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탄력 밴드를 이용한 아래턱 벌리기 운동시 노인의 목뿔 위 근육 활성도 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472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목뿔 위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운동 중 하나인 아래턱 벌리기 운동을 수행하는데 있어 체계적인 저항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4가지 다른 탄성장력을 가지는 고리형 탄력 밴드를 건강한 노인(여성 21명, 평균연령 76세, 나이 범위 66-83세)에게 적용 시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목뿔 위 근육의 활성도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29명의 건강한 노 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밴드 없이 아래턱 벌리기를 수행할 경우와 비교 시 탄성이 가장 낮은 노랑밴드를 제외한 빨강, 녹색, 파랑밴드를 착용하였을 경우 목뿔 위 근육의 활성도가 현저히 높게 나타났 다(p<0.05). 밴드 별 차이를 확인한 결과에서도 탄성이 가장 낮은 노랑밴드를 착용한 경우와 비교 시 탄성이 가장 높은 파랑 밴드를 착용하였을 경우 목뿔 위 근육의 활성도가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는 노인인구에게 아래턱 벌 리기 운동을 적용 시 탄력 밴드를 이용한 체계적 저항의 제공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탄력 밴드를 이용 한 아래턱 벌리기 운동을 장기적으로 수행 시 삼킴 생리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목뿔 위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운동 중 하나인 아래턱 벌리기 운동을 수행하는데 있어 체계적인 저항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4가지 다른 탄성장력을 가지는 고리형 탄력 ...

      본 연구는 목뿔 위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운동 중 하나인 아래턱 벌리기 운동을 수행하는데 있어 체계적인 저항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4가지 다른 탄성장력을 가지는 고리형 탄력 밴드를 건강한 노인(여성 21명, 평균연령 76세, 나이 범위 66-83세)에게 적용 시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목뿔 위 근육의 활성도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29명의 건강한 노 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밴드 없이 아래턱 벌리기를 수행할 경우와 비교 시 탄성이 가장 낮은 노랑밴드를 제외한 빨강, 녹색, 파랑밴드를 착용하였을 경우 목뿔 위 근육의 활성도가 현저히 높게 나타났 다(p<0.05). 밴드 별 차이를 확인한 결과에서도 탄성이 가장 낮은 노랑밴드를 착용한 경우와 비교 시 탄성이 가장 높은 파랑 밴드를 착용하였을 경우 목뿔 위 근육의 활성도가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는 노인인구에게 아래턱 벌 리기 운동을 적용 시 탄력 밴드를 이용한 체계적 저항의 제공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탄력 밴드를 이용 한 아래턱 벌리기 운동을 장기적으로 수행 시 삼킴 생리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suprahyoid muscle activity using the application of elastic bands. A total of four elastic forces were applied around the head and the lower jaw to employ systematic resistance as an exercise technique to strengthen muscle. Twenty-nine healthy elderly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an age 76 y, age range: 66-83). Subsequently, changes in the suprahyoid muscle activity were confirmed using a wireless surface electromyography system during maximal jaw opening without elastic bands and while wearing four different loop-type elastic bands corresponding to four resistance values. Repeated measures of analysis of variance tests reveal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uprahyoid muscle activity when wearing the red, green, and blue ban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jaw was opened without wearing bands (p<0.05). Consequently, as a result of comparing only the cases where the subjects were wearing bands, the blue b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prahyoid muscle activation than the yellow band (p< 0.05). Hence, these results show the feasibility of providing systematic resistance when performing jaw opening exercises. Nevertheles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determine changes in the swallowing physiology which may occur after long-term jaw opening exercises using elastic bands in the elderly popul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suprahyoid muscle activity using the application of elastic bands. A total of four elastic forces were applied around the head and the lower jaw to employ systematic resistance as an exercise technique to strengt...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suprahyoid muscle activity using the application of elastic bands. A total of four elastic forces were applied around the head and the lower jaw to employ systematic resistance as an exercise technique to strengthen muscle. Twenty-nine healthy elderly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an age 76 y, age range: 66-83). Subsequently, changes in the suprahyoid muscle activity were confirmed using a wireless surface electromyography system during maximal jaw opening without elastic bands and while wearing four different loop-type elastic bands corresponding to four resistance values. Repeated measures of analysis of variance tests reveal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uprahyoid muscle activity when wearing the red, green, and blue ban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jaw was opened without wearing bands (p<0.05). Consequently, as a result of comparing only the cases where the subjects were wearing bands, the blue b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prahyoid muscle activation than the yellow band (p< 0.05). Hence, these results show the feasibility of providing systematic resistance when performing jaw opening exercises. Nevertheles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determine changes in the swallowing physiology which may occur after long-term jaw opening exercises using elastic bands in the elderly popul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2.1 연구대상
      • 2.2 실험과정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2.1 연구대상
      • 2.2 실험과정
      • 2.3 근전도 측정
      • 2.4 통계 분석
      • Ⅲ. 연구결과
      • Ⅳ. 고찰
      • References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