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이문, "환경철학" 미다스북스 2002
2 김규훈,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내용 구성 연구 : 생태학 기반의 사회문화적 소통을 근간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4
3 윤여탁, "창의성의 재개념화와 국어교육의 지향과 과제" 한국국어교육학회 (98) : 185-206, 2014
4 최홍원, "창의성에 대한 이해 지평의 확대와 국어교육적 재조명" 한국국어교육학회 (89) : 461-484, 2012
5 김창원, "창의성 중심의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향" 국어교육학회 (18) : 97-128, 2003
6 이경화,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국어과 교수-학습 분석" 청람어문교육학회 (26) : 25-56, 2003
7 이동원,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접근" 교육과학사 2009
8 김영채, "창의력의 이론과 개발" 교육과학사 2010
9 문용린, "창의·인성 교육 총론" 한국창의과학재단 2010
10 박수자, "창의 인성 계발과 국어과 교육의 과제" 한국어교육학회 (140) : 31-51, 2013
11 김시정, "융복합 교육의 양상에 대한 국어교육적 접근" 국어교육학회 (43) : 125-153, 2012
12 이삼형, "언어적 창의력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국어교육학회 (19) : 449-482, 2004
13 제민경, "언어 창의성 발현을 위한 교육적 체계의 구성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43) : 311-348, 2013
14 Valery, P., "신체의 미학" 현대미학사 1997
15 이성영, "생태학적으로 타당한 독서 교육을 위하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2) : 123-156, 2003
16 박인기, "생태학적 국어교육의 현실과 지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2) : 1-36, 2003
17 McIntosh, R. P., "생태학의 배경" 아르케 1999
18 표경현, "생태학 관점으로부터의 소그룹 토론 활동 이해: 출현, 유도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9 (19): 151-180, 2012
19 문현진, "생태적 사회과 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5 (15): 41-63, 2008
20 박육현, "생태언어학" 한국문화사 1999
21 김혜숙,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방향 모색 - 다문화 사회의 통합형 문법교육을 위하여" 한국국어교육학회 (93) : 5-46, 2012
22 김영채, "사고력: 이론개발과 수업" 교육과학사 1998
23 Steve, J., "미래와 진화의 열쇠, 이머전스" 김영사 2002
24 노명완, "미래사회에서의 전문활동과 국어능력" 한국어교육학회 (122) : 1-22, 2007
25 이광우,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II) -핵심 역량 영역별 하위 요소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26 서영진, "미래 사회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 – 국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27 김상욱, "문해력, 국어능력, 문학능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6) : 41-69, 2011
28 김욱동, "문학 생태학을 위하여" 민음사 1998
29 이동승, "독일 시의 생태시" 25 : 1990
30 이상아, "다큐멘터리의 언어적 창의성 연구 - ≪지식채널e≫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31) : 169-197, 2013
31 김미혜, "국어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회 (20) : 333-356, 2004
32 신명선, "국어적 창의성의 개념 정립에 대한 연구-정서 창의성의 도입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5) : 301-329, 2009
33 정혜승, "국어적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교재 구성 방안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4) : 125-164, 2004
34 왕문용, "국어능력과 삶의 질" 한국어교육학회 (113) : 79-102, 2004
35 박수자, "국어교육학과 사고" 역락 2007
36 김은성, "국어과 창의성 교육의 기본 개녕" 한국어교육학회 (113) : 175-202, 2004
37 김규훈, "국어과 창의 · 인성 교육의 실행 원리 탐색 ― 국어과 핵심 역량의 개념화를 바탕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40) : 409-448, 2013
38 이천희, "국어 능력의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어교육학회 (118) : 5-30, 2005
39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2012-14호 [별책 5], 국어과 교육과정"
40 박순경, "교육과정 총론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41 방인태, "道德的 人間 育成과 國語 能力" 한국어교육학회 (121) : 3-3, 2006
42 Stibbe, A., "Words and worlds: New Directions for Sustainability Literacy" 2 (2): 1-11, 2008
43 Lier, V. L., "The ecology and semiotics of language learning"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4
44 Gibson, J. J., "The concept of affordances, Perceiving, Acting, and Knowing" 67-82, 1979
45 Maturana, H., "The Tree of Knowledge" Shambhala 1987
46 Hare, M., "The Language of Morals" Oxford Clarendon Press 1952
47 Bloom, B. 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1: Cognitive domain" DEWEY 1956
48 Allee, W. C., "Principles of Animal Ecology" Saunders 1949
49 김남희, "PISA 읽기 소양과 21세기 국어 능력" 한국어교육학회 (138) : 41-71, 2012
50 Barton, D., "Literacy - An introduction to the ecology of written language" Blackwell 2007
51 Colucci‐Gray, L., "From scientific literacy to sustainability literacy: an ecological framework for education" 90 (90): 227-252, 2006
52 Bronfenbrenner, U., "Environments in developmental perspectives, Measuring environment across the life span: Emerging methods and concept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ress 3-28, 1999
53 Dodson, S. I., "Ec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54 Orr, D., "Ecological literacy - Education and transition to a postmodern world-"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2
55 Marzano, R. J., "Dimensions of Thinking: A Framework for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e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88
56 Bayer, B. K., "Developing a thinking skills program" Allyn and Bacon 1988
57 Gardner, H., "Creativity" Simon Schuster 28-47, 1993
58 Rhodes, M., "An Analysis of Creativity" 42 : 305-310, 1961
59 Anderson, L. W.,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Longman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