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유럽연합의 대외정책과 다층적거버넌스에 대한 연구 = EU External Policy and Multi-Level Govern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784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rowing significance of the European Union(EU) raises important questions regarding the governance structure that lies behind its external policies. This article explores the EU governance structure and its processes by analyzing three different external policy areas, such as the Common Foreign and Security Policy(CFSP), the Common Commercial Policy, and the Enlargement Policy. The findings of this article present that the concept of multi-level governance is useful in describing and analyzing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EU governance system even in its external relation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governance system in the EU external policies is neither exclusively supranational nor state-centric. Rather, there exist multiple tiers of decision- making and the complex interplay among various actors comprising supranational institutions, member states, sub-national authorities and private actors, which are the main features of the multi-level governance.
      번역하기

      The growing significance of the European Union(EU) raises important questions regarding the governance structure that lies behind its external policies. This article explores the EU governance structure and its processes by analyzing three different e...

      The growing significance of the European Union(EU) raises important questions regarding the governance structure that lies behind its external policies. This article explores the EU governance structure and its processes by analyzing three different external policy areas, such as the Common Foreign and Security Policy(CFSP), the Common Commercial Policy, and the Enlargement Policy. The findings of this article present that the concept of multi-level governance is useful in describing and analyzing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EU governance system even in its external relation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governance system in the EU external policies is neither exclusively supranational nor state-centric. Rather, there exist multiple tiers of decision- making and the complex interplay among various actors comprising supranational institutions, member states, sub-national authorities and private actors, which are the main features of the multi-level govern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유럽통합의 진전에 따라 유럽연합(EU)의 국제적 역할이 확대되면서 EU 대외정책의 거버넌스를 규명하고자 하는 학술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왔다. 이에 본고는 공동외교안보정책, 공동통상정책, 확대정책의 세 정책분야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EU의 거버넌스 체계를 연구, 분석하였다. EU 대외정책에 관한 사례연구 결과 EU 대외정책과정에 공통적으로 초국적, 국가, 국가하위단위 등 다층적 수준에서 다양한 정치행위자들이 참여하며 상호작용 하는 다층적 거버넌스 체계의 특성이 심화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었다. 즉, EU 대외정책의 발전과정에는 EU 내부의 정치행위자들의 정책적 선호가 유럽차원으로 수렴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동시에 점차 다양한 수준에서의 다수 정치행위자들이 적극적으로 정책결정 및 집행과정에 참여하는 권력의 분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다층화된 의사결정체제에 다양한 정책행위자가 참여하며 상호작용 하는 현상은 기존의 초국가주의적 혹은 국가간주의적 이론으로는 충분히 설명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오히려 EU의 대외정책분야에 나타나는 특성은 다층적 거번넌스의 이론적 관점에서 보다 엄밀하게 분석, 설명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번역하기

      유럽통합의 진전에 따라 유럽연합(EU)의 국제적 역할이 확대되면서 EU 대외정책의 거버넌스를 규명하고자 하는 학술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왔다. 이에 본고는 공동외교안보정책, 공동...

      유럽통합의 진전에 따라 유럽연합(EU)의 국제적 역할이 확대되면서 EU 대외정책의 거버넌스를 규명하고자 하는 학술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왔다. 이에 본고는 공동외교안보정책, 공동통상정책, 확대정책의 세 정책분야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EU의 거버넌스 체계를 연구, 분석하였다. EU 대외정책에 관한 사례연구 결과 EU 대외정책과정에 공통적으로 초국적, 국가, 국가하위단위 등 다층적 수준에서 다양한 정치행위자들이 참여하며 상호작용 하는 다층적 거버넌스 체계의 특성이 심화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었다. 즉, EU 대외정책의 발전과정에는 EU 내부의 정치행위자들의 정책적 선호가 유럽차원으로 수렴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동시에 점차 다양한 수준에서의 다수 정치행위자들이 적극적으로 정책결정 및 집행과정에 참여하는 권력의 분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다층화된 의사결정체제에 다양한 정책행위자가 참여하며 상호작용 하는 현상은 기존의 초국가주의적 혹은 국가간주의적 이론으로는 충분히 설명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오히려 EU의 대외정책분야에 나타나는 특성은 다층적 거번넌스의 이론적 관점에서 보다 엄밀하게 분석, 설명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기업의 대 EU 통상로비방안에 관한 연구" 13 : 207-214, 2001여름

      2 "유럽연합의 선택 통합에서 다층적 통치로의 전환" 청목출판사 2004

      3 "‘Multi-Level Games’ and the Analysis of the EU's External Commercial and Associated Policies Journal of European Public Policy" 206-224, 1999

      4 "Who Speaks for Europe? The Delegation of Trade Authority in the EU" 477-501, 1999

      5 "Toward a Theory of EU Foreign Policy-Making and National Adaptation to Europe’s Commo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740-758, 2004

      6 "The Role of Pressure Groups in Policy-Making" 302-322, 1990

      7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uropean Spac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urope" 3-12, 2001

      8 "The European Union’s Commercial Policy: Between Coherence and Fragmentation" 787-802, 2001

      9 "The EC and Changing Perspectives in Europe" 138-155, 1994

      10 "The Actors in Europe’s Foreign Policy" Routledge 1996

      1 "한국기업의 대 EU 통상로비방안에 관한 연구" 13 : 207-214, 2001여름

      2 "유럽연합의 선택 통합에서 다층적 통치로의 전환" 청목출판사 2004

      3 "‘Multi-Level Games’ and the Analysis of the EU's External Commercial and Associated Policies Journal of European Public Policy" 206-224, 1999

      4 "Who Speaks for Europe? The Delegation of Trade Authority in the EU" 477-501, 1999

      5 "Toward a Theory of EU Foreign Policy-Making and National Adaptation to Europe’s Commo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740-758, 2004

      6 "The Role of Pressure Groups in Policy-Making" 302-322, 1990

      7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uropean Spac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urope" 3-12, 2001

      8 "The European Union’s Commercial Policy: Between Coherence and Fragmentation" 787-802, 2001

      9 "The EC and Changing Perspectives in Europe" 138-155, 1994

      10 "The Actors in Europe’s Foreign Policy" Routledge 1996

      11 "Structural Policy in the European Community Institutions and Policy-Making in the" 1992191-224

      12 "Regional Mobilization in the European Union Governance in the European Union" 40-63, 1996

      13 "Policy Networks and Multiple Lobbying Strategies in EU Trade Policy-Making" 429-444, 2004

      14 "Policy Networks and European Union Policy Making: A Reply to Kassim" 389-400, 1995

      15 "National Interests and Conventional Statecraft in the European Community" 199119-56

      16 "Journal of Theoretical Politics" 319-338, 1990

      17 "International Embeddedness of European Multi-level Governance" 11 (11): 701-719, 2004

      18 "Institutions and the Boundaries of the Possible Journal of Common Market Studies" 595-618, 2001

      19 "How Does Europeanization Affect CEE Governance?: Conditionality, Diffusion and Diversity" 1013-1031, 2001

      20 "Governance by Conditionality EU Rule Transfer to the Candidate Countries of Central and Eastern Europe" 661-679, 2004

      21 "Enlargement, Institution-Building and the EU's Administrative Capacity Requirement" 173-177, 2002

      22 "EU의 무역장벽규정이 한국의 통상환경변화에 미친 영향 연구" 12 : 67-88, 2000년여름

      23 "EU 확대의 정치?경제적 이해 유럽연구" 13 : 63-78, 2001여름

      24 "Democracy Paradoxes in Multi-Level Governance Theorizing on Structural Fund System Research" 10 : 283-300, 2003

      25 "Counci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2052/88 of 24 June 1988 on the tasks of the Structural Funds and their effectiveness and on coordination of their activities between themselves and with the operations of the European Investment Bank and the other existing financial instruments"

      26 "Conditionality and Compliance in the EU’s Eastward Enlargement Regional Policy and the Reform of Sub-national Government" 42 : 523-551, 2004

      27 "Conclusion of the Presidency" sn180/1/1993rev1

      28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2005년7월

      29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2005년7월

      30 "An Evolving System of Multi-level Governance or Government?" 2001

      31 "A Bridge Too Phare? EU Pre-Accession Aid and Capacity-Building in the Candidate Countries" 77-98, 2004

      32 ".Beyond the Nation State:Functionalism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4

      33 ""유럽연합(European Union) 연구의 현황과 과제: 정치경제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6 (6): 25-54, 2002

      34 ""Preferences and Power in the European Community:A Liberal Intergovernmentalist Approach" 31 : 473-524, 1993

      35 ""Obstinate or Obsolete?:The Fate of the Nation State and the Case of Western Europe" 95 : 892-908, 196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0.63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