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 도시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증의 연관성 =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ve Disorder Among Emotional Laborers in a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79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ve disorder among emotional laborers in a city. Methods : A total of 677 emotional laborers living in Jeonju-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

      Objective :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ve disorder among emotional laborers in a city. Methods : A total of 677 emotional laborers living in Jeonju-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completed survey questions regar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 stress (using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24, KOSS-24), and depression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on. Results : Our results indicated that 34.9% of the participants had a high risk of total job stress and 21.7% of participants had depression. In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emale sex (OR=1.66, 95% CI=1.01-2.72) and total job stress (OR=3.84, 95% CI=2.57-5.75)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Among the subscales of job stress, job demand (OR=3.06, 95% CI=1.99-4.72) and occupational climate (OR=1.88, 95% CI=1.19-2.97)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But insufficient job control, interpersonal conflict, job insecurity,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lack of rewards were not. Conclusion : Among the emotional laborers, job stress, particularly job demand and occupational climate, were major contributing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Early screening and preventive strategies focusing on job stress could reduce the impact of depression in emotional labor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우, "현장직 소방공무원에서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 증상의 관련성"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2 (22): 378-387, 2010

      2 장세진,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7 (17): 297-317, 2005

      3 박준혁, "한국의 우울증 역학에 대한 고찰" 대한의사협회 54 (54): 362-369, 2011

      4 백종태,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290-299, 2018

      5 김윤신,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및 불안 증상의 연관성" 대한불안의학회 11 (11): 38-46, 2015

      6 이홍자, "중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16 (16): 1-10, 2016

      7 정갑열,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16 (16): 158-167, 2007

      8 유상곤, "일부 공공서비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감정노동과 근골격계 증상 및 결근∙조퇴와 관련성"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3 (23): 192-202, 2011

      9 안지영, "일개 병원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16 (16): 139-146, 2007

      10 "law.go.kr"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1 김태우, "현장직 소방공무원에서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 증상의 관련성"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2 (22): 378-387, 2010

      2 장세진,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7 (17): 297-317, 2005

      3 박준혁, "한국의 우울증 역학에 대한 고찰" 대한의사협회 54 (54): 362-369, 2011

      4 백종태,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290-299, 2018

      5 김윤신,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및 불안 증상의 연관성" 대한불안의학회 11 (11): 38-46, 2015

      6 이홍자, "중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16 (16): 1-10, 2016

      7 정갑열,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16 (16): 158-167, 2007

      8 유상곤, "일부 공공서비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감정노동과 근골격계 증상 및 결근∙조퇴와 관련성"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3 (23): 192-202, 2011

      9 안지영, "일개 병원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16 (16): 139-146, 2007

      10 "law.go.kr"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11 "kostat.go.kr" Statistics Korea

      12 "kli.re.kr" Korea Labor Institute

      13 "cdc.go.kr"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14 Spitzer RL, "Validation and utility of a selfreport version PRIME-MD : the PHQ primary care study" 282 : 1737-1744, 1999

      15 Wharton AS, "The sociology of emotional labor" 35 : 147-165, 2009

      16 Kessler RC, "The epidemiology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NCS-R)" 289 : 3095-3105, 2003

      17 Moris JA,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21 : 986-1010, 1996

      18 Kroenke K, "The PHQ-9 : validity of a brief depression severity measure" 16 : 606-613, 2001

      19 Bertolote JM, "Suicide and mental disorders: do we know enough?" 183 : 382-383, 2003

      20 Murcia M, "Psychosocial work factors, major depressive and generalised anxiety disorders : results from the French national SIP study" 146 : 319-327, 2013

      21 Nieuwenhuijsen K,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stress-related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60 : 277-286, 2010

      22 Niedhammer I,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and subsequent depressive symptoms in the Gazel cohort" 24 : 197-205, 1998

      23 손지훈, "Prevalence, Work-Loss Days and Quality of Life of Community Dwelling Subjects with Depressive Symptoms" 대한의학회 28 (28): 280-286, 2013

      24 Cho JJ,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Korean employees" 82 : 47-57, 2008

      25 "Moel.go.kr"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6 Hendriks SM, "Long-term work disability and absenteeism in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 178 : 121-130, 2015

      27 Park SG, "Job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employees: the effects of culture on work" 82 : 397-405, 2009

      28 Joffe H, "Estrogen, serotonin, and mood disturbance: where is the therapeutic bridge?" 44 : 798-811, 1998

      29 Han KM, "Emotional labor and depressive mood in service and sales workers: Interactions with gender and job autonomy" 267 : 490-498, 2018

      30 Brotheridge CM, "Emotional labor and burnout :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People Work"" 60 : 17-39, 2002

      31 Shigemi J, "Effects of perceived job stress on mental health. A longitudinal survey in a japanese electronics company" 16 : 371-376,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5 0.63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