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國語敎育의 位階化 =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eedless to say, it is presumably beyond question that the contents of teaching Korean are not same in primary school and high school. Nonetheless, there are not any consideration and discussion about the difference of content along with hierarch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many planners and teachers have set up the contents of subject Korean are just same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and many researchers have approached teaching Korean without regard to the students.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efficiency of education, in the light of this, I propose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as focused performance, analysis, and evaluation in primary, middle, high school each other. It is drawn from the nature of human development, education, and language all around.
      In performance focused primary school, there should always be a keen interest in words - their sounds, shapes and meanings - from the point of view of hearing them, reading them, speaking them, writing them and thinking about them, and that pupils should have access to as many of them as possible. In analysis focused middle school, there should be systematic analysis about various materials and situations of language activities, therefore thinking activities through language are important in this hierarchy. In evaluation focuse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aching should emphasize the ability of having subjectivity through evaluation of language activities.
      번역하기

      Needless to say, it is presumably beyond question that the contents of teaching Korean are not same in primary school and high school. Nonetheless, there are not any consideration and discussion about the difference of content along with hierarchy in ...

      Needless to say, it is presumably beyond question that the contents of teaching Korean are not same in primary school and high school. Nonetheless, there are not any consideration and discussion about the difference of content along with hierarch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many planners and teachers have set up the contents of subject Korean are just same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and many researchers have approached teaching Korean without regard to the students.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efficiency of education, in the light of this, I propose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as focused performance, analysis, and evaluation in primary, middle, high school each other. It is drawn from the nature of human development, education, and language all around.
      In performance focused primary school, there should always be a keen interest in words - their sounds, shapes and meanings - from the point of view of hearing them, reading them, speaking them, writing them and thinking about them, and that pupils should have access to as many of them as possible. In analysis focused middle school, there should be systematic analysis about various materials and situations of language activities, therefore thinking activities through language are important in this hierarchy. In evaluation focuse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aching should emphasize the ability of having subjectivity through evaluation of language activ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더라도 초등학교의 교육 내용과 고등학교의 교육 내용이 동일할 수는 없다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어교육에서는 교육의 위계에 따른 내용의 차이를 고려하지도 않았고, 이에 대한 논의조차 없었다. 그러기에 초·중·고등학교의 국어교육을 동일한 성격의 것으로 간주한 채로 기획하기도 하였고, 어느 수준의 교육인지도 고려하지 않은 채 국어교육을 논의하는 일이 빈번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국어교육의 위계화를 위하여 인간 발달, 교육, 언어의 본질이라는 세 가지 기준을 살펴 초·중·고등학교의 국어교육을 수행 중심, 분석 중심, 평가 중심의 세 단계로 차별화할 것을 제안한다. 수행 중심에서는 언어 그 자체에 관심을 갖고 말하고, 듣고, 읽고, 쓰고 사고함으로써 소리, 형태, 의미에 주목하면서 가능한 한 많은 언어 자료와 상황에 접하는 것이 중요한 내용이 된다. 분석이 중심이 되는 중학교에서는 다양한 언어 자료를 체계에 맞추어 분석하고 언어활동의 상황을 분석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 강조해야 하는 것은 사고의 중요성이다. 고등학교의 교육 내용이 평가 중심이라는 것은 사고의 수준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자기 정체성과 관련된 태도의 문제가 중요함을 말해 준다. 평가는 언어 자료의 이해는 물론이고 사고의 내용을 언어로 표현하는 활동에서도 두루 관여하며, 이것이 자기 정체성을 강조하는 길로 나아가게 된다.
      번역하기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더라도 초등학교의 교육 내용과 고등학교의 교육 내용이 동일할 수는 없다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어교육에서는 교육의 위계에 따른 내용의 ...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더라도 초등학교의 교육 내용과 고등학교의 교육 내용이 동일할 수는 없다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어교육에서는 교육의 위계에 따른 내용의 차이를 고려하지도 않았고, 이에 대한 논의조차 없었다. 그러기에 초·중·고등학교의 국어교육을 동일한 성격의 것으로 간주한 채로 기획하기도 하였고, 어느 수준의 교육인지도 고려하지 않은 채 국어교육을 논의하는 일이 빈번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국어교육의 위계화를 위하여 인간 발달, 교육, 언어의 본질이라는 세 가지 기준을 살펴 초·중·고등학교의 국어교육을 수행 중심, 분석 중심, 평가 중심의 세 단계로 차별화할 것을 제안한다. 수행 중심에서는 언어 그 자체에 관심을 갖고 말하고, 듣고, 읽고, 쓰고 사고함으로써 소리, 형태, 의미에 주목하면서 가능한 한 많은 언어 자료와 상황에 접하는 것이 중요한 내용이 된다. 분석이 중심이 되는 중학교에서는 다양한 언어 자료를 체계에 맞추어 분석하고 언어활동의 상황을 분석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 강조해야 하는 것은 사고의 중요성이다. 고등학교의 교육 내용이 평가 중심이라는 것은 사고의 수준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자기 정체성과 관련된 태도의 문제가 중요함을 말해 준다. 평가는 언어 자료의 이해는 물론이고 사고의 내용을 언어로 표현하는 활동에서도 두루 관여하며, 이것이 자기 정체성을 강조하는 길로 나아가게 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학문과 교육, 중Ⅰ" 서울대출판부 2006

      2 "학문과 교육, 상" 서울대출판부 1997

      3 "인간발달의 이론" 교육과학사 1999

      4 "인간발달과 교육" 교육과학사 2006

      5 "외국의 국어 교육과정 2" 나라말 2004b

      6 "외국의 국어 교육과정 1" 나라말 2004a

      7 "영어교육의 효용" 서울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3집 : 2000

      8 "수행적 이론의 연구를 위하여" 국어교육학회 22집 : 2005

      9 "발달의 이론" 시그마프레스 2005

      10 "내용론을 위하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0집 : 2002b

      1 "학문과 교육, 중Ⅰ" 서울대출판부 2006

      2 "학문과 교육, 상" 서울대출판부 1997

      3 "인간발달의 이론" 교육과학사 1999

      4 "인간발달과 교육" 교육과학사 2006

      5 "외국의 국어 교육과정 2" 나라말 2004b

      6 "외국의 국어 교육과정 1" 나라말 2004a

      7 "영어교육의 효용" 서울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3집 : 2000

      8 "수행적 이론의 연구를 위하여" 국어교육학회 22집 : 2005

      9 "발달의 이론" 시그마프레스 2005

      10 "내용론을 위하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0집 : 2002b

      11 "국어교과학을 위한 언어 재개념화" 30집 : 2002a

      12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1997

      13 "교육의 개념" 문음사 2005

      14 "경험과 교육" 배영사 2004

      15 "『미래의 선택』" 1987

      1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ives 1" 1956

      17 "Cox on Cox An English Curriculum for the 1990s"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1 1.378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