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육교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979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살펴보고,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남지역 어린이집 보육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들이 경험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간에 유의한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건강에 대한 외상 후 스트레스 회귀분석 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는 정신건강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 정서조절 곤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개변수인 정서조절곤란이 유의한 영향력이 있어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이 유의미한 매개변수임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현장에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보육교사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살펴보고,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남지역 어린이집 보육교사 320명을 대상으...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살펴보고,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남지역 어린이집 보육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들이 경험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간에 유의한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건강에 대한 외상 후 스트레스 회귀분석 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는 정신건강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 정서조절 곤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개변수인 정서조절곤란이 유의한 영향력이 있어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이 유의미한 매개변수임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현장에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보육교사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mental health in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 of difficulty in emotion regulation. For that, 320 nursing teachers of daycare centers in Jeolla province were survey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mental health in childcare center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mental health. Second,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posttraumatic stress on mental health. The results showed that posttraumatic str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Thir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 of difficulty in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mental health in childcare center teacher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ifficulty in emotion regulation was a significant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mental health, considering that difficulty of emotion regul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Based on the aforesaid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an intervention measure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in the course of their performance of playing an essential role in the enhancement of service quality at daycare sit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mental health in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 of difficulty in emotion regulation. For that, 320 nursing teachers of daycare c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mental health in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 of difficulty in emotion regulation. For that, 320 nursing teachers of daycare centers in Jeolla province were survey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mental health in childcare center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mental health. Second,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posttraumatic stress on mental health. The results showed that posttraumatic str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Thir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 of difficulty in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mental health in childcare center teacher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ifficulty in emotion regulation was a significant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mental health, considering that difficulty of emotion regul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Based on the aforesaid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an intervention measure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in the course of their performance of playing an essential role in the enhancement of service quality at daycare sit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요약
      • I.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다해,김다해, "혼합연령 학급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신라대학교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 오선미, "해결중심 단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직장-가정 갈등관리능력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효과"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은헌정,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44 (3) : 303 ~ 310, 2005

      4 서영석, "한국인이 경험한 외상사건: 종류 및 발생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 (3) : 671 ~ 701, 2012

      5 김건찬, "학교폭력 실태와 예방 , 나 때리지 마! 너 지켜줄게! 우리 모두는 소중하잖아!" 한국법제연구원, 2012

      6 나미경,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백민정, "중학생의 행동억제기질과 사회불안의 관계 :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8 오평자, "정신질환자의 정신건강 요인에 관한 연구 : GAF 척도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9 임정숙,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2 (1) : 31 ~ 60, 2014

      10 나동석, "정신건강론" 양서원, 2008

      1 김다해,김다해, "혼합연령 학급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신라대학교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 오선미, "해결중심 단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직장-가정 갈등관리능력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효과"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은헌정,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44 (3) : 303 ~ 310, 2005

      4 서영석, "한국인이 경험한 외상사건: 종류 및 발생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 (3) : 671 ~ 701, 2012

      5 김건찬, "학교폭력 실태와 예방 , 나 때리지 마! 너 지켜줄게! 우리 모두는 소중하잖아!" 한국법제연구원, 2012

      6 나미경,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백민정, "중학생의 행동억제기질과 사회불안의 관계 :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8 오평자, "정신질환자의 정신건강 요인에 관한 연구 : GAF 척도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9 임정숙,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2 (1) : 31 ~ 60, 2014

      10 나동석, "정신건강론" 양서원, 2008

      11 이지영,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 (3) : 461 ~ 493, 2006

      12 조용래, "정서조절곤란의 평가: 한국판 척도의 심리측정적 속성"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6 (4) : 1015 ~ 1038, 2007

      13 하수진, "적극적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AP)을 활용한 집단 상담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4 주봉관, "유아교사의 사기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15 김종민, "외상 후 스트레스(PTSD) 국립치유센터 그리고 강원도" 2014

      16 이영미, "영유아보육, 교육기관의 교사의 표면적 정서노동과 직무소진 간 관계에서 시설장, 동료교사, 학부모의 정서적지지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7 (1) : 167 ~ 185, 2011

      17 "연합뉴스. 2014. 8. 29" 2014

      18 어린이집안전공제회,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안전교육" 2014

      19 이경자,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혼합연령반에 대한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4

      20 허정윤,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2

      21 최나윤, "아동기 외상이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 초기부적응도식과 자기개념 및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22 이율이, "아동 보호권의 관점에서 본 보육시설 어린이 통학버스 안전현황과 문제점" 아동과 권리 8 (3) : 481 ~ 500, 2004

      23 송현, "심리적 강인성과 정서지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양, 적극적 대처를 매개로" 전북대학교, 2011

      24 고일영, "시설형태와 개인적 변인에 따른 보육교사의 정신건강 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4

      25 이영주, "소방공무원이 지각한 외상경험과 외상후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1

      26 최혜경,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 경험이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증상, 정서적 탈진, 신체증상, 사회 및 직업기능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0

      27 김창기, "생태체계적 관점에서의 보육교사의 정신건강에 대한 보육서비스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66 : 147 ~ 167, 2011

      28 신선영,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29 나동석, "사회적 지지와 지각된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8 (4) : 733 ~ 756, 2004

      30 류은영, "불안 민감성과 정서조절의 관계 :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31 정유정, "보육서비스 질이 학부모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평가인증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12

      32 김은설,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육아정책연구 7 (1) : 127 ~ 149, 2013

      33 조성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아동학회지 26 (4) : 55 ~ 70, 2005

      34 김창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문제중심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 69 : 315 ~ 336, 2011

      35 윤혜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한국아동복지학 (43) : 157 ~ 184, 2013

      36 양안숙,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8

      37 권혜진,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이 정서적 고갈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규칙의 중재효과" 유아교육학논문집 13 (6) : 255 ~ 276, 2009

      38 정혜진,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정서조절방략에 따른 역할수행의 관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9 권혜진,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소진 -정서적 부조화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 인간발달연구 15 (4) : 93 ~ 113, 2008

      40 김리진,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직무스트레스가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7 (2) : 263 ~ 282, 2013

      41 박복매,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내외통제성, 직무환경, 정서지능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42 구은미, "보육교사의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지 16 (4) : 33 ~ 45, 2007

      43 장미순,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건국대학교, 2012

      44 김지혜, "대학생들의 건강염려증상에서 인지적 취약성과 정서조절곤란의 역할" 한림대학교, 2013

      45 김재환, "간이 정신 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 출판부, 1984

      46 박을순, "가정폭력이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47 M. Jahoda, "Schizophrenia and The Family" Internation University Press. Inc, 1983

      48 Falk p. Mirtazapine, "Other indication" J Clin Psychiatry 60 (17) : 36 ~ 40, 1999

      49 Gratz, K. L,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36 : 41 ~ 54, 2004

      50 Weinberg, A., "Measurement of emotion dysregulation in adolescents" Psychological Assessment 21 (4) : 616 ~, 2009

      51 Salovey, P.,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 185 ~ 211" 1990

      52 Robinson, J. S., "Are trauma events necessary to elicit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2 (2) : 71 ~ 76, 2010

      53 Larissa, K. B., "Affect regulation strategies for promoting (orpreventing) emotional health"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9 : 663 ~ 666, 2010

      54 오수성, "518 피해자들의 만성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25 (2) : 59 ~ 75,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