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과 싱가포르의 전자상거래 비교 연구 = A Study on the E-Commerce in Korea and Singapo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309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인터넷 사용의 급속한 확산은 기업 활동의 세계화를 가속시키고, 상거래 방식과 상거래 관행을 변화시킴으로써 21세기 새로운 상거래 패러다임인 전자상거래(e-commerce)로 신속한 전환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2006년 한국과 싱가포르는 FTA협상을 체결하였다. FTA협상에서는, 한ㆍ칠레 FTA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던 ‘전자상거래’ 분야가 추가되었다. 이는 앞으로 한국과 싱가포르간 전자상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싱가포르는 동아시아의 무역센터이자 세계적인 물류ㆍ금융 및 비즈니스의 중심지이기 때문에 FTA협상으로 추가된 전자상거래 분야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상거래 시장과 관련하여 한국과 싱가포르의 현황을 비교ㆍ분석하여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21세기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번역하기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인터넷 사용의 급속한 확산은 기업 활동의 세계화를 가속시키고, 상거래 방식과 상거래 관행을 변화시킴으로써 21세기 새로운 상거래 패러다임인 전자상거래(e...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인터넷 사용의 급속한 확산은 기업 활동의 세계화를 가속시키고, 상거래 방식과 상거래 관행을 변화시킴으로써 21세기 새로운 상거래 패러다임인 전자상거래(e-commerce)로 신속한 전환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2006년 한국과 싱가포르는 FTA협상을 체결하였다. FTA협상에서는, 한ㆍ칠레 FTA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던 ‘전자상거래’ 분야가 추가되었다. 이는 앞으로 한국과 싱가포르간 전자상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싱가포르는 동아시아의 무역센터이자 세계적인 물류ㆍ금융 및 비즈니스의 중심지이기 때문에 FTA협상으로 추가된 전자상거래 분야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상거래 시장과 관련하여 한국과 싱가포르의 현황을 비교ㆍ분석하여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21세기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veloping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preading the internet accelerate globalization of a business. By changing the process and the practice of a commercial transaction we watch the switchover to e-commerce which is a new paradigm in the 21st century.
      In 2006 Korea concluded an entente of the FTA with Singapore. In this FTA takes there was a e-commerce field that was not treated in that of between Korea and Chile. It means e-commerce between Korea and Singapore will be active. Because Singapore is the center of trade in East Asia and of global distribution, finance and business, e-commerce added in the FTA takes arouses interest.
      This study shows how to deal aggressively in a fast-changing e-commerce business through the analysis and the comparison of e-commerce between Korea and Singapore.
      번역하기

      Developing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preading the internet accelerate globalization of a business. By changing the process and the practice of a commercial transaction we watch the switchover to e-commerce which is a new paradigm in ...

      Developing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preading the internet accelerate globalization of a business. By changing the process and the practice of a commercial transaction we watch the switchover to e-commerce which is a new paradigm in the 21st century.
      In 2006 Korea concluded an entente of the FTA with Singapore. In this FTA takes there was a e-commerce field that was not treated in that of between Korea and Chile. It means e-commerce between Korea and Singapore will be active. Because Singapore is the center of trade in East Asia and of global distribution, finance and business, e-commerce added in the FTA takes arouses interest.
      This study shows how to deal aggressively in a fast-changing e-commerce business through the analysis and the comparison of e-commerce between Korea and Singapo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서론
      • Ⅱ.전자상거래의 개념과 선행연구 분석
      • Ⅲ.한국과 싱가포르의 전자상거래 현황비교
      • Abstract
      • 국문초록
      • Ⅰ.서론
      • Ⅱ.전자상거래의 개념과 선행연구 분석
      • Ⅲ.한국과 싱가포르의 전자상거래 현황비교
      • Ⅳ.한국과 싱가포르의 전자상거래 정책비교
      • Ⅴ.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전자거래진흥원"

      2 "한국전산원" 한국전산원

      3 정현석, "한국과 아랍문화권 국가와의 전자상거래 인식 특성비교" 대한산업공학회 2004

      4 강흥중, "한국과 미국의 전자상거래 비교 연구" 한국관세학회 9 (9): 313-345, 2008

      5 정보통신부, "정보화촉진기본계획(2002-2003) 수립계획" 2001

      6 성태경, "전자상거래의 성공요인: 한미 비교분석" 한국경영정보학회 12 (12): 37-53, 2002

      7 이명무, "전자상거래의 성공요인: 한국-인도 비교분석" 한국인도학회 10 (10): 87-110, 2005

      8 성태경, "전자상거래의 성공요인: 한·미·일 비교 분석" 한국경영정보학회 13 (13): 171-190, 2003

      9 산업자원부, "전자상거래 활성화종합대책" 2002

      10 이상철,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한국과 싱가포르의 소비자 태도 비교분석" 한국경영과학회 2002

      1 "한국전자거래진흥원"

      2 "한국전산원" 한국전산원

      3 정현석, "한국과 아랍문화권 국가와의 전자상거래 인식 특성비교" 대한산업공학회 2004

      4 강흥중, "한국과 미국의 전자상거래 비교 연구" 한국관세학회 9 (9): 313-345, 2008

      5 정보통신부, "정보화촉진기본계획(2002-2003) 수립계획" 2001

      6 성태경, "전자상거래의 성공요인: 한미 비교분석" 한국경영정보학회 12 (12): 37-53, 2002

      7 이명무, "전자상거래의 성공요인: 한국-인도 비교분석" 한국인도학회 10 (10): 87-110, 2005

      8 성태경, "전자상거래의 성공요인: 한·미·일 비교 분석" 한국경영정보학회 13 (13): 171-190, 2003

      9 산업자원부, "전자상거래 활성화종합대책" 2002

      10 이상철,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한국과 싱가포르의 소비자 태도 비교분석" 한국경영과학회 2002

      11 전황수, "싱가포르와 한국의 국가 경쟁력 : 인터넷 활용과 정보 인프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이론학회 20 : 2001

      12 이성봉, "미국과 싱가포르의 전자무역 지원정책에 관한 비교 연구 -비정형 전자무역 분야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통상정보학회 3 (3): 2001

      13 최석범, "동북아지역 전자상거래 현황분석을 통한 문제점과 해결방안" 한국무역학회 30 (30): 165-200, 2005

      14 이용근, "동북아국가들의 전자상거래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8 (8): 237-264, 2006

      15 정보통신부, "글로벌리더, e-Korea 건설을 위한 제3차 정보화촉진기본계획(안)(2002-2006)" 2002

      16 정재우, "국가별 전자무역의 비교와 시사점" 한국무역학회 33 (33): 171-197, 2008

      17 Chan Busli, "The Development of e-Commerce in Singapore: The Impact of Government Initiatives" 8 : 2002

      18 Muir Adrienne, "National Information Policy Developments Worldwide III: e-Commerce" 28 : 2002

      19 "IDA Singapore"

      20 정보통신부, "CYBER KOREA 21-창조적 지식기반국가건설을 위한 정보화비젼" 1993

      21 Infocomm Development Authority, "Annual Survey on Infocomm Usage by Enterprises for 2008" 2008

      22 통계청, "2008. 4/4분기 전자상거래 및 사이버 쇼핑 동향"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Electronic Trade Institute -> Korea E-Trade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 0.485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