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뇌기능과 창의적 능력간의 관계 = The Relation of Creativity Ability and Brain Fun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19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creativity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ability and brain function of human being. An examination was conducted for brain preference indicator and creativity with 579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ccording to the result, students were grouped into four types; 1) both-brain type with high both left and right brain score, 2) left-brain type with high left brain score, 3) right-brain with high right brain score, 4) poor type with low score in both. It is analyzed that highest creativity was shown for the both-brain type group. Therefore, it is requested that the existing right-brain focused education should be changed into education to use both-brai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creativity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ability and brain function of human being. An examination was conducted for brain preference indicator and creativity with 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creativity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ability and brain function of human being. An examination was conducted for brain preference indicator and creativity with 579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ccording to the result, students were grouped into four types; 1) both-brain type with high both left and right brain score, 2) left-brain type with high left brain score, 3) right-brain with high right brain score, 4) poor type with low score in both. It is analyzed that highest creativity was shown for the both-brain type group. Therefore, it is requested that the existing right-brain focused education should be changed into education to use both-brai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인간의 창의적 능력과 뇌 기능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서 창의성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대학의 학생 579명을 대상으로 뇌기능 선호 성향 검사와 창의적 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 대상은 좌뇌 점수와 우뇌 점수가 모두 높은 양뇌형, 좌뇌 점수만 높은 좌뇌형, 우뇌 점수만 높은 우뇌형, 둘다 낮은 열등형의 네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네 집단의 창의적 능력의 차이 분석 결과 양뇌형 집단이 가장 높은 창의적 능력을 보였다. 이에 기존의 창의성 교육을 위한 우뇌 중심의 학습에서 양뇌 모두를 활용할 수 있는 학습 방식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인간의 창의적 능력과 뇌 기능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서 창의성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대학의 학생 579명을 대상으로 뇌기능 ...

      본 연구는 인간의 창의적 능력과 뇌 기능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서 창의성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대학의 학생 579명을 대상으로 뇌기능 선호 성향 검사와 창의적 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 대상은 좌뇌 점수와 우뇌 점수가 모두 높은 양뇌형, 좌뇌 점수만 높은 좌뇌형, 우뇌 점수만 높은 우뇌형, 둘다 낮은 열등형의 네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네 집단의 창의적 능력의 차이 분석 결과 양뇌형 집단이 가장 높은 창의적 능력을 보였다. 이에 기존의 창의성 교육을 위한 우뇌 중심의 학습에서 양뇌 모두를 활용할 수 있는 학습 방식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창의적 성취와 관련된 제 요인들: 창의성 연구의 최근 모델인 체계모델(systems model)을 중심으로." 5 (5): 133-166, 1998

      2 Urban,K.K, "창의성-요소적 접근 모델" 24 : 5-27, 1996

      3 "우뇌훈련을 통한 창의성 개발에 관한 실험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87

      4 "새로운 생각은 어떻게 가능한가 전문분야 창의성에 대한 학습 과정 모형 접근" 20 (20): 409-428, 2001

      5 "뇌의 기능분화와 창의성의 관계연구" 14 (14): 31-56, 2000

      6 "교사, 학부모, 직장인을 위한 창의력의 이론과 실제." 원미사. 1996

      7 "고착(fixation)의 원인과 뇌 선호 성향과의 관계." 사단법인 한국 인사조직학회 157-183, 2004

      8 Thompson,C, "What a Great Idea:Key Steps Creative People Take" Haper-Perrenial 1992

      9 "What Do We Do Know about Creativity? In R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9-440, 1989

      10 Guilford, "Traits of Creativity" 167-188, 1970

      1 "창의적 성취와 관련된 제 요인들: 창의성 연구의 최근 모델인 체계모델(systems model)을 중심으로." 5 (5): 133-166, 1998

      2 Urban,K.K, "창의성-요소적 접근 모델" 24 : 5-27, 1996

      3 "우뇌훈련을 통한 창의성 개발에 관한 실험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87

      4 "새로운 생각은 어떻게 가능한가 전문분야 창의성에 대한 학습 과정 모형 접근" 20 (20): 409-428, 2001

      5 "뇌의 기능분화와 창의성의 관계연구" 14 (14): 31-56, 2000

      6 "교사, 학부모, 직장인을 위한 창의력의 이론과 실제." 원미사. 1996

      7 "고착(fixation)의 원인과 뇌 선호 성향과의 관계." 사단법인 한국 인사조직학회 157-183, 2004

      8 Thompson,C, "What a Great Idea:Key Steps Creative People Take" Haper-Perrenial 1992

      9 "What Do We Do Know about Creativity? In R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9-440, 1989

      10 Guilford, "Traits of Creativity" 167-188, 1970

      11 Gowan,J.C, "The Production of Creativity through Right Hemisphere Imagery" 39-51, 1979

      12 "The Personality of Creativity. In M. Joyce, S. Isaken, G. Puccio, F. Davidson, & C. Coppage(Eds." Copley Publishing Co 71-85, 1995

      13 Torrance, "The Nature of Creativity as Manifest in Its Testing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3-75, 1988

      14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5" 169-179, 1991

      15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3" 263-273, 1979

      16 Diamond,S.J, "The Double Brain" Churchill Livingstone 1972

      17 "The Creative Product. In M. Joyce, S. Isaksen, G. Puccio, F. Davidson, C. Coppage(Eds.)." Copley Publishing Group 146-148, 1995

      18 "The Creative Environment." 2 (2): 231-253, 1988

      19 Cranz, G, "The Chair: Rethinking Culture, Bod, and Design." W. Norton & Company, Inc. 1998

      20 In P, "The Art of Thought" 1926

      21 Koestler,A, "The Act of Creation" Macmillian 1964

      22 "Right Hand, Left Hand: The Origins of Asymmetry in Brain, Bodies, Atoms, and Culture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2

      23 Garett,S.V, "Putting Our Whole Brain to Use:A Fresh Look at the Creative Process" (4) : 239-249, 1976

      24 "Psychophysiology of Mental Imagery" 1990

      25 In R, "Person; A Systems View of Creativity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5-339, 1988

      26 "Neurological Aspects of Musical Perception and Performance Psychology of Music" Acadimic Press 1982

      27 "Morphological Creativity" Prentice-Hall 1966

      28 Guilford, "Measurement of Creativity Explorations in Creativity" 1967

      29 "Managing Creative People. In M. Joyce, S. Isaksen, G. Puccio, F. Davidson, C. Coppage(Eds.)." Coplery Publishing Group 196-199, 1995

      30 "Laterality of Eye Movements and Functional Brain Asymmetry" 927-932, 1969

      31 Galin, "Lateral Specialization of Cognitive Mode" 412-418, 1972

      32 Uemura, "Individual Differences in Hemispheric Lateralization University of Main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re : 1980

      33 "In Conference on the Creative Person Conference Conducted by the Institute of Personality Assessment and Research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1961

      34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 607-627, 1985

      35 Goldberg, "Hemispheric Differences in the Aquisition and Use of Descriptive System" 144-173, 1981

      36 "Hemispheric Asymmetr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3

      37 "Growing up Creative Nurturing a Lifetime of Creativity" 1989

      38 "EEG Differences as a Function of Creativity Stage of the Creative Process and Effort to be Original" 157-167, 1978

      39 "Do You Know It's Creative? In M. Joyce, S. Isaksen, G. Puccio, F. Davidson, & C. Coppage(Eds.)" Coplery Publishing Group 137-145, 1995

      40 "Creativity, Primary Process Cognition, and Personality." 20 : 409-414, 1996

      41 "Creativity in Cimtext: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Boulder,CO 1996

      42 "Creativ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Asymmetrical Cerebral Hemisphric Function" 3-16, 1983

      43 "Creativity and Cortical Activation during Creative" 71-86, 1975

      44 Finke, R. A, "Creative Insight and Preinventive Forms.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Eds.)." MIT Pess. 255-280, 1995

      45 Anationica Record 13, "Corpus Callosum and Interhemisheric Transfer in the Monkey" 1958

      46 "Complexity-Simplicity as a Personality Dimension Journal of Abnornal" -48, 1953

      47 "Cerebral Dominance and the Perception of Verbal Stimuli" (3) : 166-171, 1961

      48 "Brain-Vased Learning" Turning Point Publishing 1996

      49 Harpaz,I, "Asymmetry of Hemispheric Function and Creativity:An Empirical Examination" (3) : 161-17, 1990

      50 "Arithmetic Teacher 25" 36-39, 1977

      51 "An Orientation to the Frontiers of Creativity Research Frontiers of Creativity Research" 1-26, 1987

      52 "A Place for Creativity: The Hallmark Innovation Center. In M. Joyce, S. Isaksen, G. Puccio, F. Davidson, & C. Coppage(Eds.)" Coplery Publishing Group. 210-213, 1995

      53 Curry,F.W, "A Comparison of Left-Handed and Right-Handed Subjects on Verbal and Nonverbal Dichotic Listen Tasks" 3 : 343-352, 1967

      54 Gardner, "A Cognitive Approach to Creativity" Basic Books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2-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5 1.65 1.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1 1.85 2.063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