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함께 기존의 교외 산업단지와 대비되는 대도시 내의 혁신지구 모델이 각광받고 있다. 혁신지구의 형성과 발전은 그 지역의 혁신 생태계에 기반하는 것으로, 이를 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453554
2019
Korean
학술저널
190-198(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함께 기존의 교외 산업단지와 대비되는 대도시 내의 혁신지구 모델이 각광받고 있다. 혁신지구의 형성과 발전은 그 지역의 혁신 생태계에 기반하는 것으로, 이를 구...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함께 기존의 교외 산업단지와 대비되는 대도시 내의 혁신지구 모델이 각광받고 있다. 혁신지구의 형성과 발전은 그 지역의 혁신 생태계에 기반하는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측정하여 어떤 혁신 역량이 부족한지를 이해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혁신지구 분석 틀을 활용하여 G밸리, DMC, 마곡, 홍릉, 양재, 마포 등 서울시 산업거점의 혁신 역량을 분석하였다. 특히 자산회계 방식으로 각 산업 거점의 혁신 자산을 경제적 자산, 물리적 자산, 네트워킹 자산의 3가지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아울러 혁신 자산을 독립변수로 하고 혁신 성과의 지표인 특허 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을 통해 서울시 424개 행정동 수준에서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혁신지구 모델에 기반한 서울시 행정동 단위의 실증 분석을 통해 다음의 두 가지 점에서 지역 혁신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첫째로 보다 다양한 데이터를 혁신 자산의 지표로 삼아 지역이 가지고 있는 혁신 역량을 양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둘째로, 집적의 지리적 스케일이 작아지는 변화를 감안하여 보다 미시적인 스케일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세밀한 공간적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Decentralization with regional balanced policies in Vietnam after the “Doi Moi”
REGIONAL AND URBAN DEVELOPMENT STRATEGIES IN VIET NAM
Symbiotic relations between people and urban authorities to develop smart c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