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철근공사의 코일철근(Bar in Coil) 적용타당성 분석 = Analysis of Bar in Coil's Application to Rebar Wo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272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국내에서 정착되고 있는 철근 공장가공은 절단손실 감소, 정밀도 향상 등의 장점과 도심지공사 증가, 숙련공 감소 등의 외부 요인으로 향후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공...

      최근 국내에서 정착되고 있는 철근 공장가공은 절단손실 감소, 정밀도 향상 등의 장점과 도심지공사 증가, 숙련공 감소 등의 외부 요인으로 향후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공장가공을 하더라도 정척철근 (Straight rebar)을 사용하면 손실 발생 및 그로 인한 CO2배출 같은 환경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의 일환으로 코일철근(Bar in coil) 도입이 제안되었으나, 코일철근은 국내 미생산, 고가의 장비비 등의 이유로 국내 적용이 거의 전무하다. 또한 코일철근은 완전 자동화에 가까운 방식으로 가공되기 때문에 향후 높은 손실저감률과 가품질이 우수하여 국내 적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나, 적용타당성 분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 생산이 시작된 코일철근의 특성과 코일철근 도입이 철근가공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철근가공 산업 선진화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진행한다. 이를 위해 국내 철근가공 산업의 현황을 조사하고, 코일철근 도입시 산업적 측면에서 적용성과 경제적 측면에서 이해관계자의 손익 타당성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portion of rebar factory manufacturing which has been settled down in Korea recently seems to increase because of their strength such as high decreasing rate of rebar loss and manufacturing accuracy and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an increase ...

      The proportion of rebar factory manufacturing which has been settled down in Korea recently seems to increase because of their strength such as high decreasing rate of rebar loss and manufacturing accuracy and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an increase of downtown projects and a decrease of skilled workers. However, factory manufacturing using straight rebars causes a certain amount of rebar loss and an environmental problem including $CO_2$ emissions. To solve these problems, Bar in coil (BIC) has been introduced; however its application is very rare because it has not been produced so far in Korea and manufacturing machines of BIC are very expensive. Also, although BIC's application is expected to expand due to its strengths, few analysis of its application has been conducted. Therefore in this study, analysis of the BIC's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 to the rebar manufacturing industry are conducted for the advancement of rebar work as a basic research. To achieve this, inquir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rebar manufacturing industry in Korea is implemented. Then, the validation of BIC's applications by aspects of industry and the analysis of stakeholders' economical profit and loss are conduc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태연기계, "한국 철근가공의 뿌리"

      2 대한주택공사, "철근콘크리트조의 배근 시공도 작성 실무"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2000

      3 동방엔지니어링(주), "철근케이지 자동화제작기계를 이용한 Pile 및 Pier용 중∙대구경 나선철근망 제작공법"

      4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철근의 생산성 및 품질향상 방안과 가공형상 국가표준 및 업체 인증제도 시행" 2009

      5 김선국, "철근손율을줄이기위한최적화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7 (7): 385-391, 1991

      6 양지수, "철근기계화 가공 시범사업 성과분석" 1993

      7 조훈희, "철근공사의 공장가공 현황분석과 활성화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8 (8): 57-65, 2007

      8 김동진, "철근공사공장가공합리화방안" 24 (24): 419-422, 2004

      9 주진규, "철근공사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작업모델 연구" 대한건축학회 19 (19): 189-196, 2003

      10 최재휘, "철근 생산과정의 에너지 사용량 및 CO2배출량 산출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0 (10): 101-109, 2010

      1 태연기계, "한국 철근가공의 뿌리"

      2 대한주택공사, "철근콘크리트조의 배근 시공도 작성 실무"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2000

      3 동방엔지니어링(주), "철근케이지 자동화제작기계를 이용한 Pile 및 Pier용 중∙대구경 나선철근망 제작공법"

      4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철근의 생산성 및 품질향상 방안과 가공형상 국가표준 및 업체 인증제도 시행" 2009

      5 김선국, "철근손율을줄이기위한최적화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7 (7): 385-391, 1991

      6 양지수, "철근기계화 가공 시범사업 성과분석" 1993

      7 조훈희, "철근공사의 공장가공 현황분석과 활성화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8 (8): 57-65, 2007

      8 김동진, "철근공사공장가공합리화방안" 24 (24): 419-422, 2004

      9 주진규, "철근공사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작업모델 연구" 대한건축학회 19 (19): 189-196, 2003

      10 최재휘, "철근 생산과정의 에너지 사용량 및 CO2배출량 산출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0 (10): 101-109, 2010

      11 조영근, "철근 공사에 있어서 철근 가공 표준화" 한국건설관리학회 10 (10): 58-66, 2009

      12 정영철, "접이식 철근 선조립 공법의 적용 가능성 검토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10 (10): 125-132, 2010

      13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녹색성장을 위한 고성능 자재 적용방안" 2009

      14 박우열, "국내 철근공사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4 (4): 83-91, 2004

      15 조훈희, "국내 철근가공 공사의 실태에 관한 연구" 771-774, 1996

      16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고강도 철근 활용확대 및 철근가공 표준화 방안" 2008

      17 박우열, "건설공사 철근정보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5 (5): 99-106, 2005

      18 Ronie Navon, "Fully Automated Rebar CAD/CAM System: EconomicEvaluation and Field Implementation" 122 (122): 101-108, 1996

      19 Gul Polat, "Economics of on-site vs. off-site fabrication of rebar" 24 : 1185-1198, 2006

      20 Philip S. Dunston, "Development of a fully automated rebarmanufactur- ing machine" 4 : 239-253, 1995

      21 김재엽, "D500 고강도 철근용 커플러이음의 경제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8 (8): 136-145, 2007

      22 Philip S. Dunston, "Adaptive control for safe and quality rebarfabrication" 126 (126): 122-129,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2-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 0.772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