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향가 문법 형태의 표기에 반영된 고형(古形)과 개신형(改新形)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2597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지금까지 각 자료나 형태를 중심으로 기존에 논의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가, 특히 〈삼국유사〉 향가의 표기에 반영된 문법 형태 가운데 고형(古形)과 개신형(改新形)을 구분해 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우선 〈삼국유사〉 향가의 표기법은 창작 당시의 것으로 볼 수는 없고 9세기 이후의 것임을 논의하였다. 8~9세기의 이두 자료는 물론 8세기의 구결 자료 표기법의 특징을 고려했을 때 향가표기를 9세기 이전으로 보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형(古形)과 개신형(改新形)에 대한 논의 결과 향가에서 실사(實辭)로 쓰이는 ‘白’과 처격조사 ‘中’의 표기와 주체존대 선어말어미 표기인 ‘賜’ 표기 그리고 접미사 ‘爲’ 표기가 나타나지 않은 현상은 고형(古形)을 반영한 것으로 보았다. 반면 ‘等’과 ‘尸等焉/尸等隱’ 등이 문법화되어 ‘조건’의 의미로 쓰이는 것과 주격·대격 조사 표기가 나타나는 점, ‘良中, 敎’ 표기가 나타나는 점과 보조사 표기인 ‘者’가 ‘焉/隱’으로 대체되어 쓰이는 것 등은 개신형(改新形)이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번역하기

      이 글은 지금까지 각 자료나 형태를 중심으로 기존에 논의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가, 특히 〈삼국유사〉 향가의 표기에 반영된 문법 형태 가운데 고형(古形)과 개신형(改新形)을 구분해 ...

      이 글은 지금까지 각 자료나 형태를 중심으로 기존에 논의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가, 특히 〈삼국유사〉 향가의 표기에 반영된 문법 형태 가운데 고형(古形)과 개신형(改新形)을 구분해 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우선 〈삼국유사〉 향가의 표기법은 창작 당시의 것으로 볼 수는 없고 9세기 이후의 것임을 논의하였다. 8~9세기의 이두 자료는 물론 8세기의 구결 자료 표기법의 특징을 고려했을 때 향가표기를 9세기 이전으로 보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형(古形)과 개신형(改新形)에 대한 논의 결과 향가에서 실사(實辭)로 쓰이는 ‘白’과 처격조사 ‘中’의 표기와 주체존대 선어말어미 표기인 ‘賜’ 표기 그리고 접미사 ‘爲’ 표기가 나타나지 않은 현상은 고형(古形)을 반영한 것으로 보았다. 반면 ‘等’과 ‘尸等焉/尸等隱’ 등이 문법화되어 ‘조건’의 의미로 쓰이는 것과 주격·대격 조사 표기가 나타나는 점, ‘良中, 敎’ 표기가 나타나는 점과 보조사 표기인 ‘者’가 ‘焉/隱’으로 대체되어 쓰이는 것 등은 개신형(改新形)이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t is discussed the old and renovated grammatical morphemes that is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Hangga had been written forn 7th century until 9th century. The other side 〈Samgukyusa 三國遺事〉 that had been record the Hangga had been pressed in 12th century or 13th century. In this point of view, it is assumed that grammatical morphemes that is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have both the morphemes of 9th century and that of 12th century or 13th century.
      The old form that had been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are ‘sap 白’ that had been used as the lexical morpheme, ‘e 中’ that had been used as the transcription of locative, ‘si 賜’ that had been used as the transcription of subject honorofic pre-ending and the state of ‘ha 爲’ that had been used as the transcription of suffix is not founded.
      The renovated form are ‘dan 等’ and ‘euldan 尸等焉/尸等隱’ that had been used as the transcription of grammaticalized morpheme, the state of the transcription of subjective and objective are not founded, the state of ‘ahui 良中’ and ‘isi 敎’ are not founded and the state of ‘eun 焉/隱’ that had been used as the transcription of auxiliary is founded, but ‘eun 者’.
      번역하기

      In this paper, it is discussed the old and renovated grammatical morphemes that is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Hangga had been written forn 7th century until 9th century. The other side 〈Samgukyusa 三國遺事〉 that had been record the Hangga h...

      In this paper, it is discussed the old and renovated grammatical morphemes that is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Hangga had been written forn 7th century until 9th century. The other side 〈Samgukyusa 三國遺事〉 that had been record the Hangga had been pressed in 12th century or 13th century. In this point of view, it is assumed that grammatical morphemes that is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have both the morphemes of 9th century and that of 12th century or 13th century.
      The old form that had been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are ‘sap 白’ that had been used as the lexical morpheme, ‘e 中’ that had been used as the transcription of locative, ‘si 賜’ that had been used as the transcription of subject honorofic pre-ending and the state of ‘ha 爲’ that had been used as the transcription of suffix is not founded.
      The renovated form are ‘dan 等’ and ‘euldan 尸等焉/尸等隱’ that had been used as the transcription of grammaticalized morpheme, the state of the transcription of subjective and objective are not founded, the state of ‘ahui 良中’ and ‘isi 敎’ are not founded and the state of ‘eun 焉/隱’ that had been used as the transcription of auxiliary is founded, but ‘eun 者’.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향가 표기법의 시대적 특징
      • 3. 고형(古形)
      • 4. 개신형(改新形)
      • [국문초록]
      • 1. 서론
      • 2. 향가 표기법의 시대적 특징
      • 3. 고형(古形)
      • 4. 개신형(改新形)
      • 5. 결론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인옥, "「대명률직해」의 ‘-乎-, 在’에 대한 연구" 경상대학교 2002

      2 김완진, "향가해독법연구" 서울대출판부 1980

      3 박용식, "향가의 구비문학성에 대한 국어사적 고찰" 배달말학회 (45) : 43-68, 2009

      4 유창균, "향가비해" 형설출판사 1994

      5 남풍현, "향가 해독론 in: 향가연구" 태학사 79-104, 1998

      6 정재영, "합부금광명경(권3) 석독구결의 표기법과 한글 전사" 구결학회 3 : 113-193, 1998

      7 최범훈, "한자차용표기체계연구" 동국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77

      8 권인한, "한자음의 변화 in: 국어사연구" 태학사 283-344, 1997

      9 박용식, "초기 이두 자료의 문법 형태" 경상어문학회 9 : 49-69, 2003

      10 이승재, "차자표기의 변화 in: 국어사연구" 태학사 211-246, 1997

      1 문인옥, "「대명률직해」의 ‘-乎-, 在’에 대한 연구" 경상대학교 2002

      2 김완진, "향가해독법연구" 서울대출판부 1980

      3 박용식, "향가의 구비문학성에 대한 국어사적 고찰" 배달말학회 (45) : 43-68, 2009

      4 유창균, "향가비해" 형설출판사 1994

      5 남풍현, "향가 해독론 in: 향가연구" 태학사 79-104, 1998

      6 정재영, "합부금광명경(권3) 석독구결의 표기법과 한글 전사" 구결학회 3 : 113-193, 1998

      7 최범훈, "한자차용표기체계연구" 동국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77

      8 권인한, "한자음의 변화 in: 국어사연구" 태학사 283-344, 1997

      9 박용식, "초기 이두 자료의 문법 형태" 경상어문학회 9 : 49-69, 2003

      10 이승재, "차자표기의 변화 in: 국어사연구" 태학사 211-246, 1997

      11 이승재, "차자표기 자료의 격조사 연구" 국어국문학회 127 : 107-132, 2000

      12 양주동, "증정고가연구" 일조각 1965

      13 장세경, "이두자료 읽기 사전"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1

      14 서종학, "이두의 역사적 연구" 영남대학교출판부 1995

      15 박용식, "이두의 생략 표기에 대한 연구" 경상대학교 2003

      16 남풍현, "이두연구" 태학사 2000

      17 배대온, "이두문법소의 통시적연구" 경상대학교출판부 2002

      18 배대온, "이두 처격조사의 통시적 고찰" 배달말학회 21 : 139-156, 1996

      19 정재영, "의존명사 ‘’의 문법화" 태학사 1996

      20 남풍현, "유가사지론(권20) 석독구결의 표기법과 한글 전사" 구결학회 3 : 253-336, 1998

      21 이 용, "연결 어미의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00

      22 배대온, "역대 이두사전" 형설출판사 2003

      23 황규찬, "신라표원의 화엄학" 민족사 1998

      24 김성주, "사토본 『화엄문의요결문답』의 부호" 한국어문학연구학회 (53) : 123-148, 2009

      25 홍기문, "리두 연구" 과학윈 1957

      26 박용식, "대명률직해에서의 이두의 생략에 관한 연구" 8 : 27-45, 2002

      27 혁련정, "균여전 역주" 동악어문학회 14 : 1-20, 1981

      28 남풍현, "균여전" 국어연구소 12 : 109-116, 1988

      29 한영환, "균여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돈암어문학회 1 : 77-92, 1988

      30 이기문, "국어학개설(개정판)" 탑출판사 1968

      31 남성우, "구역인왕경 석독구결의 표기법과 한글 전사" 구결학회 3 : 195-251, 1998

      32 이승재, "고려시대의 이두" 태학사 1992

      33 황선엽, "고대국의 처격 조사" 한말연구학회 (18) : 307-330, 2006

      34 최미현, "고대국어의 자리토씨 연구" 동의대학교 1998

      35 남풍현, "고대국어의 문법형태" 제3차 환태평양 한국학 국제회의 조직위원회편 422-455, 2000

      36 최남희, "고대국어의 목적격 조사에 대하여" 20 : 31-46, 1985

      37 최남희, "고대국어 형태론" 박이정 1996

      38 이승재, "고대 국어 형태 in: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국립국어연구원 41-75, 1998

      39 남풍현, "고대 국어 자료 in: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국립국어연구원 207-241, 1998

      40 박진호, "고대 국어 문법 in: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국립국어연구원 121-205, 1998

      41 소림방규, "韓國의 角筆點과 日本의 古訓點의 關係" 구결학회 (8) : 21-76, 2002

      42 박진호, "鄕歌 解讀과 國語 文法史" 국어학회 (51) : 313-338, 2008

      43 小林芳規, "日本 訓点의 一源流" 구결학회 (17) : 5-41, 2006

      44 소림방규, "新羅經典에 기입된 角筆文字와 符號-京都?大谷大?? ?判比量論?에서의 ?見-" 구결학회 (10) : 2003

      45 南豊鉉, "新羅時代 口訣의 再構를 위하여" 구결학회 (8) : 77-107, 2002

      46 남풍현, "古代國語의 時代 區分" 구결학회 (11) : 1-22, 2003

      47 고정의, "口訣 硏究의 現況과 課題" 구결학회 12 (12): 5-46, 2004

      48 김영욱, "判比量論의 國語學的 硏究" 구결학회 (12) : 81-97, 2004

      49 김영욱, "佐藤本 華嚴文義要訣의 國語學的 硏究" 구결학회 (10) : 47-77, 2003

      50 김성주, "佐藤本 『華嚴文義要決問答』의 口訣" 구결학회 (23) : 67-96, 2009

      51 황선엽, "三國遺事와 均如傳의 鄕札 表記字 비교" 국어학회 (51) : 279-311, 2008

      52 박용식, "『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에 나타난 언어의 시대적 특징 고찰" 구결학회 (14) : 173-196, 2005

      53 정재영, "『華嚴文義要決問答』에 대한 文獻學的 硏究" 구결학회 (23) : 31-65, 2009

      54 조재형, "‘-에’형 부사격조사의 통시적 연구" 중앙대학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 -> 동악어문학
      외국어명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5-02-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 동악어문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Dong-ak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Dong-ak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 1.22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