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일선전> 연구 = A Study on Kimilseonj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591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ilseonjeon, a Korean manuscript collect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s classified as a heroic novel. It is assumed to have been transcribed by a Ginyeo, who is an entertaining lady, in 1891. Although the work was inspired by some of the famous Korean novels in the late Joseon period, such as Sukhyangjeon, Sassinamjeongki, Leedaebongjeon, and Yuchungnyeoljeon, it doesn't follow the common narration rules for classical novels and, thus, lacks narrative probability. While it may be attributable to the author's limited capability, Kimilseonjeon could be merely a work for study of the author.
      번역하기

      Kimilseonjeon, a Korean manuscript collect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s classified as a heroic novel. It is assumed to have been transcribed by a Ginyeo, who is an entertaining lady, in 1891. Although the work was inspired by some of the fam...

      Kimilseonjeon, a Korean manuscript collect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s classified as a heroic novel. It is assumed to have been transcribed by a Ginyeo, who is an entertaining lady, in 1891. Although the work was inspired by some of the famous Korean novels in the late Joseon period, such as Sukhyangjeon, Sassinamjeongki, Leedaebongjeon, and Yuchungnyeoljeon, it doesn't follow the common narration rules for classical novels and, thus, lacks narrative probability. While it may be attributable to the author's limited capability, Kimilseonjeon could be merely a work for study of the auth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김일선전>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국문필사본 소설로서, 영웅소설에 속하는 작품이다. 필사 연도는 1891년으로 추측되며, 필사자는 기녀이다. <김일선전>은 <숙향전>·<사씨남정기>·<이대봉전>·<유충렬전> 등 조선 후기에 유행했던 통속 국문소설들의 영향을 받아 창작된 작품이지만, 고전소설의 일반적인 서사 문법을 따르지 않거나 서사의 개연성이 부족한 부분들이 보인다. 이는 작자의 역량 부족에서 비롯된 현상으로 보이는데 <김일선전>은 습작(習作)수준에 머문 작품으로 추측된다.
      번역하기

      <김일선전>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국문필사본 소설로서, 영웅소설에 속하는 작품이다. 필사 연도는 1891년으로 추측되며, 필사자는 기녀이다. <김일선전>은 <숙향전>·<사씨남...

      <김일선전>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국문필사본 소설로서, 영웅소설에 속하는 작품이다. 필사 연도는 1891년으로 추측되며, 필사자는 기녀이다. <김일선전>은 <숙향전>·<사씨남정기>·<이대봉전>·<유충렬전> 등 조선 후기에 유행했던 통속 국문소설들의 영향을 받아 창작된 작품이지만, 고전소설의 일반적인 서사 문법을 따르지 않거나 서사의 개연성이 부족한 부분들이 보인다. 이는 작자의 역량 부족에서 비롯된 현상으로 보이는데 <김일선전>은 습작(習作)수준에 머문 작품으로 추측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현경, "한국소설의 구조와 실상" 영남대학교출판부 1-399, 1981

      2 조희웅, "한국 고전소설사 큰사전 8" 지식을만드는지식 74-, 2017

      3 우쾌제, "한국 가정소설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318, 1988

      4 김경숙, "이대봉전 異本考-동양문고본을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회 (25) : 87-124, 2007

      5 최삼룡, "유충렬전 최고운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417, 1996

      6 이상구, "원본 숙향전 숙영낭자전" 문학동네 1-334, 2010

      7 신해진, "완판방각본 이대봉전" 보고사 1-281, 2018

      8 이래종, "사씨남정기" 태학사 1-349, 1999

      9 "김일선전"

      10 김준형, "근대 전환기 글쓰기의 변모와 구활자본 고전소설"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 : 57-103, 2006

      1 성현경, "한국소설의 구조와 실상" 영남대학교출판부 1-399, 1981

      2 조희웅, "한국 고전소설사 큰사전 8" 지식을만드는지식 74-, 2017

      3 우쾌제, "한국 가정소설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318, 1988

      4 김경숙, "이대봉전 異本考-동양문고본을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회 (25) : 87-124, 2007

      5 최삼룡, "유충렬전 최고운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417, 1996

      6 이상구, "원본 숙향전 숙영낭자전" 문학동네 1-334, 2010

      7 신해진, "완판방각본 이대봉전" 보고사 1-281, 2018

      8 이래종, "사씨남정기" 태학사 1-349, 1999

      9 "김일선전"

      10 김준형, "근대 전환기 글쓰기의 변모와 구활자본 고전소설"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 : 57-103, 2006

      11 유춘동, "국립중앙도서관 선본해제 11 -소설류-" 국립중앙도서관 37-39, 2009

      12 조희웅, "고전소설 이본목록" 집문당 1-907, 1999

      13 김재용, "계모형 고소설의 시학" 집문당 1-249, 1996

      14 이원수, "가정소설 작품세계의 시대적 변모" 경남대학교출판부 1-310, 1997

      15 田中梅吉, "倂合直後時代に流布してゐた朝鮮小說の書目" 朝鮮圖書館硏究會 4 (4): 12-19, 1934

      16 김정녀, "<이대봉전>의 이본 고찰을 통한 소설사적 위상 재고" 우리문학회 (42) : 7-42, 2014

      17 김준형, "19세기말~20세기 초 야담의 소설화 과정과 <백련전>" 우리어문학회 (29) : 201-238,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1 2.30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