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늘림 읽기의 방법 고찰 = A Study on the Method of Increasing Read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753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의에서는 리쾨르의 예술론에서 단서를 얻어 늘림 읽기를 제시하였다. 늘림 읽기는 독자의 대상에 대한 인식 경계를 새로 생성하는 읽기다. 독자는 텍스트의 인식 세계로 자신의 인식 경계를 늘릴 수 있다. 독자가 인식 경계를 늘리면 대상을 새롭게 알고, 보고, 느낄 수 있다. 인식경계의 늘림은 대상에 대한 인식세계와 인식 능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독자의 인식 경계의 늘림은 텍스트의 인식 세계에서 비롯된다. 독자는 텍스트의 인식 세계와 자기의 인식 세계를 비교하여 자기의 인식 세계의 한계를 자각한다. 이 자각으로 독자는 자기의 인식 경계를 늘린다. 이를 위한 늘림 읽기의 절차는 먼저 텍스트의 인식 세계를 알아보고, 자기의 인식 세계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인식 경계를 늘리고, 인식 경계를 굳힌다. 이 절차는 텍스트의 인식 세계를 활용하여 독자의 인식 경계를 늘리는 논리적 순서다. 실제 독자가 늘림 읽기를 할 때는 절차가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늘림 읽기는 새롭게 제안된 읽기 방법이다. 이해 대한 논의가 충분하지 못하여, 연구자들의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논의에서는 리쾨르의 예술론에서 단서를 얻어 늘림 읽기를 제시하였다. 늘림 읽기는 독자의 대상에 대한 인식 경계를 새로 생성하는 읽기다. 독자는 텍스트의 인식 세계로 자신의 인식 ...

      이 논의에서는 리쾨르의 예술론에서 단서를 얻어 늘림 읽기를 제시하였다. 늘림 읽기는 독자의 대상에 대한 인식 경계를 새로 생성하는 읽기다. 독자는 텍스트의 인식 세계로 자신의 인식 경계를 늘릴 수 있다. 독자가 인식 경계를 늘리면 대상을 새롭게 알고, 보고, 느낄 수 있다. 인식경계의 늘림은 대상에 대한 인식세계와 인식 능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독자의 인식 경계의 늘림은 텍스트의 인식 세계에서 비롯된다. 독자는 텍스트의 인식 세계와 자기의 인식 세계를 비교하여 자기의 인식 세계의 한계를 자각한다. 이 자각으로 독자는 자기의 인식 경계를 늘린다. 이를 위한 늘림 읽기의 절차는 먼저 텍스트의 인식 세계를 알아보고, 자기의 인식 세계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인식 경계를 늘리고, 인식 경계를 굳힌다. 이 절차는 텍스트의 인식 세계를 활용하여 독자의 인식 경계를 늘리는 논리적 순서다. 실제 독자가 늘림 읽기를 할 때는 절차가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늘림 읽기는 새롭게 제안된 읽기 방법이다. 이해 대한 논의가 충분하지 못하여, 연구자들의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esented ‘the increasing reading’ with clues from Ricoeur's art theory. The increasing reading is a reading that creates a new perception boundary for the recognition of object. If the reader increases the perception boundary of the object, he can know, see, and feel the object anew. Readers who do increasing reading must first grasp the recognition world of the object in text. And the reader should be aware of his recognition world of the object. Increasing the perception boundary of the reader stems from the perception world in text. The procedure of increasing reading, first the reader perceive the recognition world of object in text. And he must be aware of his own recognition world for the object. Then, the reader uses the recognition world of text to increase his own perception boundaries for the object. This procedure is a logical sequence that leverages the recognition world of text to increase the reader's perception boundaries. The procedure may not be distinguished when the actual reader does the increasing reading. The increasing reading is a newly proposed reading method.
      번역하기

      This study presented ‘the increasing reading’ with clues from Ricoeur's art theory. The increasing reading is a reading that creates a new perception boundary for the recognition of object. If the reader increases the perception boundary of the ob...

      This study presented ‘the increasing reading’ with clues from Ricoeur's art theory. The increasing reading is a reading that creates a new perception boundary for the recognition of object. If the reader increases the perception boundary of the object, he can know, see, and feel the object anew. Readers who do increasing reading must first grasp the recognition world of the object in text. And the reader should be aware of his recognition world of the object. Increasing the perception boundary of the reader stems from the perception world in text. The procedure of increasing reading, first the reader perceive the recognition world of object in text. And he must be aware of his own recognition world for the object. Then, the reader uses the recognition world of text to increase his own perception boundaries for the object. This procedure is a logical sequence that leverages the recognition world of text to increase the reader's perception boundaries. The procedure may not be distinguished when the actual reader does the increasing reading. The increasing reading is a newly proposed reading metho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남인,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18

      2 김한식, "해석의 에움길" 문학과지성사 2019

      3 엄태동, "하이데거와 교육" 교육과학사 2016

      4 김도남, "텍스트 타자와 독자 자아-레비나스의 타자 철학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114) : 95-120, 2018

      5 이홍우, "케에르케고르의 교육이론" 교육과학사 2003

      6 김도남, "참된 독자 탐구" 청람어문교육학회 (78) : 169-196, 2020

      7 박삼수, "주역" 현암사 2007

      8 이희영,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민음사 2015

      9 김한식, "시간과 이야기 1‧2" 문학과지성사 2001

      1 이남인,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18

      2 김한식, "해석의 에움길" 문학과지성사 2019

      3 엄태동, "하이데거와 교육" 교육과학사 2016

      4 김도남, "텍스트 타자와 독자 자아-레비나스의 타자 철학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114) : 95-120, 2018

      5 이홍우, "케에르케고르의 교육이론" 교육과학사 2003

      6 김도남, "참된 독자 탐구" 청람어문교육학회 (78) : 169-196, 2020

      7 박삼수, "주역" 현암사 2007

      8 이희영,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민음사 2015

      9 김한식, "시간과 이야기 1‧2" 문학과지성사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7-05-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1.04 1.72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