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단부판 접합부는 강구조물의 보-기둥 접합부 혹은 변단면 부재로 구성된 PEB 구조시스템에 적용되는 접합부의 한 형태이다. 확장단부판 접합부는 접합부를 구성하는 단부판의 두께, 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32508
이수권 (동양미래대학교) ; 양재근 (인하대학교) ; 강지석 (인하대학교) ; Lee, Soo-Keuon ; Yang, Jae-Guen ; Kang, Ji-Seok
2017
Korean
비보강확장단부판 접합부 ; 에너지소산면적 ; 보-기둥 모멘트 접합부 ; 유한요소해석 ; 모멘트 회전각 이력곡선 ; 소성힌지선
KCI등재
학술저널
81-88(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확장단부판 접합부는 강구조물의 보-기둥 접합부 혹은 변단면 부재로 구성된 PEB 구조시스템에 적용되는 접합부의 한 형태이다. 확장단부판 접합부는 접합부를 구성하는 단부판의 두께, 고...
확장단부판 접합부는 강구조물의 보-기둥 접합부 혹은 변단면 부재로 구성된 PEB 구조시스템에 적용되는 접합부의 한 형태이다. 확장단부판 접합부는 접합부를 구성하는 단부판의 두께, 고장력볼트의 게이지 거리, 고장력볼트 축부의 직경, 고장력볼트의 개수 등의 영향으로 상이한 거동특성을 나타낸다. 확장단부판 접합부는 미국 및 유럽 등지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강구조물의 기둥-보 접합부에 적용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널리 적용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는 확장단부판 접합부에 대한 설계강도식 제안, 접합부상세 제안, 내진성능 평가, 제작 및 시공지침서 개발 등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비보강 확장단부판 접합부의 국내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께 12mm의 비보강 확장단부판에 대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및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idual stress is defined as stress that already exists on a structural member from the effects of welding and plastic deformation before the application of loading. Due to such residual stress, welded H-section compression members under centroidal c...
Residual stress is defined as stress that already exists on a structural member from the effects of welding and plastic deformation before the application of loading. Due to such residual stress, welded H-section compression members under centroidal compression load can undergo buckling and failure for strength values smaller than the predicted buckling load and specified compressive strength.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residual stress from welding on the determination of the buckling load and specifie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H-section compression member according to the column length variation. A three-dimensional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H-section compression member where the welded joint was fillet welded by applying heat inputs of 3.1kJ/mm and 3.6kJ/mm using the SAW welding method.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종휘, "중심축 하중을 받는 고온상태 강재기둥의 압축강도에 관한 연구" 한국강구조학회 28 (28): 253-261, 2016
2 양재근, "중심압축 하중을 받는 용접 조립된Built-up H-형강 압축부재의 잔류응력 평가" 37-38, 2016
3 방희선,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용접부의 열 및 용접잔류응력 해석" 대한용접접합학회 25 (25): 11-16, 2007
4 용접강도연구위원회, "유한 요소해석을 이용한 Arc 용접부의 온도 분포 예측 표준화" 대한용접접합학회 23 (23): 1-7, 2005
5 김경식, "수평재 및 사재로 보강된 조립기둥시스템의 압축강도 평가" 대한토목학회 33 (33): 2169-2179, 2013
6 박호상, "국부좌굴과 뒤틀림좌굴이 발생하는 종방향 보강재로 보강된 강판의 압축강도" 한국강구조학회 22 (22): 219-228, 2010
7 김상식, "강구조설계 3판" 문운당 2016
8 Salmon, C.G, "Steel Structures: Design and Behavior" Pearson Education 248-, 2009
9 Messler, Jr, "Principles of Welding:Processes, Physics, Chemistry, and Metallurgy" 2007
10 Franssen, J. M, "A Simple Model for the Fire Resistance of Axially Loaded Members –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Results" 37 (37): 175-204, 1996
1 윤종휘, "중심축 하중을 받는 고온상태 강재기둥의 압축강도에 관한 연구" 한국강구조학회 28 (28): 253-261, 2016
2 양재근, "중심압축 하중을 받는 용접 조립된Built-up H-형강 압축부재의 잔류응력 평가" 37-38, 2016
3 방희선,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용접부의 열 및 용접잔류응력 해석" 대한용접접합학회 25 (25): 11-16, 2007
4 용접강도연구위원회, "유한 요소해석을 이용한 Arc 용접부의 온도 분포 예측 표준화" 대한용접접합학회 23 (23): 1-7, 2005
5 김경식, "수평재 및 사재로 보강된 조립기둥시스템의 압축강도 평가" 대한토목학회 33 (33): 2169-2179, 2013
6 박호상, "국부좌굴과 뒤틀림좌굴이 발생하는 종방향 보강재로 보강된 강판의 압축강도" 한국강구조학회 22 (22): 219-228, 2010
7 김상식, "강구조설계 3판" 문운당 2016
8 Salmon, C.G, "Steel Structures: Design and Behavior" Pearson Education 248-, 2009
9 Messler, Jr, "Principles of Welding:Processes, Physics, Chemistry, and Metallurgy" 2007
10 Franssen, J. M, "A Simple Model for the Fire Resistance of Axially Loaded Members –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Results" 37 (37): 175-204, 1996
HSB600 강재의 변형-경화를 고려한 강합성 I-거더의 정모멘트부 공칭휨강도
가상축력을 이용한 좌굴해석 및 HSB800 강재를 적용한 사장교에 대한 적용성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6 | 0.594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