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의 국가대전략 ‘하나의 중국’:대한족주의(大漢族主義)와 지역패권주의 = The National Strategy of the ‘One China Policy’: a Manifestation of Han-Nationalism and Pursuit of Regional Hegemon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650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중국은 단순한 국력의 부상을 넘어 팽창정책으로 나오고 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대해서는 FTAAP와 RCEP이라는 해양경제협력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유라시아 지역에 대해서는 신 실크로드 전략이라는 대륙진출전략을 확대할 양상이다. 또한 아시아 지역 개발 도상국들을 지원하기 위한 AIIB를 설립하여 경제지원을 통한 중화경제권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중국의 팽창정책은 경제 글로벌화의 반영인가, 아니면 지역패권의 추구인가. 본 논고 는 구성주의 시각에서 중국의 팽창정책을 국가핵심이익인 민족영토통합을 보호하기 위한 지역패권 주의로 보고 그 원인을 중화민족 정체성의 내재적 모순점에서 찾아본다. 한족중심주의 ‘화이론’과 다민족국가주의인 ‘대일통’이 결합된 중화민족 정체성은 한족제국주의인 대한족주의에 그 기저를 두고 있다. 따라서 중화민족 정체성 속에는 한족과 소수민족 간의 지배와 복속의 관계라는 갈등 요인이 내재되어 있다. 중국의 최대 국가핵심이익은 ‘하나의 중국’ 건설을 위한 민족영토통합이다. 하지만 중화정체성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하나의 중국’ 정책은 한족지배체제를 중심으로 한 ‘안으로 부 터의 통합’과 외부 분열요인의 ‘밖으로 부터의 차단’ 즉, 통합과 팽창의 연계 속에 추진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하나의 중국’ 정책은 민족영토통합을 위한 불가피한 팽창정책으로 나타나며, 중화권의 확대를 통한 지역패권 추구로 발전할 개연성이 높다. 본 논고는 이와 같은 시각에서 중국정부의 신장지역과 중앙아시아에 대한 정책을 분석해 보고 중국 팽창정책의 지역패권주의로서의 가능성과 한계성을 살펴본다.
      번역하기

      최근 중국은 단순한 국력의 부상을 넘어 팽창정책으로 나오고 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대해서는 FTAAP와 RCEP이라는 해양경제협력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유라시아 지역에 대해서...

      최근 중국은 단순한 국력의 부상을 넘어 팽창정책으로 나오고 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대해서는 FTAAP와 RCEP이라는 해양경제협력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유라시아 지역에 대해서는 신 실크로드 전략이라는 대륙진출전략을 확대할 양상이다. 또한 아시아 지역 개발 도상국들을 지원하기 위한 AIIB를 설립하여 경제지원을 통한 중화경제권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중국의 팽창정책은 경제 글로벌화의 반영인가, 아니면 지역패권의 추구인가. 본 논고 는 구성주의 시각에서 중국의 팽창정책을 국가핵심이익인 민족영토통합을 보호하기 위한 지역패권 주의로 보고 그 원인을 중화민족 정체성의 내재적 모순점에서 찾아본다. 한족중심주의 ‘화이론’과 다민족국가주의인 ‘대일통’이 결합된 중화민족 정체성은 한족제국주의인 대한족주의에 그 기저를 두고 있다. 따라서 중화민족 정체성 속에는 한족과 소수민족 간의 지배와 복속의 관계라는 갈등 요인이 내재되어 있다. 중국의 최대 국가핵심이익은 ‘하나의 중국’ 건설을 위한 민족영토통합이다. 하지만 중화정체성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하나의 중국’ 정책은 한족지배체제를 중심으로 한 ‘안으로 부 터의 통합’과 외부 분열요인의 ‘밖으로 부터의 차단’ 즉, 통합과 팽창의 연계 속에 추진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하나의 중국’ 정책은 민족영토통합을 위한 불가피한 팽창정책으로 나타나며, 중화권의 확대를 통한 지역패권 추구로 발전할 개연성이 높다. 본 논고는 이와 같은 시각에서 중국정부의 신장지역과 중앙아시아에 대한 정책을 분석해 보고 중국 팽창정책의 지역패권주의로서의 가능성과 한계성을 살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a is actively pursuing an expansionary external policy, promoting the Free Trade Area of the Asia Pacific (FTAAP) and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under its leadership, launching a New Silk Road Project, and setting up the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AIIB). Is this simply a reaction to globalization or is it the pursuit of hegemonic power in the Asia-Pacific region? Using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this paper argues the expansionary policy is a way to protect China’s core national interest of national, territorial integration and tries to find its causes in the intrinsic instability of the Sino-centric identity. The Sino-centric identity, a mixture of the civilian-barbarian dichotomy and the concept of ‘a system as a whole,’ is rooted in a Han ethnocentrism that has been unfolding as Han imperialism. Seemingly accommodating minorities but in practice executing a Han imperialism that reflects a domination/subordin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Han ethnic group and minorities, the Sino-centric identity is internally contradictory as a result of combining forces for integration and disintegration.
      The contradiction causes a conflict inside China. The ultimate purpose of the Chinese state is building ‘One China,’ the national and territorial integration of the country. However, due to the intrinsic instability of Sino-centrism, China must pursue the ‘One China’ policy by consolidating internal integration while expanding its influence outward to fence off any forces that might trigger domestic instability or fragmentation. Therefore, the ‘One China’ policy inevitably takes an expansionary and even a hegemonic posture toward neighboring areas. This paper looks at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y toward Xinjiang and Central Asia to see whether its expansionary policy would establish hegemonic status in the region.
      번역하기

      China is actively pursuing an expansionary external policy, promoting the Free Trade Area of the Asia Pacific (FTAAP) and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under its leadership, launching a New Silk Road Project, and setting up th...

      China is actively pursuing an expansionary external policy, promoting the Free Trade Area of the Asia Pacific (FTAAP) and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under its leadership, launching a New Silk Road Project, and setting up the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AIIB). Is this simply a reaction to globalization or is it the pursuit of hegemonic power in the Asia-Pacific region? Using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this paper argues the expansionary policy is a way to protect China’s core national interest of national, territorial integration and tries to find its causes in the intrinsic instability of the Sino-centric identity. The Sino-centric identity, a mixture of the civilian-barbarian dichotomy and the concept of ‘a system as a whole,’ is rooted in a Han ethnocentrism that has been unfolding as Han imperialism. Seemingly accommodating minorities but in practice executing a Han imperialism that reflects a domination/subordin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Han ethnic group and minorities, the Sino-centric identity is internally contradictory as a result of combining forces for integration and disintegration.
      The contradiction causes a conflict inside China. The ultimate purpose of the Chinese state is building ‘One China,’ the national and territorial integration of the country. However, due to the intrinsic instability of Sino-centrism, China must pursue the ‘One China’ policy by consolidating internal integration while expanding its influence outward to fence off any forces that might trigger domestic instability or fragmentation. Therefore, the ‘One China’ policy inevitably takes an expansionary and even a hegemonic posture toward neighboring areas. This paper looks at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y toward Xinjiang and Central Asia to see whether its expansionary policy would establish hegemonic status in the reg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문제 제기: ‘하나의 중국’과 지역패권
      • II. 이론적 접근법
      • Ⅲ. 중화민족 정체성의 내재적 모순
      • Ⅳ. ‘하나의 중국’ 정책과 지역패권주의
      • Ⅴ. 결론: ‘하나의 중국’의 문제점
      • I. 문제 제기: ‘하나의 중국’과 지역패권
      • II. 이론적 접근법
      • Ⅲ. 중화민족 정체성의 내재적 모순
      • Ⅳ. ‘하나의 중국’ 정책과 지역패권주의
      • Ⅴ. 결론: ‘하나의 중국’의 문제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요코야마 히로야키, "중화민족의 탄생" 한울아카데미 2009

      2 공봉진, "중화민족’ 용어의 기원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중국연구소 (2) : 1-31, 2007

      3 주장환, "중국의 대 중앙아시아 경제 전략의 변화: ‘실크로드의 복원’에서 ‘Greater China로의 편입" 대한정치학회 18 (18): 217-236, 2010

      4 스인홍, "중국 신지도부와 중국 대외정책, 그리고 중미관계 전망: 바람직한 한반도 정책과 한중관계에 대한 논의" 2013

      5 송기돈, "중국 ‘화평발전(和平發展)’ 외교정책의 구도·개념 분석 - ‘中國的和平發展(道路) 白皮書’를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소 36 (36): 149-188, 2012

      6 방중영, "족군, 종족, 민족 그리고 중화민족" 28 : 1998

      7 박현, "미국은 ‘TPP’로…중국은 ‘실크로드 전략’으로 아-태 권역 주도권 ‘샅바싸움’"

      8 공봉진, "漢族의 민족정체성에 관한 연구" 중국연구소 (1) : 1-32, 2006

      9 星野昌裕, "中國의 民族區域自治制로 보는 국가. 민족관계" 2012

      10 Daly, John, "“Anatomy of a Crisis: US-Uzbekistan Relations” 2001-2005 Silk Road Paper"

      1 요코야마 히로야키, "중화민족의 탄생" 한울아카데미 2009

      2 공봉진, "중화민족’ 용어의 기원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중국연구소 (2) : 1-31, 2007

      3 주장환, "중국의 대 중앙아시아 경제 전략의 변화: ‘실크로드의 복원’에서 ‘Greater China로의 편입" 대한정치학회 18 (18): 217-236, 2010

      4 스인홍, "중국 신지도부와 중국 대외정책, 그리고 중미관계 전망: 바람직한 한반도 정책과 한중관계에 대한 논의" 2013

      5 송기돈, "중국 ‘화평발전(和平發展)’ 외교정책의 구도·개념 분석 - ‘中國的和平發展(道路) 白皮書’를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소 36 (36): 149-188, 2012

      6 방중영, "족군, 종족, 민족 그리고 중화민족" 28 : 1998

      7 박현, "미국은 ‘TPP’로…중국은 ‘실크로드 전략’으로 아-태 권역 주도권 ‘샅바싸움’"

      8 공봉진, "漢族의 민족정체성에 관한 연구" 중국연구소 (1) : 1-32, 2006

      9 星野昌裕, "中國의 民族區域自治制로 보는 국가. 민족관계" 2012

      10 Daly, John, "“Anatomy of a Crisis: US-Uzbekistan Relations” 2001-2005 Silk Road Paper"

      11 Bovingdon, Gardner, "Xinjiang and the Great Islamic Circle: The Impact of Transnational Forces on Chinese Regional Economic Planning" (133) : 1933

      12 Clarke, Michael, "Xinjiang and China’s Rise in Central Asia: A History" Routledge 2011

      13 SIPI, "Trends in World Military Expenditure"

      14 Blank, Stephen J, "The Strategic Importance of Central Asia: An American View" 1 : 2008

      15 The Chinese Information Office, "The Path of China’s Peaceful Development: What It is About?"

      16 Terril, Ross, "The New Chinese Empire and What Its Means for the United States" Basic Books 2003

      17 Wendt, Alexander, "The Agent-Structure Problem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41 (41): 1987

      18 Eners, Wimbush, "Strategic Asia 2011-21: Asia Respond to Its Rising Powers: China and India" The National Bureau of Asian Research 2011

      19 IMF,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20 Kissinger, Henry, "On China" Penguin Books Ltd 2011

      21 Smith, Anthony D, "Nationalism and Modernism: A Critical Survey of Recent Theories of Nations and Nationalism" Routledge 1998

      22 Friedman, Edward, "National Identity and Democratic Prospects in Socialist China" Sharpe 1995

      23 Mearsheimer, Joh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Discipline and Divers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4 Shingleton, William, "In Xinjiang, China’s Consolidation Isn’t Sold"

      25 Anderson, Benedict,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Verso 1991

      26 Wang, David, "East Turkestan Movement in Xinjiang" 4 (4): 1998

      27 Cornell, Svante, "Domestic Political Change and Grand Strategy" The National Bureau of Asian Research 2007

      28 Wolf, Charles, "Chinese Foreign Aids and Government-Sponsored Investment Activity: Scale, Content, Destinations and Implications" RAND 2013

      29 U.S. Congress, "Central Asia and the Transition in Afghanistan"

      30 Senate Press Release, "Brownback Silkroad Strategy Act Passes Senate Foreign Relations Committee Toda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신아세아질서연구회 -> 신아시아연구소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신아세아
      외국어명 : NEW ASIA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4 1.035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