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월인천강지곡』의 국어사적 가치와 문헌적 성격에 대한 재조명 = Reconsidering Worincheongangjigok (月印千江之曲) :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and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月印千江之曲』을 연구 대상으로 國語史的 價値와 文獻的 性格 및 位相을 재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어학적, 문헌학적 관점에서 이 문헌을 ‘훈민정음’ 창제 초기문헌들과 다각도로 비교·분석하여 이 문헌의 역사적 가치를 재평가하였다. 그리고 불교경전 중 하나인 『妙法蓮華經』의 서술 방식과 대비해봄으로써 이 문헌의 성격과 위상을 새롭게 밝혔다.
      월인천강지곡에 적용된 국어 음운의 문자화 양상은, 훈민정음 해례본의 제자원리와 비교해 볼 때 初聲 자형은 原型的 이미지가 그대로 유지·계승되었다. 그러나 中聲자형은 원형적 이미지가 일부만 유지되고(‘·’와 ‘ㆎ’), ‘·’와 결합한 나머지 모든 중성 글자는 圓點(·)이 짧은 劃(? ??)으로 모두 변경되었다. 이는 書寫의 실용성이 강조된 발전적 변화이지만, 훈민정음 창제자가 의도한 重母音 [‘ㅐ’(ㅏㅣ), ‘ㅒ’(ㅑㅣ) 등]의 繼起的 음성 실현 양상을 文字化하려던 목표는 약화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문헌의 국어 표기법을 훈민정음 초기문헌들과 비교해 보면, ①分綴, ②종성 표기, ③사이시옷 표기, ④한자음과 한자·한글 표기 면에서 특징적 양상을 보인다. 國語史의 관점에서, ‘분철 표기’는 훈민정음 표기법의 역사에서 처음으로 일관성 있는 조건에서 可讀性을 고려해 시도되었으며, ‘종성 표기’도 가독성을 고려하되 훈민정음 ‘例義篇’의 “종성부용초성” 규정을 철저하게 적용한 대표적인 문헌이다. 특히 ‘종성 표기’와 관련해서는 훈민정음 ‘예의편’의 “終聲復用初聲” 규정을 이론과 실제 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록 문장은 하나이지만 실제로는 ‘종성 制字에 관한 규정’과 ‘종성 표기에 관한 규정’을 겸한 重義的 규정이라는 사실을 새롭게 밝혔다. 한편, ‘사이시옷 표기’는 ‘ㅅ’ 하나로 통일되었는데, 실용성에 기초해 표기법의 간소화를 실천한 선도적인 문헌이다. ‘한자음과 한글·한자 표기’는 두 가지 독특한 표기 양상을 보인다. 첫째, 국한혼용문에서 ‘한글ː한자’ 형식으로 한글을 앞에 크게, 한자는 그 뒤에 작게 표기하였다. 둘째, 15세기 보편적 문헌과 달리 한자음의 종성에 후음 ‘ㅇ’를 표기하지 않았다. 이 두 특징은 ‘한글(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지위를 다른 문헌들보다 높게 인식한 증거로서, 한글 중심 문자생활의 최초의 전범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으며, 자주의식의 반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문헌학의 관점에서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 월인석보 등 세 문헌의 제작 경위를 재구성하고, 번역의 관점에서 석보상절과 그것의 底經, 그리고 월인천강지곡 등 3자의 상관관계를 ‘라후라의 출가’ 부분과, 또 다른 불경 『妙法蓮華經』의 서술 방식을 분석해 대비·검토하였다. 그 결과, 석보상절은 관련 저경이 존재하며 이 한문 불경을 ‘詳·節’하여 正音으로 번역한 불경언해이고, 월인천강지곡은 국어로 번역된 석보상절을 토대로 그 내용을 압축·생략하여 韻文化(詩歌化)한 운문 불경임을 실증하였다. 또한 『妙法蓮華經』을 분석하여 월인천강지곡과 관련된 선행·후행 텍스트의 성격과 위상을 새롭게 밝혔다. 『묘법연화경』의 서술 방식은 長行과 重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석보상절은 관련 底經을 ‘正音’으로 번역한 불교경전의 長行에 대응되며, 월인천강지곡은 장행으로 되어 있는 석보상절을 기반으로 ‘훈민정음’으로 그 내용을 요약·압축해 韻文으로 표현한 운문 불경집 곧 重頌集에 대응된다. 이와 같은 성격의 문헌은 우리나라 최초의 것이고 유일한 것이다. 그리고 이것과 석보상절을 합편한 월인석보(1459)는 조선 세조 대에 조성한 우리나라 최초의 ‘훈민정음 대장경’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月印千江之曲』을 연구 대상으로 國語史的 價値와 文獻的 性格 및 位相을 재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어학적, 문헌학적 관점에서 이 문헌을 ‘훈민정음’ 창제 초기...

      이 글은 『月印千江之曲』을 연구 대상으로 國語史的 價値와 文獻的 性格 및 位相을 재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어학적, 문헌학적 관점에서 이 문헌을 ‘훈민정음’ 창제 초기문헌들과 다각도로 비교·분석하여 이 문헌의 역사적 가치를 재평가하였다. 그리고 불교경전 중 하나인 『妙法蓮華經』의 서술 방식과 대비해봄으로써 이 문헌의 성격과 위상을 새롭게 밝혔다.
      월인천강지곡에 적용된 국어 음운의 문자화 양상은, 훈민정음 해례본의 제자원리와 비교해 볼 때 初聲 자형은 原型的 이미지가 그대로 유지·계승되었다. 그러나 中聲자형은 원형적 이미지가 일부만 유지되고(‘·’와 ‘ㆎ’), ‘·’와 결합한 나머지 모든 중성 글자는 圓點(·)이 짧은 劃(? ??)으로 모두 변경되었다. 이는 書寫의 실용성이 강조된 발전적 변화이지만, 훈민정음 창제자가 의도한 重母音 [‘ㅐ’(ㅏㅣ), ‘ㅒ’(ㅑㅣ) 등]의 繼起的 음성 실현 양상을 文字化하려던 목표는 약화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문헌의 국어 표기법을 훈민정음 초기문헌들과 비교해 보면, ①分綴, ②종성 표기, ③사이시옷 표기, ④한자음과 한자·한글 표기 면에서 특징적 양상을 보인다. 國語史의 관점에서, ‘분철 표기’는 훈민정음 표기법의 역사에서 처음으로 일관성 있는 조건에서 可讀性을 고려해 시도되었으며, ‘종성 표기’도 가독성을 고려하되 훈민정음 ‘例義篇’의 “종성부용초성” 규정을 철저하게 적용한 대표적인 문헌이다. 특히 ‘종성 표기’와 관련해서는 훈민정음 ‘예의편’의 “終聲復用初聲” 규정을 이론과 실제 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록 문장은 하나이지만 실제로는 ‘종성 制字에 관한 규정’과 ‘종성 표기에 관한 규정’을 겸한 重義的 규정이라는 사실을 새롭게 밝혔다. 한편, ‘사이시옷 표기’는 ‘ㅅ’ 하나로 통일되었는데, 실용성에 기초해 표기법의 간소화를 실천한 선도적인 문헌이다. ‘한자음과 한글·한자 표기’는 두 가지 독특한 표기 양상을 보인다. 첫째, 국한혼용문에서 ‘한글ː한자’ 형식으로 한글을 앞에 크게, 한자는 그 뒤에 작게 표기하였다. 둘째, 15세기 보편적 문헌과 달리 한자음의 종성에 후음 ‘ㅇ’를 표기하지 않았다. 이 두 특징은 ‘한글(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지위를 다른 문헌들보다 높게 인식한 증거로서, 한글 중심 문자생활의 최초의 전범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으며, 자주의식의 반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문헌학의 관점에서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 월인석보 등 세 문헌의 제작 경위를 재구성하고, 번역의 관점에서 석보상절과 그것의 底經, 그리고 월인천강지곡 등 3자의 상관관계를 ‘라후라의 출가’ 부분과, 또 다른 불경 『妙法蓮華經』의 서술 방식을 분석해 대비·검토하였다. 그 결과, 석보상절은 관련 저경이 존재하며 이 한문 불경을 ‘詳·節’하여 正音으로 번역한 불경언해이고, 월인천강지곡은 국어로 번역된 석보상절을 토대로 그 내용을 압축·생략하여 韻文化(詩歌化)한 운문 불경임을 실증하였다. 또한 『妙法蓮華經』을 분석하여 월인천강지곡과 관련된 선행·후행 텍스트의 성격과 위상을 새롭게 밝혔다. 『묘법연화경』의 서술 방식은 長行과 重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석보상절은 관련 底經을 ‘正音’으로 번역한 불교경전의 長行에 대응되며, 월인천강지곡은 장행으로 되어 있는 석보상절을 기반으로 ‘훈민정음’으로 그 내용을 요약·압축해 韻文으로 표현한 운문 불경집 곧 重頌集에 대응된다. 이와 같은 성격의 문헌은 우리나라 최초의 것이고 유일한 것이다. 그리고 이것과 석보상절을 합편한 월인석보(1459)는 조선 세조 대에 조성한 우리나라 최초의 ‘훈민정음 대장경’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월인천강지곡』의 어학적 분석과 역사적 가치
      • Ⅲ.『월인천강지곡』의 문헌적 성격과 위상
      • Ⅳ. 맺음말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월인천강지곡』의 어학적 분석과 역사적 가치
      • Ⅲ.『월인천강지곡』의 문헌적 성격과 위상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ㄷ정우영, "훈민정음 해례본 ‘예의편’의 구조 분석 : ‘해례편’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훈민정음학회 67-100, 2013

      2 정우영, "훈민정음 언해본 텍스트의 새로운 분석" 한국어학회 1-16, 2013

      3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4 안병희, "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국어학적 고찰" 서울대학교 도서관 109-148, 1979

      5 이병운, "중세국어의 음절과 표기법 연구" 세종출판사 2000

      6 허웅, "주해 월인천강지곡 상" 신구문화사 1999

      7 이길록, "종성 표기론의 사적 고찰" 한글학회 158 : 24-55, 1976

      8 박병천,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훈민정음·동국정운·월인천강지곡" 일지사 2000

      9 허경무, "조선 시대 한글 서체의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10 안병희, "월인천강지곡해제" 문화재관리국 1992

      1 ㄷ정우영, "훈민정음 해례본 ‘예의편’의 구조 분석 : ‘해례편’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훈민정음학회 67-100, 2013

      2 정우영, "훈민정음 언해본 텍스트의 새로운 분석" 한국어학회 1-16, 2013

      3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4 안병희, "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국어학적 고찰" 서울대학교 도서관 109-148, 1979

      5 이병운, "중세국어의 음절과 표기법 연구" 세종출판사 2000

      6 허웅, "주해 월인천강지곡 상" 신구문화사 1999

      7 이길록, "종성 표기론의 사적 고찰" 한글학회 158 : 24-55, 1976

      8 박병천, "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훈민정음·동국정운·월인천강지곡" 일지사 2000

      9 허경무, "조선 시대 한글 서체의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10 안병희, "월인천강지곡해제" 문화재관리국 1992

      11 윤석민,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성 : 기85~기92의 응결성과 응집성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회 8 : 57-78, 2000

      12 고영근,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분석" 집문당 2003

      13 김기종, "월인천강지곡의 저경과 문학적 성격" 보고사 2010

      14 고성환, "월인천강지곡의 운율성" 텍스트언어학회 8 : 79-102, 2000

      15 안승준, "월인천강지곡의 부안 실상사 소장 경위와 그 전개 과정" 한국학중앙연구원 101-125, 2014

      16 조흥욱, "월인천강지곡의 문학적 연구" 국민대학교 출판부 2008

      17 사재동, "월인천강지곡의 몇 가지 문제" 어문연구회 5 : 1982

      18 박금자, "월인천강지곡의 간텍스트성 : 석보상절과 석가보·‘諸經’과의 비교" 한국텍스트언어학회 8 : 25-56, 2000

      19 김차균, "월인천강지곡에 나타나는 표기체계와 음운" 한글학회 194 : 15-53, 1986

      20 남광우, "월인천강지곡 해제" 국어학회 (창간) : 1962

      21 남광우, "월인천강지곡 상" 형설출판사 1978

      22 이기문, "용비어천가 국문가사의 제문제" 아세아문제연구소 5 (5): 87-131, 1962

      2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세종시대의 문화" 태학사 2001

      24 이호권, "석보상절의 서지와 언어" 태학사 2001

      25 이종찬, "서사시 <석가여래행적송> 고찰" 불광출판사 168-180, 1993

      26 박병채, "논주 월인천강지곡(상)" 정음사 1974

      27 박병채, "논주 월인천강지곡(상)" 세영사 1991

      28 고영근, "김영배선생회갑기념논총" 경운출판사 77-84, 1991

      29 홍윤표, "글꼴 1998 한글 글꼴의 역사와 미래" 한글글꼴개발원 89-219, 1998

      30 이기문,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연구" 한국연구원 1963

      31 이익섭, "국어표기법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2

      32 이광호, "국어사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지성사 311-337, 1993

      33 김영배, "국어사자료연구" 월인 2000

      34 안병희, "국어사자료연구" 문학과지성사 1992

      35 김정아,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 지성사 77-92, 1993

      36 고영근,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지성사 93-122, 1993

      37 김영배, "국어사 자료 연구 Ⅱ"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3

      38 정우영, "국어 표기법의 변화와 그 해석-15세기 관판 한글문헌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26) : 293-326, 2005

      39 이희승, "고친판 한글 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1994

      40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국어사전편찬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41 이기문,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0

      42 池春洙, "國語 表記史 硏究" 경희대학교 대학원 1986

      43 정우영, "『訓民正音』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 국어국문학회 141 : 75-113, 2005

      44 김기종, "「釋譜詳節」의 저경과 저경 수용 양상" 한국서지학회 (30) : 151-182, 2005

      45 이숭녕, "‘애·에·외’의 음가 변이론" 한글학회 106 : 25-35, 1949

      46 허웅, "‘애 에 외 위’의 음가" 국어국문학회 1 : 5-8, 1952

      47 정소연, "<龍飛御天歌>와 <月印千江之曲> 비교연구 -양층언어현상(Diglossia)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33 (33): 187-222, 2009

      48 조규익, "<월인천강지곡>의 사건전개 양상과 장르적 성격" 어문연구학회 46 : 273-302, 2004

      49 이호권, "<月印千江之曲> 結詞의 再構 試論" 국어국문학회 157 (157): 61-86, 2011

      50 이익섭, "15세기 국어의 표기법 연구" 국어연구회 10 : 196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3-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angseogak -> JANGSEOGAK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7 1.505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