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IE SCOPUS KCI등재

      Isosorbide dinitrate가 식도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채널강내 임피던스를 이용한 연구 = The Effect of Isosorbide Dinitrate on Esophageal Function with using Multichannel Intraluminal ImpedenceIsosorbide dinitrate가 식도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채널강내 임피던스를 이용한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산화질소(nitric oxide)는 하부식도괄약근에 기시하고 있는 비아드레날린성, 비콜린성 신경섬유에서 분비되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하부식도괄약근 압을 감소시키고, 식도체부의 수축...

      목적: 산화질소(nitric oxide)는 하부식도괄약근에 기시하고 있는 비아드레날린성, 비콜린성 신경섬유에서 분비되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하부식도괄약근 압을 감소시키고, 식도체부의 수축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식괴의 이동에 대한 효과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식괴 이동을 포함한 식도 기능에 대한 산화질소 공여자인 isosorbide dinitrate (ISD)의 효과를 건강자원자에서 전향적으로 다채널강내 임피던스 검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8명의 건강자원자에서 다채널강내 임피던스 내압검사를 이용하여 공복시 앉은 자세에서 5 ㎖의 물과 점액성 물질 사용하여 각 10회의 액성연하와 점성연하를 시행하였다. 이후 ISD를 구강내 3회(3.75 mg) 분무후 5분후에 다시 동일 검사를 반복 시행하였다. 결과: 건강자원자의 하부식도괄약근압은 23.8±15.1 mmHg (평균±표준편차)에서 ISD 분무후 13.0±6.5 mmHg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하부식도괄약근의 이완 지속시간도 평균 8.4초에서 9.4초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액성 완전식괴이동은 분무전 평균 79.0±22.5%에서 분무후 62.5±33.6%로 낮게 측정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점성 완전식괴이동는 분무전 55.8±29.5%에서 분무후 35.4±23.5%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식도 체부의 연동파 수축압과 전파속도는 분무후 낮게 측정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상부식도괄약근 기저압이나 수축파 연동운동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ISD 구강내 분무는 액성연하시 식괴이동에는 영향을 주지 못했으나 점성연하시 식괴이동을 방해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Aims: Nitric oxide (NO) is an inhibitory neurotransmitter that`s released by the non-adrenergic and non-cholinergic neurons that innervate the smooth muscl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However, there was little published data for the ef...

      Background/Aims: Nitric oxide (NO) is an inhibitory neurotransmitter that`s released by the non-adrenergic and non-cholinergic neurons that innervate the smooth muscl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However, there was little published data for the effect of isosorbide dinitrate (ISD), a NO donor, on the bolus transit of the esophag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n oral spray of ISD on the esophageal function including bolus transit, in healthy volunteers with using combined multichannel intraluminal impedance and esophageal manometry (MII-EM). Methods: We prospectively performed MII-EM in 8 healthy volunteers. The subjects were given 10 swallows of 5 ㎖ liquid and then 5 ㎖ of viscous material each at 20~30 seconds apart with the subjects in the standing position. These swallows were repeated 5 minutes after an oral spray (3.75 mg) of ISD. Results: The resting pressure of the LE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an oral spray of ISD (mean±SD, 23.8±15.1 mmHg vs. 13.0±6.5 mmHg, respectively, p<0.05). The duration of the LES relaxation was significantly prolonged (p<0.05). The Viscous-Compete Bolus Transit (CB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ut not the liquid-CBT (p<0.01).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degree of peristalsis, the conduction velocity and in the UES pressure and contraction. Conclusions: The oral spray of ISD significantly decreased viscous bolus transit, but not the liquid bolus transit in the esophagu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5;11:110-1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