적으로 하여 청소년들의 미래의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학생과 부모와 교사와 학교, 지역과 사회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나아가 농촌 학생들이 조금 더 높은 성취 목표를 정하고,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여 바람직한 사회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또한 청소년에게 자신의 환경을 통제하고 조정하는 삶의 주체는 자기 자신이며, 그러한 자신에 대한 소중함을 인식하게 되고 현제나 미래의 행복한 삶은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신의 행위의 결과라는 인식을 다소나마 환기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n today’s situation that economic and academic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re getting wider, comparative study on urban and rural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their children’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s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it measures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between urban and rural students. When the characteristics and magnitude of the difference are understood adequately, they can be utilized as useful references in future career education.
      W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using 3^(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how different the effect of parents’ rearing attitude is on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nd what makes such a differenc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emphasized career education to enhance rural middle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nd looked for plans to improve their self-efficacy and career sense in the school fie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 male and female 3^(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ju City, another 100 in Namwon City, and another 100 at rural towns and villages. They were selected from four middle schools through random sampling, and 279 of them who gave sincere repli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As for tools used in this research, parents’ rearing attitude was measured using ‘Scale of Parents’ Rearing Attitude(40questions)’ developed by Jeong Won-sik(1984) and revised by Lee Dong-yeong(1997) and students’ self-efficacy was measured using ‘Scale of General Self-efficacy(24questions)’ developed by Kim A-yeong and Cha Jeong-eum(1996). In addition, students’ career maturity was measured using ‘Scale of Career Maturity(47questions)’ developed by Lee Gi-hak and Han Jong-cheol(1997).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11.5. Frequency analysis was applied to all variable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 between and effects of variables. In addition, t-test was performed to se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schools was that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were all lower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ones. In all of the sub-factors of parents’ rearing attitude - achievement, openness, intimacy and autonomy - both fathers and mothers in rural areas showed lower scores than those in urban areas. In particular, difference in intimacy was more significant than that in the other sub-factors of rearing attitude(p<.05).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tudents’ self-efficacy according to parents’ rearing attitude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p<.05). When parents had an intimate rearing attitude, their children’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were high. This suggests that parents’ affectionate rearing attitude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formation of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n their children.
      Third,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tudents’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ir self-efficacy(p<.01). That is, students who had high self-efficacy also had high career maturity. Those with high self-efficacy were particularly superior in preparedness, purposefulness and assuredness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Fourth, in urban areas, particularly parents’ intimate rear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confidence, one of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but their openness and autonomy also had a high effect. In rural areas, on the other hand, students’ confidence was high when parents had an intimate rearing attitude. However, parents’ positive intimate rearing effect was less effective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areas.
      Fifth, with regard to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self-efficacy and their career maturity, rural students were inferior to urban ones in preparedness and assuredness. This means that rural students have a low career sense in preparing and deciding their future job by themselves.
      Based on the findings presented above, suggestions were made as follows.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 parents must take positive(affectionate, autonomous, achievement and rational) rearing attitudes and particularly parents’ intimate rearing attitude is considered important to their children’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hus, parents should maintain rearing attitudes affecting their children’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n a positive way, and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community education centers must emphasize the necessity of a good parent-child relation in their parent education.
      Furthermore, for parent education in rural areas where parents’ intimate rearing attitude is lower than urban areas, each rural area and rural school should activate parent education programs. Moreover, diverse care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executed through after-school activities or specialty-aptitude classes in order to improve rural students’ self-efficacy as well as their preparedness and assuredness in career maturity, which are low compared to urban students. Because career maturity is changed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school education, all of students, parents, teachers, schools and communities must participate actively in continuous and systematic career education for improving rural middle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o give help to their future life.
      What is more, it is necessary to help rural students set higher goals of achievement, decide their future career path and lead desirable social life, and to make them realize that they themselves are the main actors who should control and change their environment and, in that sense, they are very precious beings and their happy life in the future is the consequence of their own active and positive efforts.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n today’s situation that economic and academic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re getting ...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n today’s situation that economic and academic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re getting wider, comparative study on urban and rural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their children’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s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it measures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between urban and rural students. When the characteristics and magnitude of the difference are understood adequately, they can be utilized as useful references in future career education.
      W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using 3^(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how different the effect of parents’ rearing attitude is on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nd what makes such a differenc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emphasized career education to enhance rural middle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nd looked for plans to improve their self-efficacy and career sense in the school fie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 male and female 3^(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ju City, another 100 in Namwon City, and another 100 at rural towns and villages. They were selected from four middle schools through random sampling, and 279 of them who gave sincere repli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As for tools used in this research, parents’ rearing attitude was measured using ‘Scale of Parents’ Rearing Attitude(40questions)’ developed by Jeong Won-sik(1984) and revised by Lee Dong-yeong(1997) and students’ self-efficacy was measured using ‘Scale of General Self-efficacy(24questions)’ developed by Kim A-yeong and Cha Jeong-eum(1996). In addition, students’ career maturity was measured using ‘Scale of Career Maturity(47questions)’ developed by Lee Gi-hak and Han Jong-cheol(1997).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11.5. Frequency analysis was applied to all variable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 between and effects of variables. In addition, t-test was performed to se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schools was that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were all lower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ones. In all of the sub-factors of parents’ rearing attitude - achievement, openness, intimacy and autonomy - both fathers and mothers in rural areas showed lower scores than those in urban areas. In particular, difference in intimacy was more significant than that in the other sub-factors of rearing attitude(p<.05).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tudents’ self-efficacy according to parents’ rearing attitude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p<.05). When parents had an intimate rearing attitude, their children’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were high. This suggests that parents’ affectionate rearing attitude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formation of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n their children.
      Third,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tudents’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ir self-efficacy(p<.01). That is, students who had high self-efficacy also had high career maturity. Those with high self-efficacy were particularly superior in preparedness, purposefulness and assuredness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Fourth, in urban areas, particularly parents’ intimate rear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confidence, one of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but their openness and autonomy also had a high effect. In rural areas, on the other hand, students’ confidence was high when parents had an intimate rearing attitude. However, parents’ positive intimate rearing effect was less effective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areas.
      Fifth, with regard to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self-efficacy and their career maturity, rural students were inferior to urban ones in preparedness and assuredness. This means that rural students have a low career sense in preparing and deciding their future job by themselves.
      Based on the findings presented above, suggestions were made as follows.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 parents must take positive(affectionate, autonomous, achievement and rational) rearing attitudes and particularly parents’ intimate rearing attitude is considered important to their children’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hus, parents should maintain rearing attitudes affecting their children’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n a positive way, and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community education centers must emphasize the necessity of a good parent-child relation in their parent education.
      Furthermore, for parent education in rural areas where parents’ intimate rearing attitude is lower than urban areas, each rural area and rural school should activate parent education programs. Moreover, diverse care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executed through after-school activities or specialty-aptitude classes in order to improve rural students’ self-efficacy as well as their preparedness and assuredness in career maturity, which are low compared to urban students. Because career maturity is changed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school education, all of students, parents, teachers, schools and communities must participate actively in continuous and systematic career education for improving rural middle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o give help to their future life.
      What is more, it is necessary to help rural students set higher goals of achievement, decide their future career path and lead desirable social life, and to make them realize that they themselves are the main actors who should control and change their environment and, in that sense, they are very precious beings and their happy life in the future is the consequence of their own active and positive effor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론 = 1
      • 제 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제 2절 연구문제 = 4
      • 제 2장 이론적 배경 = 6
      • 제 1절 부모의 양육태도 = 6
      • 제 1장 서론 = 1
      • 제 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제 2절 연구문제 = 4
      • 제 2장 이론적 배경 = 6
      • 제 1절 부모의 양육태도 = 6
      • 제 2절 자기 효능감 = 11
      • 제 3절 진로성숙 = 15
      • 제 4절 자기효능감과 진로발달의 관계 = 19
      • 제 3장 연구방법 = 21
      • 제 1절 연구대상 = 21
      • 제 2절 측정도구 = 22
      • 제 3절 자료의 처리 = 25
      • 제 4장 연구 결과 및 해석 = 26
      • 제 1절 도시 농촌 간 부모의 양육태도 = 26
      • 제 2절 도시 농촌 간 자기효능감 = 27
      • 제 3절 도시 농촌 간 진로성숙도 = 32
      • 제 4절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 34
      • 제 5장 논의 및 제언 = 49
      • 제 1절 논의 = 49
      • 제 2절 제언 = 53
      • 참고 문헌 = 55
      • 국문초록 = 60
      • 부록1 의견 조사 설문지 = 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