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 및 2006년 재개정을 둘러싼 가장 큰 쟁점은 초중등교육의 주요재원인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규모이다. GDP 대비 6% 교육재정 확보, 지방교육재정의 부족으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85358
200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47-266(20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04년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 및 2006년 재개정을 둘러싼 가장 큰 쟁점은 초중등교육의 주요재원인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규모이다. GDP 대비 6% 교육재정 확보, 지방교육재정의 부족으로...
2004년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 및 2006년 재개정을 둘러싼 가장 큰 쟁점은 초중등교육의 주요재원인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규모이다. GDP 대비 6% 교육재정 확보, 지방교육재정의 부족으로 인한 지방채 발행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현행 교부율(내국세의 19.4%)을 인상하여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증세를 통한 재정수입 확대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재원의 효율적인 재배분이 논의되고 있다. 지방교육재정을 가장 불안정하게 하는 국세교육세를 안정적인 세목으로 개편해야 한다는 논의도 활발하다. 지방교육재정의 약 70%를 차지하는 인건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종전의 봉급교부금을 부활하거나 보수교부금을 신설하려는 것도 주요 쟁점이다. 재정여건이 우수한 자치단체의 전입금 확대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앞으로 적정한 교육비 산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이 제안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ssues from stakeholders of educational circles and financial officials w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revised and will revise the Law of Local Educational Financial Grant in 2004 and 2006. The hottest issue is how much mo...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ssues from stakeholders of educational circles and financial officials w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revised and will revise the Law of Local Educational Financial Grant in 2004 and 2006. The hottest issue is how much money is needed for primary and second education to educate stude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n Teachers & Education Workers' Union and The Korean Federal of Teacher Association demand for government to increase Local Educational Financial Grant, which would pay off the educational bonds issued by Local Offices of Education and ensure sufficient educational finance up to 6 percent of GDP pledged in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On the contrary, financial officials insist that the inefficiency should be removed in spending educational money when the government's revenue is restricted under the recent bad economy.<br/>
National Education Tax needs to be changed into more stable revenue source since it insecures most the educational finance. As salaries of teachers and staff comprise about 70 percent of spending, reviving Educational Financial Grant for Teachers' Salaries is one of issues to be discussed. Local Governments with superior fiscal capacities needs to transfer more local taxes to Local Offices of Education. In conclusion, more research is needed to calculate the adequate cost in order to educate the majority of students for high performan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지방세정연감." 행정자치부 2004
2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 추진(안)" 교육인적자원부 2006
3 "지방교육재정 운용 편람" 교육인적자원부 2003
4 "유ㆍ초ㆍ중ㆍ고등학교 표준교육비 산출연구" 2005
5 "교육재정 위기,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2005
6 "Public School Teacher Cost Differences Across the United States." 1995
7 "OECD Economic Surveys Korea" 2005
8 "Guthrie and Richard Rothstein"Enabling "Adequate" to Achieve Reality: Translating Adequacy into State School Finance Distribution Arrangements" National Academy Press 209-259, 1999
9 "Calculation of the Cost of an Adequate Education in Maryland in 1999-2000 Using Two Different Analytic Approach." Thornton Commission 2001
10 "Achieving Educational Adequacy Through School Finance Reform" 26 (26): 373-396, 2001
1 "지방세정연감." 행정자치부 2004
2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 추진(안)" 교육인적자원부 2006
3 "지방교육재정 운용 편람" 교육인적자원부 2003
4 "유ㆍ초ㆍ중ㆍ고등학교 표준교육비 산출연구" 2005
5 "교육재정 위기,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2005
6 "Public School Teacher Cost Differences Across the United States." 1995
7 "OECD Economic Surveys Korea" 2005
8 "Guthrie and Richard Rothstein"Enabling "Adequate" to Achieve Reality: Translating Adequacy into State School Finance Distribution Arrangements" National Academy Press 209-259, 1999
9 "Calculation of the Cost of an Adequate Education in Maryland in 1999-2000 Using Two Different Analytic Approach." Thornton Commission 2001
10 "Achieving Educational Adequacy Through School Finance Reform" 26 (26): 373-396, 2001
11 "2005-2009년 국가재정운용계획" 2005
12 "2004 지방자치단체 예산개요." 행정자치부 2005
교사발달단계와 교사의 직무능력 및 직무만족 간의 관계 연구
교장의 미시 정치적 결합기제와 교사의 대응방식에 관한 문화 기술적 사례 연구
학부모 및 학생 관련 요인과 사교육비 지출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UNESCO/OECD「국경을 넘는 고등교육 질 보장」 가이드라인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6 | 1.76 | 1.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2 | 2.06 | 1.84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