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질 들뢰즈와 무용: 한국무용학의 들뢰즈 수용방식 = Gilles Deleuze and Dance: Reviewing the Reception of Gilles Deleuze in Dance Studie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766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illes Deleuze(1925-1995)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inkers in the world. In the Korean academic field, many scholars have interpreted Deleuze's thought in their own way. Since 2000s, the relationship between Deleuze's thought and Dance Studies has been discussed, and as a result several papers were published.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important papers on this subject and discuss their contributions and some remaining questions. Three researchers are chosen in terms of their focus on the relationship: Kim Jeong-Un, Na Il-Wha and Lee Na-hyun. After reviewing the works of three researchers, I summarized their strong points and posed the question that some of them didn't ask.
      번역하기

      Gilles Deleuze(1925-1995)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inkers in the world. In the Korean academic field, many scholars have interpreted Deleuze's thought in their own way. Since 2000s, the relationship between Deleuze's thought and Dance Studies ...

      Gilles Deleuze(1925-1995)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inkers in the world. In the Korean academic field, many scholars have interpreted Deleuze's thought in their own way. Since 2000s, the relationship between Deleuze's thought and Dance Studies has been discussed, and as a result several papers were published.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important papers on this subject and discuss their contributions and some remaining questions. Three researchers are chosen in terms of their focus on the relationship: Kim Jeong-Un, Na Il-Wha and Lee Na-hyun. After reviewing the works of three researchers, I summarized their strong points and posed the question that some of them didn't ask.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인, "혁명의 거리에서 들뢰즈를 읽자: 들뢰즈 철학 입문" 느티나무책방 2016

      2 양은숙, "피지컬 씨어터의 움직임에 나타나는 리좀적 특성" 한국무용연구학회 34 (34): 125-147, 2016

      3 양은정, "포스트구조주의 논의를 통해 본 한국 대중춤의 사회문화적 의미" 대한무용학회 70 (70): 183-222, 2012

      4 권옥희, "춤추는 몸의 유목적 주체화 양식 연구 -들뢰즈·가타리의 신체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 18 (18): 233-260, 2007

      5 김혜라, "춤에 표현된 욕망과 질주: 들뢰즈의 유물론적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8 : 55-78, 2009

      6 들뢰즈, 질, "천 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분열증 2" 새물결 2001

      7 들뢰즈, 질,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8 이나현, "질 들뢰즈의 감성론을 기반으로 한 접촉 즉흥에서의 감각에 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 74 (74): 109-122, 2016

      9 이나현, "접촉 즉흥 방법론에 나타나는 리좀적 특성 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 52 (52): 69-83, 2015

      10 콜브룩, 클레어, "이미지와 생명, 들뢰즈의 예술철학" 그린비 2008

      1 김재인, "혁명의 거리에서 들뢰즈를 읽자: 들뢰즈 철학 입문" 느티나무책방 2016

      2 양은숙, "피지컬 씨어터의 움직임에 나타나는 리좀적 특성" 한국무용연구학회 34 (34): 125-147, 2016

      3 양은정, "포스트구조주의 논의를 통해 본 한국 대중춤의 사회문화적 의미" 대한무용학회 70 (70): 183-222, 2012

      4 권옥희, "춤추는 몸의 유목적 주체화 양식 연구 -들뢰즈·가타리의 신체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 18 (18): 233-260, 2007

      5 김혜라, "춤에 표현된 욕망과 질주: 들뢰즈의 유물론적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8 : 55-78, 2009

      6 들뢰즈, 질, "천 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분열증 2" 새물결 2001

      7 들뢰즈, 질,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8 이나현, "질 들뢰즈의 감성론을 기반으로 한 접촉 즉흥에서의 감각에 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 74 (74): 109-122, 2016

      9 이나현, "접촉 즉흥 방법론에 나타나는 리좀적 특성 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 52 (52): 69-83, 2015

      10 콜브룩, 클레어, "이미지와 생명, 들뢰즈의 예술철학" 그린비 2008

      11 이나현, "윌리엄 포사이드의 즉흥 테크놀로지에 나타나는 비재현성에 대한 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 55 (55): 81-95, 2015

      12 이나현, "윌리엄 포사이드의 몸에 대한 시각 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 35 (35): 103-121, 2012

      13 나일화, "윌리엄 포사이드(W. Forsythe)의 작품에 나타난 유목적 신체" 한국무용예술학회 09 (09): 67-88, 2012

      14 김미현, "엑스터시체험과 동물춤의 생성존재론적 해명 -굿의 존재론" 무용역사기록학회 28 : 1-20, 2013

      15 들뢰즈, 질, "안티 오이디푸스: 자본주의와 분열증 l" 민음사 1997

      16 김정은, "불교와 들뢰즈의 주체 개념과 무용현상 안에서의탈 주체화에 대한 관계적 의미고찰" 한국체육철학회 16 (16): 193-205, 2008

      17 김정은, "무용현상과 들뢰즈의 재현방식" 한국체육철학회 12 (12): 249-259, 2007

      18 나일화, "무용예술에 나타난 신체의 재현과 미학적 인식 굿맨(N. Goodman)과 들뢰즈(G. Deleuze)의 ‘기호’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예술학회 63 (63): 1-17, 2017

      19 김말복, "무용미학의 논의를 위한 들뢰즈(G. Deleuze)사상의 수용 가능성 - Pina Bausch 작품에 나타난 ‘기관 없는 신체’를 중심으로 -" 한국무용예술학회 25 (25): 1-31, 2008

      20 나일화, "무용미학에 있어서 들뢰즈(G. Deleuze)의 신체논의와 예술개념의 의미" 한국무용예술학회 43 (43): 47-68, 2013

      21 나일화, "마야 데렌(M. Deren)의 댄스 필름에 나타난 신체 미지에 관한 연구 질 들뢰즈(G. Deleuze)의 이미지론을 중심으로 -" 한국무용예술학회 39 (39): 47-70, 2012

      22 진윤희, "들뢰즈의 신체론에 근거한 즉흥무용프로그램이 신체자기지각 및 표현능력과 창작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32 (32): 45-60, 2015

      23 김정은, "들뢰즈의 기관없는 신체를 통한 무용예술에서의 미학적 신체관" 한국체육철학회 12 (12): 447-466, 2004

      24 이찬웅, "들뢰즈에서 창조의 세 전선(戰線) ‒ 철학, 과학, 예술 ‒" 한국철학회 (127) : 103-126, 2016

      25 김효, "들뢰즈/가따리의 ‘되기’이론으로 살펴 본 댄스시어터의 미학" 한국연극학회 (20) : 391-416, 2003

      26 나일화, "들뢰즈(G. Deleuze)의 사유를 통해 본 무용예술에서의 유목적 신체에 관한 논의 - 필립 드쿠플레(P. Decouflé)의「샤잠 Shazam」을 중심으로 -" 한국무용예술학회 32 (32): 1-24, 2011

      27 콜브룩, 클레어, "들뢰즈 이해하기: 차이생성과 생명의 철학" 그린비 2007

      28 빌라니, 아르노, "들뢰즈 개념어 사전" 도서출판 갈무리 2012

      29 들뢰즈, 질, "감각의 논리, (들뢰즈의 창 6)" 민음사 2008

      30 Cull, L., "Theatres of Immanence: Deleuze and the Ethics of Performance" Palgrave Macmillan 2012

      31 Colebrook, C., "The Sonorous, the Haptic and the Intensive" 66 : 2009

      32 Moore, A. W., "The Evolution of Modern Metaphysics: Making Sense of Thing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33 Foucault, M., "Language, Counter-memory, Practice: Selected Essays and Interviews" Cornell University Press 1977

      34 "Gilles_Deleuze"

      35 Briginshaw, V. A., "Difference and Repetition in Both Sitting Duet" 24 : 15-28, 2005

      36 Guillaume, L., "Deleuze and the Body"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1

      37 Cull, L., "Deleuze and Performanc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5

      38 Ellars, J. S., "Aiôn and Chronos: Deleuze and the Stoic Theory of Time" 3 :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4-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 무용과학회지 -> 한국무용과학회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8 1.151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