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発話末の「고」に対応する日本語の形式 —ドラマの会話文を中心に—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01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usage of utterance-final ko in Korean and investigate its Japanese counterpart. Based on the contrastive analysis of conversations taken from Korean TV dramas and their Japanese transl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frequency of ko and clarifies the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he result reveals that Korean utterance-final ko shows a greater corresponding relationship in the order of Japanese te form, sentence-final verb form, shi and the other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plore usage of utterance-final ko in Korean and investigate its Japanese counterpart. Based on the contrastive analysis of conversations taken from Korean TV dramas and their Japanese transl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frequenc...

      This study aims to explore usage of utterance-final ko in Korean and investigate its Japanese counterpart. Based on the contrastive analysis of conversations taken from Korean TV dramas and their Japanese transl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frequency of ko and clarifies the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he result reveals that Korean utterance-final ko shows a greater corresponding relationship in the order of Japanese te form, sentence-final verb form, shi and the oth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옥현, "한국어 구어에 나타난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 양상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28 : 49-71, 2009

      2 정진, "종결어미화된 ‘-고(요)’의 통사 구조와 담화 기능" 담화·인지언어학회 20 (20): 183-200, 2013

      3 장경현, "국어 문장 종결부의 문체" 역락 211-214, 2010

      4 荻原稚佳子, "韓国語母語話者の韓国語会話での言いさし使用-自己開示の言いさしの働きに注目して-" 明海大言語学研究科 16 : 89-101, 2014

      5 大堀壽夫, "認知言語学" 東京大学出版会 125-147, 2002

      6 金井孝利, "美しき日々で始める韓国語∼シナリオ対訳集〜" キネマ旬報社 2004

      7 南不二男, "現代日本語文法の輪郭" 大修館書店 74-97, 1993

      8 日本語記述文法研究会, "現代日本語文法4 第8部 モダリティ" くろしお出版 68-, 2003

      9 吉永尚, "活用論の前線" くろしお出版 84-, 2012

      10 堀江薫, "日本語研究とその可能性" 開拓社 133-167, 2015

      1 손옥현, "한국어 구어에 나타난 종결어미화된 연결어미 양상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28 : 49-71, 2009

      2 정진, "종결어미화된 ‘-고(요)’의 통사 구조와 담화 기능" 담화·인지언어학회 20 (20): 183-200, 2013

      3 장경현, "국어 문장 종결부의 문체" 역락 211-214, 2010

      4 荻原稚佳子, "韓国語母語話者の韓国語会話での言いさし使用-自己開示の言いさしの働きに注目して-" 明海大言語学研究科 16 : 89-101, 2014

      5 大堀壽夫, "認知言語学" 東京大学出版会 125-147, 2002

      6 金井孝利, "美しき日々で始める韓国語∼シナリオ対訳集〜" キネマ旬報社 2004

      7 南不二男, "現代日本語文法の輪郭" 大修館書店 74-97, 1993

      8 日本語記述文法研究会, "現代日本語文法4 第8部 モダリティ" くろしお出版 68-, 2003

      9 吉永尚, "活用論の前線" くろしお出版 84-, 2012

      10 堀江薫, "日本語研究とその可能性" 開拓社 133-167, 2015

      11 中俣尚己, "日本語会話文における接続助詞の「つけたし」用法−並列節の場合−" 大阪府立大学人間社会学研究科 2 : 47-66, 2007

      12 小林幸江, "接続助詞"し"の文論的考察" 東京外国語大学 20 : 15-27, 1994

      13 김정민, "中断節「し」と「고」に関する日韓対照研究"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33) : 92-106, 2015

      14 寺村秀夫, "並列的接続とその影の統括命題−モ、シ、シカモの場合−" 明治書院 3 (3): 67-74, 1984

      15 安岡明子, "オールインで始める韓国語〜シナリオ対訳集〜" キネマ旬報社 2004

      16 呉華順, "『美男ですね』1巻, 2巻" キネマ旬報社 2012

      17 白川博之, "「言いさし文」の研究" くろしお出版 127-163, 2009

      18 Park Yongyae, "Interactive Grammar: Turn-Final Use of nuntey in Korean and kedo in Japanese" CSLI 8 : 45-59, 1998

      19 Sohn SungOck, "Final Particles" De Gruyter Mouton 181-195, 2015

      20 Rhee Seongha, "Context-induced Reinterpretation and (Inter)subjectification: The Case of Grammaticalization of Sentence-Final Particles" ELSE VIER 34 : 284-300,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apanese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 Korean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5 0.559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