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지역화 교육을 위한 김포 지역 음악 문화유산 교과 통합 수업 방안 = A Study on the Integrated Teaching Methods of Music Cultural Heritage in Gimpo for Localiz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686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value of the music cultural heritage of the Gimpo region and to discuss ways to utilize the music cultural heritage of the Gimpo region for educational purpos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selected educationally applicable elements and related subjects of the musical cultural heritage of the Gimpo region(Gimpo Tongjin Duraenori, Gimpo Jigyeong Dajinori, Daemyeonghang Baeddiuneun Sori) and presented an integrated teaching methods.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lies in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value of the musical cultural heritage of the Gimpo region and exploring its potential use within school educational settings. Additionally,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presented the diversity of songs materials by discovering local folk songs with distinctiv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s are suggestions based on the study. Firstly, classroom teachers should be interested in the music cultural heritage of the region where they work, apply it to the educational context, and play a role in passing it on to local students. Secondly, local governments and offices of education should allocate policy attention and provide support for the music cultural heritage of their respective region.
      This study centered on educating local students about the value of local music cultural heritage and importance of its preservation and developing it a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us, it will greatly assist localizing the curriculum, fostering a sense of attachment to the region, and generating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value of the music cultural heritage of the Gimpo region and to discuss ways to utilize the music cultural heritage of the Gimpo region for educational purposes. To achieve this pur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value of the music cultural heritage of the Gimpo region and to discuss ways to utilize the music cultural heritage of the Gimpo region for educational purpos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selected educationally applicable elements and related subjects of the musical cultural heritage of the Gimpo region(Gimpo Tongjin Duraenori, Gimpo Jigyeong Dajinori, Daemyeonghang Baeddiuneun Sori) and presented an integrated teaching methods.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lies in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value of the musical cultural heritage of the Gimpo region and exploring its potential use within school educational settings. Additionally,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presented the diversity of songs materials by discovering local folk songs with distinctiv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s are suggestions based on the study. Firstly, classroom teachers should be interested in the music cultural heritage of the region where they work, apply it to the educational context, and play a role in passing it on to local students. Secondly, local governments and offices of education should allocate policy attention and provide support for the music cultural heritage of their respective region.
      This study centered on educating local students about the value of local music cultural heritage and importance of its preservation and developing it a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us, it will greatly assist localizing the curriculum, fostering a sense of attachment to the region, and generating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김포 지역의 음악 문화유산의 교육적ㆍ문화적 가치를 고찰하고,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검토하고, 김포 지역의 음악 문화유산(김포통진두레놀이, 김포지경다지놀이, 대명항 배 띄우는 소리)의 교육적 활용 요소와 관련 교과를 선정하여 교과 통합 수업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김포 지역의 음악 문화유산의 교육적ㆍ문화적 가치를 알게 되고, 학교 교육현장에 활용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것이다. 또한 지역 특색이 강한 향토 민요를 발굴하여 제재곡의 다양성을 제시했다는 것도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언을 하자면 첫째, 현장 교원들이 본인이 근무하는 지역의 음악 문화유산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지역 학생들에게 전수할 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 차원에서 우리 지역의 음악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정책적으로 아끼지 않아야 한다.
      지역 학생들에게 지역 음악 문화유산의 가치와 보존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교수ㆍ학습 자료로 개발한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고장에 대한 애향심, 그리고 국악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하는 데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김포 지역의 음악 문화유산의 교육적ㆍ문화적 가치를 고찰하고,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검토하고, ...

      본 연구는 김포 지역의 음악 문화유산의 교육적ㆍ문화적 가치를 고찰하고,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검토하고, 김포 지역의 음악 문화유산(김포통진두레놀이, 김포지경다지놀이, 대명항 배 띄우는 소리)의 교육적 활용 요소와 관련 교과를 선정하여 교과 통합 수업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김포 지역의 음악 문화유산의 교육적ㆍ문화적 가치를 알게 되고, 학교 교육현장에 활용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것이다. 또한 지역 특색이 강한 향토 민요를 발굴하여 제재곡의 다양성을 제시했다는 것도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언을 하자면 첫째, 현장 교원들이 본인이 근무하는 지역의 음악 문화유산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지역 학생들에게 전수할 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 차원에서 우리 지역의 음악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정책적으로 아끼지 않아야 한다.
      지역 학생들에게 지역 음악 문화유산의 가치와 보존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교수ㆍ학습 자료로 개발한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고장에 대한 애향심, 그리고 국악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하는 데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