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합예술치료에 적용된 음악분석 -신성원무(Sacred Circle Dance) 음악을 중심으로- = Music analysis applied to an integrated art therapy - focusing on Sacred Circle Dance Music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97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Sacred Circle Dance(SCD) music used in the integrated art therapy. The analyzed SCD musics are 4 in total, which include 'Elm Dance', 'Harpsichord concerto No. 5 Largo', 'Lute concerto in D Largo', and 'Canon in D'. The music analysis consist of the content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D music, 'Structural Model for Stimulatory and Sedative Music', and ‘Mood Wheel’.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seven reviewers were reflected in the study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that can support the movements of the circle dance such as gait, direction, speed and repeatability. Secondly, the SCD music showed less change in rhythm, strength, and pace. Additionally, its melody and harmony were highly predictable and stable. Thirdly, in the SCD music atmosphere, ‘Elm Dance’ is dreamy, ‘harpsichord concerto’ and ‘lute concerto’ are both lyrical, and ‘Canon in D’ has spiritual atmosphere.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and relevance of music in movements by analyzing the SCD music used in integrated art therapy. Furthermore, we expected that the music analysis tools us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in the clinical cases and research of integrated art therapists who are willing to converge music and other media.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Sacred Circle Dance(SCD) music used in the integrated art therapy. The analyzed SCD musics are 4 in total, which include 'Elm Dance', 'Harpsichord concerto No. 5 Largo', 'Lute concerto in D Larg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Sacred Circle Dance(SCD) music used in the integrated art therapy. The analyzed SCD musics are 4 in total, which include 'Elm Dance', 'Harpsichord concerto No. 5 Largo', 'Lute concerto in D Largo', and 'Canon in D'. The music analysis consist of the content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D music, 'Structural Model for Stimulatory and Sedative Music', and ‘Mood Wheel’.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seven reviewers were reflected in the study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that can support the movements of the circle dance such as gait, direction, speed and repeatability. Secondly, the SCD music showed less change in rhythm, strength, and pace. Additionally, its melody and harmony were highly predictable and stable. Thirdly, in the SCD music atmosphere, ‘Elm Dance’ is dreamy, ‘harpsichord concerto’ and ‘lute concerto’ are both lyrical, and ‘Canon in D’ has spiritual atmosphere.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and relevance of music in movements by analyzing the SCD music used in integrated art therapy. Furthermore, we expected that the music analysis tools us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in the clinical cases and research of integrated art therapists who are willing to converge music and other medi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예술치료에서 사용한 신성원무(Sacred Circle Dance) 음악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분석한 신성원무 음악은 ‘Elm Dance’, ‘Harpsichord concerto No. 5 ’Largo’, ‘Lute concerto in D ’Largo’, ‘Canon in D’로 총 4곡이다. 음악분석은 신성원무 음악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고, ‘자극적 음악과 진정시키는 음악의 구조적 모델(Structural Model for Stimulatory and Sedative Music)’을 사용하였으며, ‘기분의 수레바퀴’를 사용하였다.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7인의 평정자들이 분석한 내용을 연구결과에 반영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신성원무 음악에서 걸음걸이, 방향, 속도, 반복성 등 원무의 움직임을 지지할 수 있는 음악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신성원무 음악은 리듬, 강도, 빠르기 등의 변화가 적으며 선율과 화성은 예측 가능성이 높고 안정적인 구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성원무 음악이 주는 분위기에서는 Elm Dance는 몽환적, Harpsichord concerto No. 5 Largo와 Lute concerto in D Largo는 서정적, Canon in D는 영적인 분위기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통합예술치료에서 사용한 신성원무 음악을 분석함에 따라 움직임에 대한 음악의 적합성 및 연관성을 알아본 것에 의의가 있다. 나아가 이 연구에서 사용된 음악분석 도구가 음악과 다른 매체의 융합을 시도하는 통합예술치료 전문가들의 임상 및 연구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예술치료에서 사용한 신성원무(Sacred Circle Dance) 음악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분석한 신성원무 음악은 ‘Elm Dance’, ‘Harpsichord concerto No. 5 ’Largo’, ‘Lute con...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예술치료에서 사용한 신성원무(Sacred Circle Dance) 음악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분석한 신성원무 음악은 ‘Elm Dance’, ‘Harpsichord concerto No. 5 ’Largo’, ‘Lute concerto in D ’Largo’, ‘Canon in D’로 총 4곡이다. 음악분석은 신성원무 음악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고, ‘자극적 음악과 진정시키는 음악의 구조적 모델(Structural Model for Stimulatory and Sedative Music)’을 사용하였으며, ‘기분의 수레바퀴’를 사용하였다.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7인의 평정자들이 분석한 내용을 연구결과에 반영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신성원무 음악에서 걸음걸이, 방향, 속도, 반복성 등 원무의 움직임을 지지할 수 있는 음악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신성원무 음악은 리듬, 강도, 빠르기 등의 변화가 적으며 선율과 화성은 예측 가능성이 높고 안정적인 구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성원무 음악이 주는 분위기에서는 Elm Dance는 몽환적, Harpsichord concerto No. 5 Largo와 Lute concerto in D Largo는 서정적, Canon in D는 영적인 분위기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통합예술치료에서 사용한 신성원무 음악을 분석함에 따라 움직임에 대한 음악의 적합성 및 연관성을 알아본 것에 의의가 있다. 나아가 이 연구에서 사용된 음악분석 도구가 음악과 다른 매체의 융합을 시도하는 통합예술치료 전문가들의 임상 및 연구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인종, "한국전통음악의 음악적 요소가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9 (9): 152-163, 2009

      2 이용식, "한국음악학과 에믹(emic)/에틱(etic) 논제" 17 : 77-99, 2003

      3 윤지선, "통합적 예술치료를 활용한 건강개선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0 (10): 201-221, 2014

      4 이영옥, "통합적 예술심리치료가 생애 초기 트라우마 경험 여대생의 외상화된 자기체계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141-165, 2017

      5 최애나, "통합 예술치료가 대학생의 자기 이해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215-229, 2017

      6 Wigram, T., "즉흥연주" 학지사 2006

      7 이정명, "전문무용수의 심리·동작 이미지화 과정(PKIP) 체험연구" 무용역사기록학회 34 : 197-225, 2014

      8 Grocke, D., "음악치료 수용기법; 음악치료 교육 및 임상을 위한 지침서" 학지사 2011

      9 조준희, "음악의 리듬 분절(分節)형태에 따른 발레 회전동작 Retiré Pirouette en Dehors 수행 변화 연구" 한국무용과학회 34 (34): 121-141, 2017

      10 Radocy, R. E., "음악심리학" 시그마 프레스 2018

      1 장인종, "한국전통음악의 음악적 요소가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9 (9): 152-163, 2009

      2 이용식, "한국음악학과 에믹(emic)/에틱(etic) 논제" 17 : 77-99, 2003

      3 윤지선, "통합적 예술치료를 활용한 건강개선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0 (10): 201-221, 2014

      4 이영옥, "통합적 예술심리치료가 생애 초기 트라우마 경험 여대생의 외상화된 자기체계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141-165, 2017

      5 최애나, "통합 예술치료가 대학생의 자기 이해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215-229, 2017

      6 Wigram, T., "즉흥연주" 학지사 2006

      7 이정명, "전문무용수의 심리·동작 이미지화 과정(PKIP) 체험연구" 무용역사기록학회 34 : 197-225, 2014

      8 Grocke, D., "음악치료 수용기법; 음악치료 교육 및 임상을 위한 지침서" 학지사 2011

      9 조준희, "음악의 리듬 분절(分節)형태에 따른 발레 회전동작 Retiré Pirouette en Dehors 수행 변화 연구" 한국무용과학회 34 (34): 121-141, 2017

      10 Radocy, R. E., "음악심리학" 시그마 프레스 2018

      11 Radocy, R. E., "음악마인드과학" 음악세계 52-62, 2002

      12 Bonny, H., "음악과 마음" 시그마프레스 2006

      13 고현정, "신성원무의 수렴적 움직임과 음악 기반 통합예술치료 실행연구: 의례의 치유성과 심상체험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인류학회 22 (22): 59-91, 2019

      14 박영애, "무용요법에서의 음악사용" 대한무용학회 70 (70): 147-158, 2012

      15 Thaut, M., "리듬, 음악 그리고 뇌; 과학적 근거와 임상 적용" 학지사 2009

      16 Mithen, S., "노래하는 네안데르탈인; 음악과 언어로 보는 인류의 진화" 뿌리와이파리 2008

      17 김삼진, "강강술래의 음악적 구성과 제의적 성격" 한국민요학회 9 : 5-33, 2001

      18 김미숙, "강강술래의 예술치유 현상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27 (27): 757-781, 2008

      19 Berni, L. E. V., "The sacred circle dance and the numinous" 8 : 149-158, 2011

      20 Twyford, K., "The oxford handbook of music therapy" Oxford University Press 894-926, 2016

      21 Karampoula, E., "The circle in dance movement therapy: A literature review" 58 : 27-32, 2018

      22 Grocke, D., "GIM과 MI; 음악을 통한 개인치료와 그룹치료 기법" 학지사 2018

      23 "Findhorn foundation"

      24 Estrella, K., "Expressive therapy: An integrated approach" Guilford 2005

      25 Hevner, K.,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Affective Value of Sounds in Poetry" 49 (49): 419-434, 1937

      26 Grocke, D., "A phenomenological study of pivotal moments in guided imagery and music therapy" University of Melbourne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8 1.58 1.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9 1.73 1.733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