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위임명령의 헌법적합성 담보와 통제에 관한 연구 - 전기사업법 시행령 개정안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security of the constitutionality and the control of the mandate decree - Focused on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Electricity Business 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35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xplosive increase in legislative demand and national tasks today has made it impossible to fully define all legislative matters to the Act without exception. Thus, the Act provided basic and essential matters to the national community and its members, the people, and the establishment of detailed, professional and technical matters was entrusted to administrative legislation. Our Constitution also reflects this trend and lays the basis for the mandate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in Articles 75 and 95. Both the Act and the mandate decree must meet constitutional requirements, in respect of view that the Act and the mandate decree combine have external binding power. The Act shall not make a comprehensive delegation to the mandate decree, nor shall the mandate decree violate the purpose, purport, etc. of the Act within the scope of the delegation of the Act.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Moon Government,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of implementing certain policies in a way that goes through the enactment of mandate decrees rather than the enactment of Acts.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Electricity Business Act is a classic example. The Enforcement Decree is considered to have enacted new legislation beyond the scope of the delegation of the Act, so it can be called unconstitutional and illegal. The reality of the administration, in which a mandate decree is being enacted that fails to meet constitutional requirements, is a big problem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and separation of power. In order to prevent the mandate decree from being enacted without meeting the constitutional requirements, the review of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s a preliminary control method and the control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by the National Assembly under Article 98-2 of the National Assembly Act as a post-control method should be properly operated.
      번역하기

      The explosive increase in legislative demand and national tasks today has made it impossible to fully define all legislative matters to the Act without exception. Thus, the Act provided basic and essential matters to the national community and its mem...

      The explosive increase in legislative demand and national tasks today has made it impossible to fully define all legislative matters to the Act without exception. Thus, the Act provided basic and essential matters to the national community and its members, the people, and the establishment of detailed, professional and technical matters was entrusted to administrative legislation. Our Constitution also reflects this trend and lays the basis for the mandate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in Articles 75 and 95. Both the Act and the mandate decree must meet constitutional requirements, in respect of view that the Act and the mandate decree combine have external binding power. The Act shall not make a comprehensive delegation to the mandate decree, nor shall the mandate decree violate the purpose, purport, etc. of the Act within the scope of the delegation of the Act.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Moon Government,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of implementing certain policies in a way that goes through the enactment of mandate decrees rather than the enactment of Acts.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Electricity Business Act is a classic example. The Enforcement Decree is considered to have enacted new legislation beyond the scope of the delegation of the Act, so it can be called unconstitutional and illegal. The reality of the administration, in which a mandate decree is being enacted that fails to meet constitutional requirements, is a big problem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and separation of power. In order to prevent the mandate decree from being enacted without meeting the constitutional requirements, the review of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s a preliminary control method and the control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by the National Assembly under Article 98-2 of the National Assembly Act as a post-control method should be properly opera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복지국가가 보편화된 오늘날 폭발적으로 증가한 입법수요와 국가과제의 증대로 인해 모든 입법사항을 법률에 빠짐없이 완전하게 규정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법률은 국가공동체와 그 구성원인 국민에게 기본적이고 본질적인 사항을 규정하고 세부적이고 전문적·기술적 사항의 정립은 행정입법에 위탁하게 되었다. 우리 헌법도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헌법 제75조와 제95조에서 행정입법인 위임명령의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법률과 위임명령은 결합하여 대외적 구속력을 가진다는 점에서 법률과 위임명령은 모두 헌법상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법률은 위임명령에 포괄적 위임을 해서는 아니 되며 위임명령은 수권 법률의 수권 범위 내에서 수권 법률의 목적, 취지 등을 위반하여서는 아니된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법률의 제·개정보다는 행정입법의 제·개정을 통하는 방식으로 특정 정책을 시행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데 전기사업법 시행령 개정안이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전기사업법 시행령 개정안은 모법인 전기사업법의 수권 범위를 넘어서 새로운 입법사항을 제정한 것으로 평가되므로 위헌·위법으로 무효라 할 수 있다. 이처럼 헌법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위임명령이 제정되고 있는 행정 현실은 법치행정과 권력분립의 원칙 관점에서 큰 문제라 할 것이다. 위임명령이 헌법상 요건을 충족하지 않고 제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전적 통제방법으로서의 법제처의 심사와 사후적 통제방법으로서의 국회법 제98조의2에 따른 국회의 행정입법 통제권이 제대로 원활하게 작동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사회복지국가가 보편화된 오늘날 폭발적으로 증가한 입법수요와 국가과제의 증대로 인해 모든 입법사항을 법률에 빠짐없이 완전하게 규정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법률은...

      사회복지국가가 보편화된 오늘날 폭발적으로 증가한 입법수요와 국가과제의 증대로 인해 모든 입법사항을 법률에 빠짐없이 완전하게 규정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법률은 국가공동체와 그 구성원인 국민에게 기본적이고 본질적인 사항을 규정하고 세부적이고 전문적·기술적 사항의 정립은 행정입법에 위탁하게 되었다. 우리 헌법도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헌법 제75조와 제95조에서 행정입법인 위임명령의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법률과 위임명령은 결합하여 대외적 구속력을 가진다는 점에서 법률과 위임명령은 모두 헌법상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법률은 위임명령에 포괄적 위임을 해서는 아니 되며 위임명령은 수권 법률의 수권 범위 내에서 수권 법률의 목적, 취지 등을 위반하여서는 아니된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법률의 제·개정보다는 행정입법의 제·개정을 통하는 방식으로 특정 정책을 시행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데 전기사업법 시행령 개정안이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전기사업법 시행령 개정안은 모법인 전기사업법의 수권 범위를 넘어서 새로운 입법사항을 제정한 것으로 평가되므로 위헌·위법으로 무효라 할 수 있다. 이처럼 헌법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위임명령이 제정되고 있는 행정 현실은 법치행정과 권력분립의 원칙 관점에서 큰 문제라 할 것이다. 위임명령이 헌법상 요건을 충족하지 않고 제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전적 통제방법으로서의 법제처의 심사와 사후적 통제방법으로서의 국회법 제98조의2에 따른 국회의 행정입법 통제권이 제대로 원활하게 작동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2 최희수, "헌법학원론" 피앤씨미디어 2020

      3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8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20

      5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20

      6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20

      7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20

      8 홍정선, "행정법원론(상)" 박영사 2020

      9 류지태, "행정법신론" 박영사 2019

      10 정하중, "행정법개론" 법문사 2020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2 최희수, "헌법학원론" 피앤씨미디어 2020

      3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8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20

      5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20

      6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20

      7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20

      8 홍정선, "행정법원론(상)" 박영사 2020

      9 류지태, "행정법신론" 박영사 2019

      10 정하중, "행정법개론" 법문사 2020

      11 박균성, "행정법강의" 박영사 2020

      12 김남진, "행정법 I" 법문사 2020

      13 전광석, "한국헌법론 (제15판)" 집현재 2020

      14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20

      15 박윤흔, "최신행정법강의(상)" 박영사 2009

      16 정주백, "명령・규칙에 대한 헌법소원" 헌법재판연구원 6 (6): 223-255, 2019

      17 김남진, "명령의 하자이론" 고시계사 1990

      18 박일환, "法規範에 대한 憲法訴願과 提訴要件;法務士法施行規則에 대한 憲法裁判所의 決定과 관련하여" 대한변호사협회 1991

      19 이석연, "法務士法施行規則違憲決定의 正當性;憲法訴願의 對象으로서의 命令·規則에 대한 違憲與否審査" 대한변호사협회 1991

      20 김중권, "命令(法律下位的 法規範)에 대한 司法的 統制에 관한 小考" 고시연구사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2-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원법학 -> 가천법학
      외국어명 : Kyungwon Law Review -> Gachon Law Review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8 0.638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