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구시 심야버스 도입 시 요금수준별 전환수요 분석 = Analysis of Citizens' Modal Shift Due to Introduction of the Late-Night Bus in Daegu Metropolitan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25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itizens' modal shift on the assumption that the late-night bus is provid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paper uses RP/SP data collected from Daegu Metropolitan City. For this researc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are conducted. Empirical logit models with five bus fare alternatives are also estimat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modal shift. Finally, significant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From the empirical model estimation, it is found that there are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 parameter estimates among the modal shift models with the different bus fares.
      번역하기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itizens' modal shift on the assumption that the late-night bus is provid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paper uses RP/SP data collected from Daegu Metropolitan City. For this research, descriptive stati...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itizens' modal shift on the assumption that the late-night bus is provid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paper uses RP/SP data collected from Daegu Metropolitan City. For this researc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are conducted. Empirical logit models with five bus fare alternatives are also estimat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modal shift. Finally, significant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From the empirical model estimation, it is found that there are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 parameter estimates among the modal shift models with the different bus far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 심야버스 도입 시 요금수준별 전환수요 분석을 위해 대구 대도시권에서 RP와 SP자료의 형태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심야버스 요금 대안별 심야버스로의 전환율과 전환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심야버스로의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로짓모형을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대구시 심야버스 도입 시 심야버스로의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야버스 요금 대안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심야버스 요금이 저렴할 경우 심야활동 횟수와 승용차 소유여부가 심야버스로의 전환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심야버스 요금이 비쌀 경우 심야시간대 주 이용 교통수단 변수가 심야버스로의 전환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통계적 가설검정 결과 심야버스 요금에 따라 심야버스로의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통계적으로 충분히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 심야버스 도입 시 요금수준별 전환수요 분석을 위해 대구 대도시권에서 RP와 SP자료의 형태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심야버스 요금 대안별 심야버스로의 전환율과 ...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 심야버스 도입 시 요금수준별 전환수요 분석을 위해 대구 대도시권에서 RP와 SP자료의 형태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심야버스 요금 대안별 심야버스로의 전환율과 전환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심야버스로의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로짓모형을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대구시 심야버스 도입 시 심야버스로의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야버스 요금 대안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심야버스 요금이 저렴할 경우 심야활동 횟수와 승용차 소유여부가 심야버스로의 전환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심야버스 요금이 비쌀 경우 심야시간대 주 이용 교통수단 변수가 심야버스로의 전환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통계적 가설검정 결과 심야버스 요금에 따라 심야버스로의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통계적으로 충분히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민, "수도권 심야시간대 광역대중교통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2001

      2 김대웅, "도시버스운임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 (20): 361-373, 2000

      3 윤대식, "교통수요분석" 박영사 2001

      4 윤경만, "경인선 급행열차 개선 및 심야연장 운행 연구" 483-495, 2011

      5 송제룡, "경기도 광역버스의 심야운행 확대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9

      6 Ben-Akiva, M, "Discrete Choice Analysis: Theory and Application to Travel Demand" The MIT Press 1985

      1 이상민, "수도권 심야시간대 광역대중교통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2001

      2 김대웅, "도시버스운임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 (20): 361-373, 2000

      3 윤대식, "교통수요분석" 박영사 2001

      4 윤경만, "경인선 급행열차 개선 및 심야연장 운행 연구" 483-495, 2011

      5 송제룡, "경기도 광역버스의 심야운행 확대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9

      6 Ben-Akiva, M, "Discrete Choice Analysis: Theory and Application to Travel Demand" The MIT Press 19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72 0.92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