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국, 독일, 스웨덴의 연금제도는 수렴하고 있는가? = Are Pension Systems between the UK, Germany and Sweden Converging? : Focusing on Benefit Adequacy and Financial Sustain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889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구 국가들이 최근의 연금개혁을 통해서 전통적인 베버리지형 연금체제와 비스마르크형 연금체제 구분에서 벗어나 재정적 지속가능성과 적절성 측면에서 유사해지고 있는지를 ...

      본 연구는 서구 국가들이 최근의 연금개혁을 통해서 전통적인 베버리지형 연금체제와 비스마르크형 연금체제 구분에서 벗어나 재정적 지속가능성과 적절성 측면에서 유사해지고 있는지를 영국, 독일, 스웨덴의 비교를 통해 살펴본다. 지난 20여 년간의 연금개혁을 통해서 베버리지형과 비스마르크형 연금체제의 격차는 줄어들 것으로 보이며, 특히 급여의 적절성 기준으로 세 국가의 연금제도가 수렴하고 있는 경향이 발견된다. 재정적 지속가능성의 경우에는 세 국가의 공적연금 지출 수준이 수렴하고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으나, 10여 년 전의 추계에 비해서 향후 지출 수준의 차이는 크게 줄어들었으며, 각 국의 인구고령화 정도의 차이를 고려하는 경우 재정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도 수렴 경향이 발견된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연금 논의에서도 재정적 지속가능성과 적절성에 대한 소모적 논쟁 대신, 선진국에서 수렴하고 있는 지출과 소득대체율 범위에서 재정적 지속가능성과 적절성 사이의 합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pension systems of the western countries which was traditionally classified into the Beveridgean and Bismarckian pension regime will converge after recent pension reforms in the financial sustainability and adequacy per...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pension systems of the western countries which was traditionally classified into the Beveridgean and Bismarckian pension regime will converge after recent pension reforms in the financial sustainability and adequacy perspective by comparing between UK, Germany and Sweden. As a result of pension reforms for the last 20 years, the gap between the Beveridgean and Bismarckian pension regime will be likely to decrease and, in particular, the tendency to convergency in adequacy is found. Even though it is not jumped to a conclusion that public pension expenditure between the three countries is likely to converge, the tendency to convergency in financial sustainability is also found if the difference of demographic aging between countries is considered. The paper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greement between the range of pension expenditure and replacement ratio that western countries suggest in pension debate in Korea, instead of hitherto useless controversy between financial sustainability and adequa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영국, 독일, 스웨덴의 연금제도
      • 4. 영국, 독일, 스웨덴의 연금개혁 비교분석: 재정적 지속가능성과 적절성을 중심으로
      • 요약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영국, 독일, 스웨덴의 연금제도
      • 4. 영국, 독일, 스웨덴의 연금개혁 비교분석: 재정적 지속가능성과 적절성을 중심으로
      • 5. 결론: 한국에의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민연금연구원, "해외 공・사 연금제도"

      2 김원섭, "최근 독일 연금개혁과 복지국가의 발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3 (23): 161-188, 2007

      3 김원섭, "주요 복지국가의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의 변화와 우리나라의 공․사연금제도 발전방안" 국민연금연구원 2006

      4 백인립, "유럽 노령연금제도 변화의 차이점과 공통점에 관한 연구-영국, 스웨덴, 독일의 개혁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99-138, 2010

      5 정창률, "연금 체제(Pension regime) 측면에서 본 한국 노후 소득보장 체계 -갈림길에 선 한국 연금 체계-"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329-348, 2010

      6 국민연금공단, "실록 국민의 연금"

      7 이정우, "독일의 노후기초보장제도와 정책적 시사점" 한국사회정책학회 21 (21): 105-142, 2014

      8 Bonoli, G., "Two worlds of pension reform in Western Europe" 35 (35): 399-416, 2003

      9 Whitehouse, E., "Two Decades of Pension Reform: What has been Achieved and What Remains to be done?" 515-535, 2009

      10 Esping-Andersen, G.,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Policy Press 1990

      1 국민연금연구원, "해외 공・사 연금제도"

      2 김원섭, "최근 독일 연금개혁과 복지국가의 발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3 (23): 161-188, 2007

      3 김원섭, "주요 복지국가의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의 변화와 우리나라의 공․사연금제도 발전방안" 국민연금연구원 2006

      4 백인립, "유럽 노령연금제도 변화의 차이점과 공통점에 관한 연구-영국, 스웨덴, 독일의 개혁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99-138, 2010

      5 정창률, "연금 체제(Pension regime) 측면에서 본 한국 노후 소득보장 체계 -갈림길에 선 한국 연금 체계-"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329-348, 2010

      6 국민연금공단, "실록 국민의 연금"

      7 이정우, "독일의 노후기초보장제도와 정책적 시사점" 한국사회정책학회 21 (21): 105-142, 2014

      8 Bonoli, G., "Two worlds of pension reform in Western Europe" 35 (35): 399-416, 2003

      9 Whitehouse, E., "Two Decades of Pension Reform: What has been Achieved and What Remains to be done?" 515-535, 2009

      10 Esping-Andersen, G.,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Policy Press 1990

      11 Ebbinghaus, B., "The variety of pension governance: Pension privatization in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2 Bridgen, P., "The varieties of pension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3 Grech, G., "The social sustainability of pension of Europe" Scholars’ Press 2015

      14 Hering, M., "The politics of structural pension reform in Western Europe: does the EU matter?" 2006

      15 Hinrichs, K., "The politics of age" Peter Lang 2008

      16 Thurley, D., "The new single-tier state pension" House of Commons Library 2015

      17 Leisering, L., "The new regulatory state" Palgrave Macmillan 2011

      18 Myles, J., "The new politics of the welfare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9 Anderson, M., "The handbook of west European pension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0 EC, "The 2015 Ageing Report" EC 2015

      21 Williamson, B., "Social security privatization: Lesson from the United Kingdom" Center for Retirement Research at Boston College 2000

      22 Palmer, E., "Social security pension reform in Europ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

      23 EC, "Report on Public Finances in EMU" EC 2013

      24 Bonoli, G., "Reforming the Bismarckian welfare system" Blackwell Publishing 2008

      25 OECD, "Pensions at a glance"

      26 OECD, "Pensions at a glance"

      27 OECD, "Pensions at a glance"

      28 Mattil, B., "Pension system: Sustainability and distributional effects in Germany and the United Kingdom" Springer 2006

      29 EU, "Pension adequacy in the European Union 2010-2050, in Report prepared jointly by the Directorate-General for Employment" Social Affairs and Inclusion of the European Commission and the Social Protection Committee 2012

      30 Holzmann, R., "Old-age income support in the twenty-first century" World Bank 2005

      31 국민연금연구원, "OECD 주요국의 공적연금제도와 개혁동향" 국민연금연구원 2010

      32 권혁창, "OECD 주요 국가들의 연금개혁의 효과성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2013

      33 Pensions Commission, "Implementing an integrated package of pension reforms: The Final Report of the Pensions Commission" The Stationery Office 2006

      34 Whitehouse, E., "How poor are the old? A survey of evidence from 44 countries" World Bank 2000

      35 Börsch-Supan, A., "How an unfunded pension system looks like defined benefits but works like defined contributions: The German pension reform" 2007

      36 Bonoli, G., "Governance of welfare state reform" Edward Elgar 2009

      37 EC, "Fiscal Sustainability Report" EC 2012

      38 Schmitt, C, "Explaining convergence of OECD welfare states: A conditional approach" 21 (21): 120-135, 2011

      39 Clark, L., "European Pension & Global Fi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40 Clasen, J., "Converging worlds of welfare? British and German social policy in the 21st centu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41 Meyer, T., "Converging worlds of welfare? Britain and Germany social policy in the 21st centu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42 Starke, P, "Convergence towards where: In what ways, if any, are welfare states becoming more similar" 15 (15): 975-1000, 2008

      43 Grech, G., "Convergence or divergence? How the financial crisis affected European pensioners" 68 (68): 43-62, 2015

      44 Walker, A, "Caught between virtue and ideological necessity: a century of pension policies in the UK" 18 (18): 427-448, 2006

      45 Ebbinghaus, B., "Can path dependence explain institutional change? Two approaches applied to welfare state reform" MPIfG 2005

      46 Pemberton, H., "Britains’s Pension Crisis"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ocial Policy Review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al Policy Review ->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Polic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16 1.544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