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래인구추계를 위한 출산력 가정치의 설정 = Development of Fertility Assumptions for the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장래인구추계를 위하여 논리적이고 상대적으로 정확한 연령별 출산율의 가정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먼저 코호트별 출산순위별 연령별 출산율의 추정과 추계를 위하여 Coal...

      본 연구의 목적은 장래인구추계를 위하여 논리적이고 상대적으로 정확한 연령별 출산율의 가정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먼저 코호트별 출산순위별 연령별 출산율의 추정과 추계를 위하여 Coale-McNeil 모형을 일반화한 로그감마분포모형을 선택한다. 다음은 보정형의 연령별 출산율 모형을 재생산을 완료하지 않은 상대적으로 젊은 출생코호트를 포함하는 실적치 자료에 맞추기 위하여, 출산력 파라메터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연구는 일련의 출생코호트의 출생순위별 연령별 출산율을 역출하여, 장래의 특정연도 대하여 연령별 출산율을 추계한다. 가령, 2010년의 20세의 연령별 출산율은 1990년에 태어난 출생코호트의 20세에서의 연령별 출산율이고, 2010년의 21세의 연령별 출산율은 1989년에 태어난 출생코호트의 21세에서의 연령별 출산율에 해당한다. 결국 2010년에 태어난 코호트까지의 연령별 출산율의 추계치를 얻게 되면, 2055년도까지의 기간별(연도별-령별 출산율에 대한 가정치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출산력 가정치와 통계청의 2005년 장래인구 특별추계의 가정치 사이에 차이가 나는 것은 본 연구의 출산예측모형에서 혼인연령의 상승과 독신여성의 증가로 인한 출산력 저하의 최근 추세를 제대로 반영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출산력 가정치가 논리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장래인구추계와 관련하여, 출산력 가정치 설정을 위한 출산예측모형의 본질적 과제는 어떻게 기간효과(를 슬기롭게 다루느냐 하는 것이다. 코호트모형을 근간으로 하여, 최근의 실적치를 바탕으로 약간의 기간적 수정을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간효과를 별도로 취급하기는 쉽지 않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jor aim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hypothetical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which are logically derived and reasonably accurate in the projection of future population. The first procedure is to select a generalized log-gamma distribut...

      The major aim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hypothetical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which are logically derived and reasonably accurate in the projection of future population. The first procedure is to select a generalized log-gamma distribution model, which includes Coale-McNeil nuptiality model, in order to estimate and project a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by birth cohort and birth order. The second is to apply the log-gamma model with an empirical adjustment to the actual data to estimate and project the future fertility rates for relatively young birth cohorts who did not complete their reproductive career.
      This study reconstructs or translates a set of cohort age-specific fertility rates into a set of period age-specific fertility rates which must be hypothesized in order to establish the broader framework of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For example, the fertility at age 20 in the year of 2020 is the fertility at age 20 for the cohort born in 1990, while the fertility at age 21 in the year of 2020 is the fertility at 21 for the cohort born in 1989. In turn, once a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for the cohorts who were born up to the year of 2010, it is possible for one to establish an hypothetical set of period age-specific fertility rates which will be needed to project the future population until the year of 2055.
      The difference in the hypothetical system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between this study and the 2005 special population projection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fertility estimation/projection model used in this study was skillfully exploited to reflect better actual trend of fertility decline caused by rise in marriage age and increasing proportion of those who remain single until their end of reproduct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argues that the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derived from this study is more logical and reasonably accurate than the set of those used for the 2005 special projection. In the population projection, however, the fundamental issue of the hypothetical setting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in relation to the fertility estimation/projection model is about how skillfully one can handle the period effects. It is not easy for one to completely cope with the problem of period effects except for the a minor period adjustment based on recent actual data, along with the given framework of a cohort-based fertility estimation/projection mod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국어 초록
      • Ⅰ. 출산예측모형의 선택과 보정
      • Ⅱ. 출산력 파라메터의 추정과 설정
      • Ⅲ. 장래 연령별 출산율의 가정치 설정
      • Ⅳ. 맺음말
      • 한국어 초록
      • Ⅰ. 출산예측모형의 선택과 보정
      • Ⅱ. 출산력 파라메터의 추정과 설정
      • Ⅲ. 장래 연령별 출산율의 가정치 설정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ENGLISH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2.07 2.564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