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명우, "조경계획1:총론, 조경계획과정" 기문당 349-352, 2008
2 황인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지수를 이용한 수질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3 김귀곤, "자연환경․생태복원학 원론" 아카데미 서적 272-, 2004
4 한국수자원공사, "용담다목적댐 저수지 및 주변지역 생태환경조사" 한국수자원공사 2008
5 홍석환, "소유역권 동물생태계 평가를 통한 택지개발지역의 종합적 생태계 평가 연구 - 성남시 대장동을 사례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201-213, 2009
6 조용현, "생태적 복원을 위한 중소하천 자연도 평가방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7 장래익, "생태경관다양성과 시각경관민감도를 적용한 GIS중첩평가 계획기법" 한국조경학회 37 (37): 22-31, 2009
8 김정호, "비오톱 유형을 고려한 산림지역 생태계 평가기법 개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38-51, 2007
9 나정화, "비오톱 연계망 구축을 위한 서식공간 평가: 대구시 수성구를 중심으로" 29 (29): 67-79, 2001
10 성남시, "비오톱 등급평가 및 도시생태현황도(Biotop Map)GIS 구축" 성남시 2004
1 이명우, "조경계획1:총론, 조경계획과정" 기문당 349-352, 2008
2 황인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지수를 이용한 수질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3 김귀곤, "자연환경․생태복원학 원론" 아카데미 서적 272-, 2004
4 한국수자원공사, "용담다목적댐 저수지 및 주변지역 생태환경조사" 한국수자원공사 2008
5 홍석환, "소유역권 동물생태계 평가를 통한 택지개발지역의 종합적 생태계 평가 연구 - 성남시 대장동을 사례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201-213, 2009
6 조용현, "생태적 복원을 위한 중소하천 자연도 평가방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7 장래익, "생태경관다양성과 시각경관민감도를 적용한 GIS중첩평가 계획기법" 한국조경학회 37 (37): 22-31, 2009
8 김정호, "비오톱 유형을 고려한 산림지역 생태계 평가기법 개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38-51, 2007
9 나정화, "비오톱 연계망 구축을 위한 서식공간 평가: 대구시 수성구를 중심으로" 29 (29): 67-79, 2001
10 성남시, "비오톱 등급평가 및 도시생태현황도(Biotop Map)GIS 구축" 성남시 2004
11 최일기, "독일의 비오톱 유형분류에 대한 고찰" 한국조경학회 35 (35): 73-81, 2007
12 김정호, "도시생태계 구조를 고려한 비오톱 유형 구분" 한국조경학회 34 (34): 1-17, 2006
13 최영국, "국토계획과 환경계획 체계의 연계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203, 2002
14 노백호, "경관생태학에 의한 야생동식물 서식공간 설정방안 연구" 한국정책평가연구원 2004
15 나정화, "경관생태적 측면에서의 도시 에코톱의 분류방법 및 특성분석- 대구광역시를 사례지로" 한국환경과학회 12 (12): 2003
16 Pielou, E. C., "Shannon's formula as a measure of diversity" 100 : 463-465, 1966
17 Almo, Farina, "Principles and Methods in Landscape Ec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13-15, 1997
18 Edward, A. Cook, "Landscape Planning and Ecological Networks" Elsevier Science B.V 97-103, 1994
19 Forman, Richard T. T., "Land Mosa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1995
20 Margalef, R.,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3 : 36-71, 1958
21 서울특별시, "2010 서울시 도시생태현황도 정비: 1차년도" 서울특별시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