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인종, "한국전통음악의 음악적 요소가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9 (9): 152-163, 2009
2 이용식, "한국음악학과 에믹(emic)/에틱(etic) 논제" 17 : 77-99, 2003
3 윤지선, "통합적 예술치료를 활용한 건강개선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0 (10): 201-221, 2014
4 이영옥, "통합적 예술심리치료가 생애 초기 트라우마 경험 여대생의 외상화된 자기체계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141-165, 2017
5 최애나, "통합 예술치료가 대학생의 자기 이해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215-229, 2017
6 Wigram, T., "즉흥연주" 학지사 2006
7 이정명, "전문무용수의 심리·동작 이미지화 과정(PKIP) 체험연구" 무용역사기록학회 34 : 197-225, 2014
8 Grocke, D., "음악치료 수용기법; 음악치료 교육 및 임상을 위한 지침서" 학지사 2011
9 조준희, "음악의 리듬 분절(分節)형태에 따른 발레 회전동작 Retiré Pirouette en Dehors 수행 변화 연구" 한국무용과학회 34 (34): 121-141, 2017
10 Radocy, R. E., "음악심리학" 시그마 프레스 2018
1 장인종, "한국전통음악의 음악적 요소가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9 (9): 152-163, 2009
2 이용식, "한국음악학과 에믹(emic)/에틱(etic) 논제" 17 : 77-99, 2003
3 윤지선, "통합적 예술치료를 활용한 건강개선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0 (10): 201-221, 2014
4 이영옥, "통합적 예술심리치료가 생애 초기 트라우마 경험 여대생의 외상화된 자기체계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141-165, 2017
5 최애나, "통합 예술치료가 대학생의 자기 이해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215-229, 2017
6 Wigram, T., "즉흥연주" 학지사 2006
7 이정명, "전문무용수의 심리·동작 이미지화 과정(PKIP) 체험연구" 무용역사기록학회 34 : 197-225, 2014
8 Grocke, D., "음악치료 수용기법; 음악치료 교육 및 임상을 위한 지침서" 학지사 2011
9 조준희, "음악의 리듬 분절(分節)형태에 따른 발레 회전동작 Retiré Pirouette en Dehors 수행 변화 연구" 한국무용과학회 34 (34): 121-141, 2017
10 Radocy, R. E., "음악심리학" 시그마 프레스 2018
11 Radocy, R. E., "음악마인드과학" 음악세계 52-62, 2002
12 Bonny, H., "음악과 마음" 시그마프레스 2006
13 고현정, "신성원무의 수렴적 움직임과 음악 기반 통합예술치료 실행연구: 의례의 치유성과 심상체험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인류학회 22 (22): 59-91, 2019
14 박영애, "무용요법에서의 음악사용" 대한무용학회 70 (70): 147-158, 2012
15 Thaut, M., "리듬, 음악 그리고 뇌; 과학적 근거와 임상 적용" 학지사 2009
16 Mithen, S., "노래하는 네안데르탈인; 음악과 언어로 보는 인류의 진화" 뿌리와이파리 2008
17 김삼진, "강강술래의 음악적 구성과 제의적 성격" 한국민요학회 9 : 5-33, 2001
18 김미숙, "강강술래의 예술치유 현상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27 (27): 757-781, 2008
19 Berni, L. E. V., "The sacred circle dance and the numinous" 8 : 149-158, 2011
20 Twyford, K., "The oxford handbook of music therapy" Oxford University Press 894-926, 2016
21 Karampoula, E., "The circle in dance movement therapy: A literature review" 58 : 27-32, 2018
22 Grocke, D., "GIM과 MI; 음악을 통한 개인치료와 그룹치료 기법" 학지사 2018
23 "Findhorn foundation"
24 Estrella, K., "Expressive therapy: An integrated approach" Guilford 2005
25 Hevner, K.,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Affective Value of Sounds in Poetry" 49 (49): 419-434, 1937
26 Grocke, D., "A phenomenological study of pivotal moments in guided imagery and music therapy" University of Melbourne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