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재인, "혁명의 거리에서 들뢰즈를 읽자: 들뢰즈 철학 입문" 느티나무책방 2016
2 양은숙, "피지컬 씨어터의 움직임에 나타나는 리좀적 특성" 한국무용연구학회 34 (34): 125-147, 2016
3 양은정, "포스트구조주의 논의를 통해 본 한국 대중춤의 사회문화적 의미" 대한무용학회 70 (70): 183-222, 2012
4 권옥희, "춤추는 몸의 유목적 주체화 양식 연구 -들뢰즈·가타리의 신체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 18 (18): 233-260, 2007
5 김혜라, "춤에 표현된 욕망과 질주: 들뢰즈의 유물론적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8 : 55-78, 2009
6 들뢰즈, 질, "천 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분열증 2" 새물결 2001
7 들뢰즈, 질,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8 이나현, "질 들뢰즈의 감성론을 기반으로 한 접촉 즉흥에서의 감각에 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 74 (74): 109-122, 2016
9 이나현, "접촉 즉흥 방법론에 나타나는 리좀적 특성 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 52 (52): 69-83, 2015
10 콜브룩, 클레어, "이미지와 생명, 들뢰즈의 예술철학" 그린비 2008
1 김재인, "혁명의 거리에서 들뢰즈를 읽자: 들뢰즈 철학 입문" 느티나무책방 2016
2 양은숙, "피지컬 씨어터의 움직임에 나타나는 리좀적 특성" 한국무용연구학회 34 (34): 125-147, 2016
3 양은정, "포스트구조주의 논의를 통해 본 한국 대중춤의 사회문화적 의미" 대한무용학회 70 (70): 183-222, 2012
4 권옥희, "춤추는 몸의 유목적 주체화 양식 연구 -들뢰즈·가타리의 신체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 18 (18): 233-260, 2007
5 김혜라, "춤에 표현된 욕망과 질주: 들뢰즈의 유물론적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8 : 55-78, 2009
6 들뢰즈, 질, "천 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분열증 2" 새물결 2001
7 들뢰즈, 질,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8 이나현, "질 들뢰즈의 감성론을 기반으로 한 접촉 즉흥에서의 감각에 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 74 (74): 109-122, 2016
9 이나현, "접촉 즉흥 방법론에 나타나는 리좀적 특성 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 52 (52): 69-83, 2015
10 콜브룩, 클레어, "이미지와 생명, 들뢰즈의 예술철학" 그린비 2008
11 이나현, "윌리엄 포사이드의 즉흥 테크놀로지에 나타나는 비재현성에 대한 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 55 (55): 81-95, 2015
12 이나현, "윌리엄 포사이드의 몸에 대한 시각 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 35 (35): 103-121, 2012
13 나일화, "윌리엄 포사이드(W. Forsythe)의 작품에 나타난 유목적 신체" 한국무용예술학회 09 (09): 67-88, 2012
14 김미현, "엑스터시체험과 동물춤의 생성존재론적 해명 -굿의 존재론" 무용역사기록학회 28 : 1-20, 2013
15 들뢰즈, 질, "안티 오이디푸스: 자본주의와 분열증 l" 민음사 1997
16 김정은, "불교와 들뢰즈의 주체 개념과 무용현상 안에서의탈 주체화에 대한 관계적 의미고찰" 한국체육철학회 16 (16): 193-205, 2008
17 김정은, "무용현상과 들뢰즈의 재현방식" 한국체육철학회 12 (12): 249-259, 2007
18 나일화, "무용예술에 나타난 신체의 재현과 미학적 인식 굿맨(N. Goodman)과 들뢰즈(G. Deleuze)의 ‘기호’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예술학회 63 (63): 1-17, 2017
19 김말복, "무용미학의 논의를 위한 들뢰즈(G. Deleuze)사상의 수용 가능성 - Pina Bausch 작품에 나타난 ‘기관 없는 신체’를 중심으로 -" 한국무용예술학회 25 (25): 1-31, 2008
20 나일화, "무용미학에 있어서 들뢰즈(G. Deleuze)의 신체논의와 예술개념의 의미" 한국무용예술학회 43 (43): 47-68, 2013
21 나일화, "마야 데렌(M. Deren)의 댄스 필름에 나타난 신체 미지에 관한 연구 질 들뢰즈(G. Deleuze)의 이미지론을 중심으로 -" 한국무용예술학회 39 (39): 47-70, 2012
22 진윤희, "들뢰즈의 신체론에 근거한 즉흥무용프로그램이 신체자기지각 및 표현능력과 창작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32 (32): 45-60, 2015
23 김정은, "들뢰즈의 기관없는 신체를 통한 무용예술에서의 미학적 신체관" 한국체육철학회 12 (12): 447-466, 2004
24 이찬웅, "들뢰즈에서 창조의 세 전선(戰線) ‒ 철학, 과학, 예술 ‒" 한국철학회 (127) : 103-126, 2016
25 김효, "들뢰즈/가따리의 ‘되기’이론으로 살펴 본 댄스시어터의 미학" 한국연극학회 (20) : 391-416, 2003
26 나일화, "들뢰즈(G. Deleuze)의 사유를 통해 본 무용예술에서의 유목적 신체에 관한 논의 - 필립 드쿠플레(P. Decouflé)의「샤잠 Shazam」을 중심으로 -" 한국무용예술학회 32 (32): 1-24, 2011
27 콜브룩, 클레어, "들뢰즈 이해하기: 차이생성과 생명의 철학" 그린비 2007
28 빌라니, 아르노, "들뢰즈 개념어 사전" 도서출판 갈무리 2012
29 들뢰즈, 질, "감각의 논리, (들뢰즈의 창 6)" 민음사 2008
30 Cull, L., "Theatres of Immanence: Deleuze and the Ethics of Performance" Palgrave Macmillan 2012
31 Colebrook, C., "The Sonorous, the Haptic and the Intensive" 66 : 2009
32 Moore, A. W., "The Evolution of Modern Metaphysics: Making Sense of Thing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33 Foucault, M., "Language, Counter-memory, Practice: Selected Essays and Interviews" Cornell University Press 1977
34 "Gilles_Deleuze"
35 Briginshaw, V. A., "Difference and Repetition in Both Sitting Duet" 24 : 15-28, 2005
36 Guillaume, L., "Deleuze and the Body"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1
37 Cull, L., "Deleuze and Performanc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5
38 Ellars, J. S., "Aiôn and Chronos: Deleuze and the Stoic Theory of Time" 3 :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