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울주천전리서석> 명문 상의 여성명칭
- Ⅲ. 명문에서 보이는 왕실여성의 칭호
- Ⅳ. 상층여성 서열의 위계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50314
2013
Korean
울주천전리서석 ; 여성 칭호 ; 太王妃 ; 王妃 ; 女郎王 ; 妹王 ; 王女 ; 특화된 지위 ; 서열의 위계화 ; The Female Titles ; Empress ; Queen ; Royal sister ; Princess ; Specialized status ; The hierarchy
911
KCI등재
학술저널
83-128(46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梁書"
2 주보돈, "한국 고대사회 속 여성의 지위" 21 : 2010
3 강종훈, "울주천전리서석명문에 대한 일고찰" 1 : 1999
4 김선주, "신라의 알영 전승 의미와 시조묘" 한국역사연구회 (76) : 171-202, 2010
5 나희라, "신라의 국가제사" 지식산업사 2003
6 김선주, "신라의 건국신화와 閼英" 신라사학회 (23) : 113-143, 2011
7 김창현, "신라왕실과 고려왕실의 칭호" 한국고대사학회 (55) : 253-307, 2009
8 고현아, "신라 원화제 시행의 배경과 성격" 한국역사연구회 (67) : 101-129, 2008
9 이현주, "신라 상고 시기 ‘부인(夫人)’ 칭호의 수용과 의미" 한국역사연구회 (86) : 175-212, 2012
10 김선주, "신라 고분문화와 여성" 국학자료원 2010
1 "梁書"
2 주보돈, "한국 고대사회 속 여성의 지위" 21 : 2010
3 강종훈, "울주천전리서석명문에 대한 일고찰" 1 : 1999
4 김선주, "신라의 알영 전승 의미와 시조묘" 한국역사연구회 (76) : 171-202, 2010
5 나희라, "신라의 국가제사" 지식산업사 2003
6 김선주, "신라의 건국신화와 閼英" 신라사학회 (23) : 113-143, 2011
7 김창현, "신라왕실과 고려왕실의 칭호" 한국고대사학회 (55) : 253-307, 2009
8 고현아, "신라 원화제 시행의 배경과 성격" 한국역사연구회 (67) : 101-129, 2008
9 이현주, "신라 상고 시기 ‘부인(夫人)’ 칭호의 수용과 의미" 한국역사연구회 (86) : 175-212, 2012
10 김선주, "신라 고분문화와 여성" 국학자료원 2010
11 노중국, "신라 中古期 儒學 사상의 수용과 확산" 대구사학회 93 : 1-28, 2008
12 강영경, "신라 上代시기의 女司祭-巫女와 比丘尼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사학회 2 (2): 1-34, 2005
13 김창호, "삼국시대 금석문 연구" 서경문화사 2009
14 주보돈, "금석문과 신라사" 지식산업사 2002
15 "高句麗廣開土大王碑"
16 崔淑卿, "韓國女性史(古代~朝鮮)" 이화여대 출판부 1972
17 金瑛河, "韓國古代社會의 軍事와 政治" 고대 민족문화연구원 2002
18 全虎兌, "韓國 古代의 女性" 12 : 1997
19 姜英卿, "韓國 古代社會의 女性 -三國時代 女性의 社會活動과 그 地位를 중심으로-" (11·12) : 1982
20 金杜珍, "韓國 古代 女性의 地位" 일조각 15 : 1994
21 深津行德, "韓半島 出土 金石文에 보이는 親族呼稱에 대해서 -川前里書石銘文을 中心으로-" 23 : 2002
22 李文基, "金石文資料를 통하여 본 新羅의 六部" 2 : 1981
23 武田幸男, "金石文資料からにた新羅官位制, In 江上波夫敎授古稀記念論文集 歷史篇" 1977
24 韓國古代社會硏究所,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Ⅰ・Ⅱ"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25 "蔚珍新羅鳳坪碑"
26 武田幸男, "蔚州書石谷における新羅・葛文王一族 -乙巳年原銘・己未年追銘の一解釋-" 85 : 1993
27 武田幸男, "蔚州書石<癸巳六月銘>の硏究-新羅・沙喙部集團の書石谷行" 168 : 1998
28 李文基, "蔚州川前里書石原銘・追銘의 再檢討" 4 : 1983
29 "蔚州川前里書石"
30 文暻鉉, "蔚州 新羅 書石銘記의 新檢討" 10 : 1987
31 金龍善, "蔚州 川前里書石 銘文의 硏究" 81 : 1979
32 李宇泰, "蔚州 川前里書石 原銘의 再檢討" 78 : 1997
33 朴南守, "蔚州 川前里 書石銘에 나타난 眞興王의 王位繼承과 立宗葛文王" 한국사연구회 (141) : 1-50, 2008
34 金秉柱, "羅濟同盟에 관한 연구" 46 : 1984
35 김선주, "眞興王의 卽位와 只召太后의 攝政" 12 : 1997
36 黃壽永, "盤龜臺-蔚州岩壁彫書-" 동국대 출판부 1984
37 "日本書紀"
38 武田幸男, "新羅六部とその展開, In 碧史李佑成敎授停年退職紀念論叢 民族史의 展開와 그 文化" 창작과 비평사 1990
39 黃壽永, "新羅의 蔚州書石" 東大新聞 1971
40 金昌鎬, "新羅中古金石文의 人名表記(Ⅱ)" 5 : 1984
41 金昌鎬, "新羅中古金石文의 人名表記(Ⅰ)" 22 : 1983
42 李鐘旭, "新羅上代王位繼承硏究"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1980
43 李明植, "新羅 中古期의 王權 强化過程" 13・14 : 1990
44 이현주, "新羅 上古期 王妃族의 등장과 추이" 수선사학회 (31) : 109-134, 2008
45 李喜寬, "新羅 上代 智證王代의 王位繼承과 朴氏王妃族" 20 : 1990
46 김영하, "廣開土大王陵碑의 정복기사해석- 신묘년기사의 재검토와 관련하여-" 한국고대사학회 (66) : 209-252, 2012
47 李丙燾, "國譯 三國史記" 乙酉文化社 1977
48 "冊府元龜"
49 "中原高句麗碑"
50 "三國遺事"
51 "三國史記"
52 李文基, "6세기 新羅 ‘大王’의 成立과 그 國際的 契機" 9 : 1988
백제사의 몇 가지 문제: ≪삼국사기≫ 백제본기 역주 작업과 관련하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8 | 0.981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