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보조원이 인식하는 특수교육보조원의 바람직한 역할을 탐색하기 위하여 10명의 특수교육보조원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보조원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36379
2017
Korean
379.05
KCI등재
학술저널
49-65(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특수교육보조원이 인식하는 특수교육보조원의 바람직한 역할을 탐색하기 위하여 10명의 특수교육보조원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보조원이...
특수교육보조원이 인식하는 특수교육보조원의 바람직한 역할을 탐색하기 위하여 10명의 특수교육보조원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보조원이 인식하는 특수교육보조원 역할 수행의 어려운 점은 생활지원 측면에서 장애학생 개인욕구에 맞는 지원 수행의 어려움, 건강보호, 이동과 안전생활 지원 수행의 어려움, 의사소통 지원 수행의 어려움이었다. 교수-학습 지원의 어려운 점은 수업 보조 역할 수행의 어려움, IEP 참여 지원의 어려움, 문제행동 수정 역할 수행의 어려움이었다. 또한 사무행정 및 기타 지원의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둘째, 특수교육보조원이 인식하는 특수교육보조원제도 개선 사항은 급여 및 근무조건 개선, 선발 및 배치 개선, 교육 및 연수 개선이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와 노르웨이 특수교육보조원 제도의 운영 차이를 기술하고, 우리나라에서 특수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하여 특수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이 협력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al aides on their desirable role. The participants were 10 persons and focus group interview was carried out.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the difficulties of special educati...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al aides on their desirable role. The participants were 10 persons and focus group interview was carried out.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the difficulties of special education aides in the daily living support were support according to children’s educational needs, health support, mobility and daily care, communication support. The difficulties of special education aides in the teaching-learning support were instructional aid, IEP assistance, support for behavior problems. Special educational aides also had lots of difficulties on administrative affairs and other support roles. Second, Improvement plan of special education aides system which special education aides perceive were improvement of payment and working condition, improvement of draft and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aide, in-service training education for special education aide.
목차 (Table of Contents)
지적장애 학생의 단어 학습을 위한 한글 읽기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