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몽골, 한국, 미국 천연 제올라이트의 특성 비교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Zeolites from Mongolia, Korea, and the United Sta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42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몽골(6종), 미국(1종), 한국(9종)지역에서 채취한 총 16종의 천연 제올라이트를 X-선 회절 분석, X-선 형광 분석, 열 시차, 열 중량 분석 및 양이온 교환능 분석을 통해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16...

      몽골(6종), 미국(1종), 한국(9종)지역에서 채취한 총 16종의 천연 제올라이트를 X-선 회절 분석, X-선 형광 분석, 열 시차, 열 중량 분석 및 양이온 교환능 분석을 통해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16종의 시료 모두 두 종류 이상의 광물상이 공존하는 혼합광 형태이며, 주로 클라이놉틸로라이트, 휼란다이트, 모데나이트 및 차바자이트와 같은 광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부 시료에서는 운모 점토광물인 일라이트와 석영과 같은 광물이 불순물로 함유되어 있었다. X-선 형광 분석 결과 16종의 천연 제올라이트는 SiO<sub>2</sub>, Al<sub>2</sub>O<sub>3</sub>, K<sub>2</sub>O, CaO, Na<sub>2</sub>O, MgO 및 Fe<sub>2</sub>O<sub>3</sub> 산화물이 함유되어 있었다. 미국 천연 제올라이트인 U-1 시료가 223.3 meq/100 g으로 양이온 교환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몽골 천연 제올라이트에서는 M-6 시료가, 한국 천연 제올라이트에서는 K-1 시료가 각각 166.6 meq/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열시차 및 열중량 분석 결과 16종의 시료 모두 600℃까지 열적으로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진환, "천연 제올라이트의 수환경 개선용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에관한 연구 (I): 국내산 제올라이트의 양이온 교환 특성" 한국광물학회 16 (16): 135-149, 2003

      2 윤창복 ; 이한승, "천연 제올라이트의 분말도와 치환율이 시멘트모르타르의 화학반응 및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4 (24): 96-103, 2020

      3 서곤, "제올라이트 첫걸음" 한국제올라이트 학회 2005

      4 김후식 ; 김영훈 ; 백기태 ; 임우택, "제올라이트 광산개발을 위한 천연 제올라이트의 특성 분석 및 중금속 이온 흡착 특성 연구" 한국광물학회 28 (28): 299-308, 2015

      5 추창오, "일라이트의 광물학적 특성과 그 응용" 14 (14): 29-37, 2001

      6 노진환, "영일 지역산 휼란다이트군 불석에 대한 열화학적 연구" 25 (25): 123-136, 1989

      7 김후식 ; 박원광 ; 이하영 ; 박종삼 ; 임우택, "방사성 핵종 제거를 위한 천연 제올라이트 특성 연구" 한국광물학회 27 (27): 41-51, 2014

      8 노진환, "국내산 제올라이트의 부가가지 향상을 위한광물특성 평가방안" 14 (14): 1-17, 2001

      9 Mahesh, M., "Zeolite farming : A sustainable agricultural prospective" 7 (7): 2912-2924, 2018

      10 Zolzaya, T., "The mechanochemical activation study of Tsagaan-tsav zeolite" 12 : 98-101, 2011

      1 노진환, "천연 제올라이트의 수환경 개선용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에관한 연구 (I): 국내산 제올라이트의 양이온 교환 특성" 한국광물학회 16 (16): 135-149, 2003

      2 윤창복 ; 이한승, "천연 제올라이트의 분말도와 치환율이 시멘트모르타르의 화학반응 및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4 (24): 96-103, 2020

      3 서곤, "제올라이트 첫걸음" 한국제올라이트 학회 2005

      4 김후식 ; 김영훈 ; 백기태 ; 임우택, "제올라이트 광산개발을 위한 천연 제올라이트의 특성 분석 및 중금속 이온 흡착 특성 연구" 한국광물학회 28 (28): 299-308, 2015

      5 추창오, "일라이트의 광물학적 특성과 그 응용" 14 (14): 29-37, 2001

      6 노진환, "영일 지역산 휼란다이트군 불석에 대한 열화학적 연구" 25 (25): 123-136, 1989

      7 김후식 ; 박원광 ; 이하영 ; 박종삼 ; 임우택, "방사성 핵종 제거를 위한 천연 제올라이트 특성 연구" 한국광물학회 27 (27): 41-51, 2014

      8 노진환, "국내산 제올라이트의 부가가지 향상을 위한광물특성 평가방안" 14 (14): 1-17, 2001

      9 Mahesh, M., "Zeolite farming : A sustainable agricultural prospective" 7 (7): 2912-2924, 2018

      10 Zolzaya, T., "The mechanochemical activation study of Tsagaan-tsav zeolite" 12 : 98-101, 2011

      11 Kim, Y., "Studies on the removal of metal ions wits domestic Pohang zeolites and synthetic zeolites" 18 : 587-602, 1996

      12 Lim, W. T., "Six single-crystal structures showing the dehydration, deamination, dealumination, and decomposition of NH4+-exchanged zeolite Y(FAU)with increasing evacuation temperature. Identification of a Lewis acid site" 111 (111): 18294-18306, 2007

      13 Hu Sik Kim ; 고성운 ; 임우택, "Single-crystal Structure of Partially Dehydrated Partially Mg2+-exchanged Zeolite Y (FAU), |Mg_(30.5)Na_(14)(H_2O)_(2.5)|[Si_(117)Al_(75)O_(384)]-FAU" 대한화학회 32 (32): 3696-3701, 2011

      14 Corenstedt, A. F., "Rön och beskrifning om en obekant bärg art" som kallas Zeolites 1756

      15 Jimenez-Reyes, M., "Radioactive waste treatments by using zeolites. A short review" 233 : 106610-, 2021

      16 Medfai, W., "Natural-zeolite purification by a sacrificial scavenger porous layer" 789 : 139307-, 2022

      17 Bray, E. L.,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20. US Geological Survey" 102-103, 2020

      18 Batdemberel, G., "Crystal Structural Study of Mongolian Natural Zeolite" 2015

      19 Olegario-Sanchez, E., "Characterization of Philippine natural zeolite and its application for heavy metal removal from acid mine drainage(AMD)" Trans Tech Publications Ltd 737 : 407-411, 2017

      20 이슬비 ; 성자경 ; 이예진 ; 임정은 ; 송요성 ; 이덕배 ; 홍숙영, "Analysis of Soil Total Nitrogen and Inorganic Nitrogen Content for Evaluating Nitrogen Dynamics"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50 (50): 100-105, 2017

      21 Breger, I. A., "An infrared study of water in heulandite and clinoptilolite" 55 (55): 825-840, 1970

      22 Kim, W. J., "A study on the phase identification and ion-exchange behavior of NH4+at natural zeolite" 7 : 43-50,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1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20-01-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광물학회지 -> 광물과 암석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2019-12-30 통합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6 0.5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