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 필자는 『미암일기초』에 수록된 유희춘의 얼녀 방매명문을 소개하겠다. 이 명문은 유희춘이 작성한 초안으로, 문서의 형식과 기재 요소 등이 모두 갖추어져 있지 않다는 점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23819
2014
Korean
미암일기초 ; 유희춘 ; 얼녀 ; 방매명문 ; 오자와 탈자 ; 모자이크 기법 ; 숨은그림찾기 ; Miam Ilgicho (Daily Document Draft by Miam) ; Yu ; Hee Chun ; Eolnyeo (daughter born from a second wife from the lowest class in the society) ; Bangmae Myeongmun (slave release document) ; error and missing characters ; mosaic technique ; hidden object game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78-107(3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 필자는 『미암일기초』에 수록된 유희춘의 얼녀 방매명문을 소개하겠다. 이 명문은 유희춘이 작성한 초안으로, 문서의 형식과 기재 요소 등이 모두 갖추어져 있지 않다는 점에서 ...
이 글에서 필자는 『미암일기초』에 수록된 유희춘의 얼녀 방매명문을 소개하겠다. 이 명문은 유희춘이 작성한 초안으로, 문서의 형식과 기재 요소 등이 모두 갖추어져 있지 않다는 점에서 ‘반쪽 문서’라 할 수 있다. 또 『미암일기초』로 移記되는 과정에서 원문을 잘못 해독하여 오자와 탈자가 적지 않아 문서의 내용을 온전히 파악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에 필자는 우선 원문과의 대조를 통해 오자와 탈자를 바로잡고 보완해서 문서의 내용을 온전히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이어서 『미암일기초』에 나오는 관련 기사 등을 분석해서 얼녀를 사고판 사람, 문서 작성자, 방매일자 등을 밝혀냈다. 이처럼 문서의 내용을 복원하는 데에는 일종의 모자이크 기법이 동원되었다. 다음으로 문서를 복원하면서 제기된 여러 가지 의문점 역시 『미암일기초』를 세밀히 분석하여 해답을 찾아내고 아울러 이 문서가 얼녀를 속량하는 과정에서 명의신탁과 뇌물청탁의 결과로 작성된 사실을 밝혀냈다. 문서의 이면에 감추어져 있는 이와 같은 사실들을 밝혀내는 데에는 숨은그림찾기 기법이 동원되었다. 이 글은 비록 온전하지 않은 ‘반쪽 문서’라도 관련 기록을 면밀히 검토하고 새로운 방법론을 동원해 연구할 경우 이제까지 밝혀지지 않은 사실들을 찾아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한 사례연구라 하겠다. 이를 계기로 고문서를 활용한 연구가 활성화되기 바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Eolnyeo Bangmae Myeongmun (slave release document for the daughter born from a second wife from the lowest class in the society) written by Yu, Hee Chun included in Miam Ilgicho (Daily Document Draft by Miam (= Yu, Hee Chun). This famou...
In this study, Eolnyeo Bangmae Myeongmun (slave release document for the daughter born from a second wife from the lowest class in the society) written by Yu, Hee Chun included in Miam Ilgicho (Daily Document Draft by Miam (= Yu, Hee Chun). This famous document is a draft written by Yu, Hee Chun and can be considered as a ‘half document’ for being lack in the document formation and writing element. Also, during the transfer process to Miam Ilgicho, many error and missing characters were occurred due to misinterpretation on the original text so that complete understanding on the content of document has been impossible.
Therefore, the author of this study has corrected the error and missing character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text and made the content of document to be fully understandable. Then, by analysing related articles and others included in Miam Ilgicho, ones who bought and sold the ‘eolneyo’ or the daughter form a female slave, the writer of document and the date of slave release are revealed. To recover the content of document, a kind of mosaic technique is employed. Finally, many questions that have been raised from the recovered document are solved by the fact found through detail analysis of Miam Ilgicho that this document is the result of title trust and bribery during the release process of ‘eolnyeo’. To find such fact hidden in the back of document, a skill from hidden object game is used.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on a case showing that, if any incomplete ‘half document’ is reviewed in detail and studied by employing new methodologies, facts than have been previously unknown can be found. From this study, it is desired that researches utilizing old documents become more activ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완회, "조선중엽 사족얼자녀의 속량과 혼인" 8 : 1985
2 이성임, "조선중기 어느 양반가문의 농지경영과 노비사환" 80 : 1995
3 조선사편수회, "미암일기초"
4 "문화재청 국가기록유산 홈페이지"
5 덕수이씨홍산공파종회, "덕수이씨홍산공파세보"
6 전경목, "고문서, 조선의 역사를 말하다" 휴머니스트 2013
7 "경국대전"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7
8 김성갑, "朝鮮時代 明文에 관한 文書學的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3
9 이성임, "16세기 조선 양반관료의 사환과 그에 따른 수입" 145 : 1995
10 이성임, "16세기 양반관료의 外情 -柳希春의 眉巖日記를 중심으로-" 한국고문서학회 23 : 21-58, 2003
1 구완회, "조선중엽 사족얼자녀의 속량과 혼인" 8 : 1985
2 이성임, "조선중기 어느 양반가문의 농지경영과 노비사환" 80 : 1995
3 조선사편수회, "미암일기초"
4 "문화재청 국가기록유산 홈페이지"
5 덕수이씨홍산공파종회, "덕수이씨홍산공파세보"
6 전경목, "고문서, 조선의 역사를 말하다" 휴머니스트 2013
7 "경국대전"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7
8 김성갑, "朝鮮時代 明文에 관한 文書學的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3
9 이성임, "16세기 조선 양반관료의 사환과 그에 따른 수입" 145 : 1995
10 이성임, "16세기 양반관료의 外情 -柳希春의 眉巖日記를 중심으로-" 한국고문서학회 23 : 21-58, 2003
11 성봉현, "1481년 장예원 속신입안 문기 검토" 5 : 1994
『월인천강지곡』의 국어사적 가치와 문헌적 성격에 대한 재조명
『월인천강지곡』의 부안 실상사 소장 경위와 그 전래 과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7-03-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5-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angseogak -> JANGSEOGAK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6 | 0.86 | 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7 | 1.505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