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베다문헌이 형성되는 시기의 인도사상사를 아리야(?rya)적인 요소와 토착 선주민적인 요소의 상호변용이라는 점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도의 사상과 문화는 처음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44463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3-97(25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베다문헌이 형성되는 시기의 인도사상사를 아리야(?rya)적인 요소와 토착 선주민적인 요소의 상호변용이라는 점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도의 사상과 문화는 처음부...
본 논문은 베다문헌이 형성되는 시기의 인도사상사를 아리야(?rya)적인 요소와 토착 선주민적인 요소의 상호변용이라는 점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도의 사상과 문화는 처음부터 지금까지 아리야적 요소와 비(非)아리야적 요소의 변증법적 발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인도사상시의 시원이라 할 수 있는 베다문헌에서 아리야적인 요소와 비(非)아리야적인 요소의 상호변용을 고찰하는 것은 그 이후의 사상사에서 대두되는 브라흐마니즘(Brahmanism)과 슈라마니즘(Sramanism)의 관계 또는 유파(有派, ?stika)와 무파(無派, n?stika)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넓은 의미에서 베다는 어떤 특정 문헌에 대한 이름이 아니라, 수세기 동안의 오랜 기간에 걸치는 여러 세대의 문헌에 대한 총칭이다. 그것은 원래 유목민이었던 아리야 사람들이 원주지를 떠나 중앙아시아를 거쳐, 오늘날의 이란에 머물렀다가 다시 분지분기(分岐)하여 인도 북서쪽의 힌두쿠시 산맥을 넘어 마침내 인도에 정착하기까지 긴 노정을 담고 있다. 따라서 베다에는 아리야 사람들의 종교사상적 요소 외에도 다양한 문화와 사상이 반영되어 있을 수밖에 없다.
베다문헌의 형성과정에 유입된 비(非)아리야적 요소를 살피기 위하여 논자는 우선 인더스문명과 『리그베다(Rig-veda)』의 관계를 다루었으며, 또한 『아베스따(Avesta)』와 『리그베다』의 유사성을 고찰함으로써 베다문헌 속의 인도 외적인 요소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어서 『아타르바베다(Atharva-veda)』의 비(非)아리야적 요소를 고찰했다. 흔히 『타르바베다』는 비(非)아리야적 요소 또는 선(先)아리야적 요소의 핵심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헌으로 명기된다. 『아타르바다』의 비(非)아리야적인 요소는 특히 드라비다(Dravi?a) 사람들과 관련을 지니며, 드라비다 사람들은 인더스문명괴 모종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마지막으로 업, 윤회, 요가, 해탈이라는 인도사상의 주요 개념들을 중심으로 『우빠니샤드』 속의 비(非)아리야적 요소를 고찰했다. 넓은 의미에서 『우빠니샤드』는 베다문헌에 포함되며, 베다의 징수를 담고 있는 문헌임에 분명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속에는 다수의 비(非)아리야적 요소들이 혼입되어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where is the difficulty of getting reliable historical evidence so extreme as in the case of Indian Philosophy. In Hinduism, time is not only an?di (beginning-less) and nitya(eternal), but also m?y? (illusory) in its essence. Therefore, Indian peopl...
Nowhere is the difficulty of getting reliable historical evidence so extreme as in the case of Indian Philosophy. In Hinduism, time is not only an?di (beginning-less) and nitya(eternal), but also m?y? (illusory) in its essence. Therefore, Indian people have been Quite indifferent to recording the exact dates of something in worldly life. Indian Philosophy has long history, but it is always difficult for the historians to ascertain the period for the development of a particular philosophy in ancient India.
In this paper, I want to examine the influx of non-Aryan factors in the formation of the Vedas, the oldest literature of Indian Philosophy. Here, the term ‘Aryan’ does not mean a family of peoples, but peoples who speak Aryan languages. In fact, we do not know precisely who the Aryans were, and where they came from. The text of the Veda which we possess has come to us from the period of intellectual activity when the Aryans found their way into India from their original home. They brought with them certain notions and beliefs which were developed and continued on the Indian soil. A long interval must have elapsed between the composition and the compilation of the hymns, and in this period several non-Aryan factors came into the Vedas.
The Dravidians were the most notable among the forerunners of the ?ryans, and brought with them to India the elements of a comparatively advanced civilization. The factors of Dravidian thought had a powerful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Aryan Vedas. In a sense,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can be regarded as a dialectical development between the Aryan factors and those of the Dravidians.
In order to enquire into the influx of non-Aryan factors in the formation of the Vedas, I dealt with four subjects: 1) Indus civilization and Rig-veda, 2) Rig-Veda and Avesta, 3) the non-Ayan factors in Atharva-veda, and 4) karma, sa?s?ra, yoga and mok?a in Upani?ad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구, "힌두교의 이해" 세창출판사 2000
2 라다크리슈난, S, "인도철학사 1" 한길사 1999
3 길희성, "인도철학사" 민음사 2001
4 정태혁, "인도철학" 학연사 1984
5 샤르마, 람 샤란, "인도고대사" 김영사 1994
6 이재숙, "마누법전" 한길사 1999
7 Jackson, A. V. W., "Zoroaster the Prophet of Ancient Iran" Columbia University Press 1899
8 MacDonell, A. A, "Vedic Reader for Students" Oxford University Press 1917
9 Oldenberg, Hermann, "Vedic Hymns, part 2 (The sacred books of the East xlvi)" Clarendon Press 1897
10 Muller, F. Max, "Vedic Hymns, part 1 (The sacred books of the East xxxii)" Clarendon Press 1891
1 이은구, "힌두교의 이해" 세창출판사 2000
2 라다크리슈난, S, "인도철학사 1" 한길사 1999
3 길희성, "인도철학사" 민음사 2001
4 정태혁, "인도철학" 학연사 1984
5 샤르마, 람 샤란, "인도고대사" 김영사 1994
6 이재숙, "마누법전" 한길사 1999
7 Jackson, A. V. W., "Zoroaster the Prophet of Ancient Iran" Columbia University Press 1899
8 MacDonell, A. A, "Vedic Reader for Students" Oxford University Press 1917
9 Oldenberg, Hermann, "Vedic Hymns, part 2 (The sacred books of the East xlvi)" Clarendon Press 1897
10 Muller, F. Max, "Vedic Hymns, part 1 (The sacred books of the East xxxii)" Clarendon Press 1891
11 Oldenberg, Hermann, "The religion of the Veda" Motilal Banarsidass 1988
12 Darmesteter, James, "The Zend Avesta, Part I, The Vendidad (the Sacred Books of the East, Vol. 4)" Oxford University Press 1880
13 Basham, A. L, "The Wonder that was India: the survey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Indian sub-continent before the coming of the Muslims" Rupa 1995
14 Habib, Irfan, "The Vedic Age(A People's History of India 3)" Tulika Books 2007
15 Hopkins, Edward Washburn, "The Religion of India" Munshiram Manoharlal 1970
16 Radhakrishnan, Sarvepalli, "The Principal Upaniṣads" Harper Collins Publishers 2007
17 Bowker, John, "The Oxford Dictionary of World Religions, 535"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18 Bongard-Levin, "The Origin of the Aryans" Prometheus Books 1980
19 Kapoor, Subodh, "The Hindus, Encyclopaedia of Hinduism, Vol. 1, 2, 3, 4" Cosmo Publications 2000
20 Hiriyanna, M, "The Essentials of Indian Philosophy" George Allen & Unwin 1949
21 Karambelkar, V. W, "The Atharvavedic Civilization" Nagpur 1959
22 Boyce, M., "Textual Sources for the Study of Zoroastrianism"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84
23 Muller, F. Max, "Six Systems of Indian Philosophy" Green and Co 2004
24 Hiriyanna, M., "Outlines of Indian Philosophy" Allen & Unwin 1932
25 Mahadevan, T. M. P., "Invitation to Indian Philosophy" Arnold-Heineman 1982
26 Thapar, Romila, "Interpreting early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27 Radhakrishnan, Sarvepalli, "Indian Philosophy, 2 Vols" Allen & Unwin,Humanities Press 1927
28 Griffith, Ralph, T. H, "Hymns of the Atharvaveda" Chowkhamba Sanskrit Series Office 1985
29 Leopold, J., "British Applications of the Aryan Theory of Race to India, 1850-70. in The English Historical Review" Oxford University Press 578-603, 1974
30 Konow, S., "Aryan gods of the Mitani people" A. W. Brogger 1921
31 Majumdar, R. C, "An Advanced History of India" Macmillan 1980
32 Winternitz, Maurice,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1981
33 Gupta, S. Das, "A Hiistory of Indian Philosophy, 5 Vo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5
34 Sharma, C. D, "A Critical Survey of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sidass 196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5-1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outh Asian Studies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2-12-3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남아시아연구소 -> 인도연구소영문명 : Institute of South Asian Studies -> Institute of Indian Studies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2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 | 0.17 | 0.843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