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미지 분석을 이용한 균열 콘크리트 내 염화물 침투 정량화 평가 = Quantifying Chloride Ingress in Cracked Concrete Using Image Process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619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loride, which is one of the main deterioration factors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can degrade the performance of the structure due to chloride-induced corrosion of steel. Chloride content at steel depth or the rate of chloride penetration is necessary to determine deterioration of reinforced concrete or to calculate initiation time of steel corrosion caused by chloride attack. Chlorides in concrete are generally identified with typical two methods including chloride profiling using potentiometric titration method and discoloration method using AgNO3 solution. The former is advantageous to estimate chloride penetration rate (diffusion coefficient in general) with measured chloride contents directly, but it is laborious. In the case of latter, while the result is obtained easily with the range of discoloration, the error may occur depending on workmanship when the depth of chloride ingress is measured. This study shows that chloride penetrated depth is evaluated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discoloration method through image analysis, thereby the error is minimized by workmanship. In addition, the effect of micro-crack in concrete is studied on chloride penetration. In conclusion, the depth of chloride penetration was quantified with image analysis and as it was confirmed that chlorides can rapidly penetrate through micro-cracks, caution is especially required for cracks in concrete structure.
      번역하기

      Chloride, which is one of the main deterioration factors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can degrade the performance of the structure due to chloride-induced corrosion of steel. Chloride content at steel depth or the rate of chloride penetration is...

      Chloride, which is one of the main deterioration factors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can degrade the performance of the structure due to chloride-induced corrosion of steel. Chloride content at steel depth or the rate of chloride penetration is necessary to determine deterioration of reinforced concrete or to calculate initiation time of steel corrosion caused by chloride attack. Chlorides in concrete are generally identified with typical two methods including chloride profiling using potentiometric titration method and discoloration method using AgNO3 solution. The former is advantageous to estimate chloride penetration rate (diffusion coefficient in general) with measured chloride contents directly, but it is laborious. In the case of latter, while the result is obtained easily with the range of discoloration, the error may occur depending on workmanship when the depth of chloride ingress is measured. This study shows that chloride penetrated depth is evaluated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discoloration method through image analysis, thereby the error is minimized by workmanship. In addition, the effect of micro-crack in concrete is studied on chloride penetration. In conclusion, the depth of chloride penetration was quantified with image analysis and as it was confirmed that chlorides can rapidly penetrate through micro-cracks, caution is especially required for cracks in concrete struc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염화물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주요 열화 요인 중 하나로 철근 부식을 발생시켜 구조물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염해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정도 또는 철근 부식 개시 시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철근 깊이에서의 염화물 농도 또는 콘크리트 내에서 염화물 침투 속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콘크리트내 염화물 침투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염화물 침투 깊이별로 전위차 적정법과 같은 방법으로 염화물 농도를 측정하는 염화물 프로파일링 방법이나 질산은 용액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변색된 범위를 다지점 측정하여 침투 깊이를 측정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정확하게 염화물 농도를 직접 측정하기 때문에 염화물 침투 속도 (일반적으로 확산계수)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작업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후자는 질산은 용액과의 반응에 따른 변색 범위를 측정하여 염화물 침투 깊이를 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간편하고 결과의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침투 깊이를 산정하는데 있어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변색법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이미지 분석을 통해 콘크리트 내의 염화물 침투 깊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작업자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콘크리트의 미세 균열이 염화물 침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확인하였다. 이미지 분석을 통해 염화물 침투 깊이를 정량화한 결과 염화물은 미세 균열부를 통해 빠른 속도로 염화물 침투가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 하였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특히 균열 발생에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염화물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주요 열화 요인 중 하나로 철근 부식을 발생시켜 구조물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염해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정도 또는 철근 부식 개시 시기를...

      염화물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주요 열화 요인 중 하나로 철근 부식을 발생시켜 구조물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염해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정도 또는 철근 부식 개시 시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철근 깊이에서의 염화물 농도 또는 콘크리트 내에서 염화물 침투 속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콘크리트내 염화물 침투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염화물 침투 깊이별로 전위차 적정법과 같은 방법으로 염화물 농도를 측정하는 염화물 프로파일링 방법이나 질산은 용액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변색된 범위를 다지점 측정하여 침투 깊이를 측정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정확하게 염화물 농도를 직접 측정하기 때문에 염화물 침투 속도 (일반적으로 확산계수)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작업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후자는 질산은 용액과의 반응에 따른 변색 범위를 측정하여 염화물 침투 깊이를 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간편하고 결과의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침투 깊이를 산정하는데 있어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변색법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이미지 분석을 통해 콘크리트 내의 염화물 침투 깊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작업자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콘크리트의 미세 균열이 염화물 침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확인하였다. 이미지 분석을 통해 염화물 침투 깊이를 정량화한 결과 염화물은 미세 균열부를 통해 빠른 속도로 염화물 침투가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 하였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특히 균열 발생에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건수 ; 박기태 ; 김재환, "유한요소해석에 기반한 콘크리트 균열 조건에 따른 수분흡수 현상 분석"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5 (25): 68-75, 2021

      2 김건수 ; 박기태 ; 김재환, "균열 폭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염화물 흡수 평가"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4 (24): 10-16, 2020

      3 Angst, U. M., "Spatial variability of chloride in concrete within homogeneously exposed areas" 56 : 40-51, 2013

      4 Abbas, Y., "Non-destructive measurement of chloride ions concentration in concrete – A comparative analysis of limitations and prospects" 174 : 376-387, 2018

      5 "NT Build 492. Concrete, mortar and cement-based repair materials:Chloirde migration coefficient from non-steady-state migration experiments, Nordtest, Espoo"

      6 "KS F 2405 (2010)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7 Delagrave, A., "Influence of the interfacial zone on the chloride diffusivity of mortars" 5 (5): 86-92, 1997

      8 Ye, H., "Influence of cracking on chloride diffusivity and moisture influential depth in concrete subjected to simulated environmental conditions" 47 : 66-79, 2013

      9 Tuutti, K., "Corrosion of steel in concrete" Swedish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Institute 1982

      10 "BS EN 206 (2014). Concrete-Specification, perforamnce, production and conformity"

      1 김건수 ; 박기태 ; 김재환, "유한요소해석에 기반한 콘크리트 균열 조건에 따른 수분흡수 현상 분석"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5 (25): 68-75, 2021

      2 김건수 ; 박기태 ; 김재환, "균열 폭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염화물 흡수 평가"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4 (24): 10-16, 2020

      3 Angst, U. M., "Spatial variability of chloride in concrete within homogeneously exposed areas" 56 : 40-51, 2013

      4 Abbas, Y., "Non-destructive measurement of chloride ions concentration in concrete – A comparative analysis of limitations and prospects" 174 : 376-387, 2018

      5 "NT Build 492. Concrete, mortar and cement-based repair materials:Chloirde migration coefficient from non-steady-state migration experiments, Nordtest, Espoo"

      6 "KS F 2405 (2010)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7 Delagrave, A., "Influence of the interfacial zone on the chloride diffusivity of mortars" 5 (5): 86-92, 1997

      8 Ye, H., "Influence of cracking on chloride diffusivity and moisture influential depth in concrete subjected to simulated environmental conditions" 47 : 66-79, 2013

      9 Tuutti, K., "Corrosion of steel in concrete" Swedish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Institute 1982

      10 "BS EN 206 (2014). Concrete-Specification, perforamnce, production and conformity"

      11 Myung-Yu Kim, "Application of the colorimetric method to chloride diffusion evaluation in concrete structures" Elsevier BV 41 : 239-245, 2013

      12 "ASTM C 1202, Standard test method for electrical indication of concrete’s ability to resist chloride ion penetration"

      13 Sajid, H. U., "A survey on the effects of deicing materials on properties of Cement-based materials" 319 : 126062-, 2022

      14 P.E. Streicher, "A chloride conduction test for concrete" Elsevier BV 25 (25): 1284-1294,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KCI등재
      2012-01-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구조물진단학회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구조물진단학회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KCI등재
      2007-04-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구조물진단학회 -> 한국구조물진단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7 0.49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