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국내 음악 중재연구 분석 = Literature Review on Domestic Music Intervention Studies for Middle-aged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97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ntion study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further researches by reviewing domestic music intervention studies on middle-aged women. For thi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3 researches, which are 17 theses and 6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02 to 2019. From the results, we found that active publications wit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performed,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normal persons without diagnoses, and in terms of therapeutic settings, group activities were more frequent than individual ones. Secondly, with respect to the intervention goal, researches frequently focussed on psychological intervention more than the social or physiological ones, and there were higher number of researches conducted on relieving symptoms of depression. Thirdly, with regard to intervention types, researches on the musical activities such as listening, singing, and performing showed similar scores, and those of integral activities were more frequent. It could be meaningful that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further studies by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 studies on middle-aged wome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ntion study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further researches by reviewing domestic music intervention studies on middle-aged women. For this, literature review was cond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ntion study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further researches by reviewing domestic music intervention studies on middle-aged women. For thi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3 researches, which are 17 theses and 6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02 to 2019. From the results, we found that active publications wit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performed,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normal persons without diagnoses, and in terms of therapeutic settings, group activities were more frequent than individual ones. Secondly, with respect to the intervention goal, researches frequently focussed on psychological intervention more than the social or physiological ones, and there were higher number of researches conducted on relieving symptoms of depression. Thirdly, with regard to intervention types, researches on the musical activities such as listening, singing, and performing showed similar scores, and those of integral activities were more frequent. It could be meaningful that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further studies by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 studies on middle-aged wom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국내 음악 중재연구의 문헌분석을 통해 중재연구의 특성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학위논문 17편과 학술지 논문 6편, 총 23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년여성 대상 음악 중재연구는 양적 연구방법으로 수행된 것이 다수 발표되었으며 참여 대상은 진단명을 가지지 않은 일반 참여자의 비중이 높았고 개별보다는 집단 형태의 중재가 많았다. 둘째, 중재 목표는 심리적 영역이 사회적, 신체․생리적 영역에 비해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특히 우울 감소를 목표로 한 음악 중재연구가 많았다. 셋째, 중재 방법은 감상, 노래, 악기연주가 유사한 빈도를 보였으며 음악 활동이 통합적으로 시행된 연구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음악 중재연구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분야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안한다는 의의를 갖는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국내 음악 중재연구의 문헌분석을 통해 중재연구의 특성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학위...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국내 음악 중재연구의 문헌분석을 통해 중재연구의 특성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학위논문 17편과 학술지 논문 6편, 총 23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년여성 대상 음악 중재연구는 양적 연구방법으로 수행된 것이 다수 발표되었으며 참여 대상은 진단명을 가지지 않은 일반 참여자의 비중이 높았고 개별보다는 집단 형태의 중재가 많았다. 둘째, 중재 목표는 심리적 영역이 사회적, 신체․생리적 영역에 비해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특히 우울 감소를 목표로 한 음악 중재연구가 많았다. 셋째, 중재 방법은 감상, 노래, 악기연주가 유사한 빈도를 보였으며 음악 활동이 통합적으로 시행된 연구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음악 중재연구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분야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안한다는 의의를 갖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수란, "호스피스 환자의 불안과 삶의 질에 대한 노래회상 음악치료"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4 (14): 223-248, 2018

      2 임성환, "한국 중년여성의 여가활동에 관한 고찰 : 노래교실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예술대학원 2013

      3 이기영, "플루트 연주 활동이 중년여성의 우울증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4 소현경, "풍경구성기법(LMT)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43-62, 2017

      5 최유란, "찬송가와 CCM 중심 노래심리치료가 목회자 사모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3

      6 김정미, "차크라조화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윤은정, "집단음악활동이 시설거주 청소년의 분노조절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정포럼 12 (12): 111-134, 2018

      8 장은영, "집단 음악치료가 평생교육원에 재학 중인 중년여성의 우울감, 자아존중감, 인지 및 회복탄력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5

      9 정미경, "지역사회 참여 평생학습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생의 의미와 사회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평생교육학회 15 (15): 127-154, 2009

      10 이승희,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 외상 후 성장,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46 (46): 744-752, 2016

      1 임수란, "호스피스 환자의 불안과 삶의 질에 대한 노래회상 음악치료"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4 (14): 223-248, 2018

      2 임성환, "한국 중년여성의 여가활동에 관한 고찰 : 노래교실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예술대학원 2013

      3 이기영, "플루트 연주 활동이 중년여성의 우울증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4 소현경, "풍경구성기법(LMT)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43-62, 2017

      5 최유란, "찬송가와 CCM 중심 노래심리치료가 목회자 사모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3

      6 김정미, "차크라조화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윤은정, "집단음악활동이 시설거주 청소년의 분노조절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정포럼 12 (12): 111-134, 2018

      8 장은영, "집단 음악치료가 평생교육원에 재학 중인 중년여성의 우울감, 자아존중감, 인지 및 회복탄력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5

      9 정미경, "지역사회 참여 평생학습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생의 의미와 사회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평생교육학회 15 (15): 127-154, 2009

      10 이승희,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 외상 후 성장,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46 (46): 744-752, 2016

      11 김수현,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 교회 집단 노래부르기를 중심으로" 한영신학대학교 기독상담대학원 2006

      12 홍근미, "중년여성의 위기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상담"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5 : 217-244, 2012

      13 박현숙, "중년여성의 우울, 건강증진행위, 자아존중감 및 낙관성에 관한 연구" 11 (11): 352-362, 2002

      14 이혜경,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 갱년기증상, 지혜가 건강보존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597-605, 2016

      15 김경원, "중년여성의 갱년기 위기 적응 경험"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3 (13): 45-55, 2017

      16 김영화, "중년여성의 갱년기 극복력에 대한 융복합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373-383, 2018

      17 한진덕, "중년여성 우울 중재프로그램 국내 연구 동향" 한국미술치료학회 25 (25): 101-121, 2018

      18 황은영, "중년기 취업여성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토의중심 음악감상 프로그램의 효과" 아시아여성연구원 56 (56): 257-293, 2017

      19 정예영, "중년기 여성들을 위한 집단 음악치료 : 사례연구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2004

      20 김민희, "중년기 생활스트레스,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15

      21 두현정, "중년 위기 극복을 위한 자조모임에 참석한 중년여성의 경험에 대한 주관성 연구" 동서간호학연구소 19 (19): 78-87, 2013

      22 이용미, "중년 여성의 분노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정신간호학회 16 (16): 411-419, 2007

      23 김미연, "중년 여성들의 합창활동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1

      24 김수경, "주부의 마음상함과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5 (35): 243-272, 2004

      25 송노순, "자연폐경여성과 인공폐경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갱년기 적응 비교" 16 : 1-11, 2012

      26 정현주, "음악치료학의 이해와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5

      27 권정희, "음악치료가 중년여성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천안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2

      28 박정숙,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우울증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심리학회 19 (19): 63-83, 2012

      29 이성탄, "음악줄넘기 운동이 중년비만여성의 건강관련체력 및 대사증후군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30 이인용,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기독교인 내담자의 용서경험에 대한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08

      31 여해주, "음악과 심상(MI) 기법을 활용한 집단음악치료가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2014

      32 송인령, "우울한 내담자를 위한 MI(Music & Imagery) 치료사례" 5 (5): 67-90, 2008

      33 이영숙, "오카리나 연주가 중년여성 우울증 해소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대불대학교 대학원 2012

      34 오정숙, "심상유도음악(GIM) 프로그램이 중년주부의 우울 감소에 미치는 영향 :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5 최수현, "심리적 외상 치료를 위한 음악중재 연구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36 정경화,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생활습관이 중년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기초간호학회 21 (21): 62-69, 2019

      37 이승미,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체력·신체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리듬운동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8

      38 문지영, "복합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와의 즉흥연주 및 음악과 심상을 이용한 음악치료 사례 연구" 한국음악치료학회 11 (11): 86-99, 2009

      39 이영주, "리듬자극과 리듬멜로디자극이 중년 여성의 유산소운동시 운동지속시간과 체지방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9

      40 노해숙, "대중가요 프로그램이 중년 주부들의 스트레스감소와 자아 존중감향상에 미치는 효과" 6 (6): 14-29, 2007

      41 김옥숙, "넌버벌 타악퍼포먼스를 통한 중년여성의 우울, 불안감 치유 효과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

      42 조현아, "국내 음악치료 전문 학술지 연구 현황 분석"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10 (10): 55-77, 2013

      43 황은영, "국내 음악치료 관련 학위논문 동향 분석" 한국음악치료학회 14 (14): 1-19, 2012

      44 이성경, "국내 여성 대상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음악중재 연구 분석:여성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15 (15): 69-94, 2018

      45 김경미, "국내 노인 대상 우울 중재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391-400, 2015

      46 김현정, "고혈압 환자의 혈압완화에 미치는 음악치료의 효과"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2009

      47 이숙, "고통 속에서도 행복한 내 삶의 여정: 종말기 환자의 음악자서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음악치료학회 8 (8): 22-44, 2006

      48 장혜경, "갱년기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33 (33): 972-980, 2003

      49 이단비, "개별 음악치료를 통한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자기 탐색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50 Scherer, K. R., "Which emotions can be induced by music? What 203are the under lying mechanisms? And how can we measure them?" 33 (33): 239-251, 2004

      51 Linnemann, A., "The effects of music listening on pain and stress in the daily life of patients with fibromyalgia syndrome" 9 : 434-, 2015

      52 Jung, C. G.,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Panthean 1954

      53 Curtis, S. L., "Singing subversion, singing soul: Women’s voices in feminist music therapy. Doctoral dissertation, Concordia University, 1997" 60 (60): 4240-, 2000

      54 Thaut, M., "Music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dults with mental disorders theoretical bases and clinical information" MMB Music 12-24, 2002

      55 Hilliard, R. 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music therapy: A guide to program development and clinical care" National Hospice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2005

      56 Sloboda, J. A., "Functions of music in everyday life: An exploratory study using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5 (5): 9-32, 2001

      57 Bradt, J., "Feminist perspectives in music therapy" Barcelona Publishers 291-310, 2006

      58 Amir, D., "Feminist perspectives in music therapy" Barcelona Publishers 267-290, 2006

      59 York, E., "Feminist perspectives in music therapy" Barcelona Publishers 245-265, 2006

      60 Adrienne, J., "Feminist perspectives in music therapy" Barcelona Publishers 41-62, 2006

      61 Purdon, C., "Feminist Perspectives in Music Therapy" Barcelona Publishers 205-226, 2006

      62 Hunter, P. G., "Feelings and perceptions of happiness and sadness induced by music: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mixed emotions" 4 (4): 47-56, 2010

      63 배진희, "16주간의 리듬운동 참여가 비만중년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8 (18): 1085-1091,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8 1.58 1.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9 1.73 1.733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