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증례 : 소화기 ; Propofol을 사용한 수면내시경 후 발생한 아나필락시스 1예 = Case Reports : Gastroenlerology ; A case of propofol-induced anaphylax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261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프로포폴은 수면내시경 검사 시행 시 진정유도를 위해 널리 쓰이는 약제로 이로 인한 호흡계 및 순환계 억제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나 아나필락시스는 드물다. 저자들은 약제에 대한 알...

      프로포폴은 수면내시경 검사 시행 시 진정유도를 위해 널리 쓰이는 약제로 이로 인한 호흡계 및 순환계 억제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나 아나필락시스는 드물다. 저자들은 약제에 대한 알레르기의 병력이 없는 환자에서 프로포폴을 사용한 수면내시경 후 피부발진, 소양감, 호흡곤란 및 저혈압등의 증상이 발생한 1예를 경험하였다. 피부단자시험이나 혈청 특이 IgE 항체를 측정하지 못하였으나, 다른 약제나 라텍스 장갑의 사용 없이 프로포폴 단독 투여 후 발생하여 프로포폴 유발성 아나필락시스로 진단하였고,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pofol is widely used for sedation during endoscopy. Hemodynamic compromise and respiratory depression might occur under propofol sedation, whereas anaphylaxis is rare. We recently experienced this rare side effect. A 71-year-old woman suffering fro...

      Propofol is widely used for sedation during endoscopy. Hemodynamic compromise and respiratory depression might occur under propofol sedation, whereas anaphylaxis is rare. We recently experienced this rare side effect. A 71-year-old woman suffering from substernal chest discomfort underwent endoscopic examination under propofol sedation. She denied any history of allergic reaction to drugs or foods such as beans and eggs. After completion of the endoscopic examination, she developed a whole-body rash with pruritus and edema of her face, including the eyelids and lips. Hypotension was seen on physical examination, and her oxygen saturation was decreased on pulse oximetry. She recovered completely after treatment with epinephrine, an antihistamine, and steroids, with supportive care. Anaphylaxis to propofol is a rare side effect, and prompt treatment is mandatory when it develops. (Korean J Med 79:549-552, 201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Aitken HA, "Weals after propofol" 43 : 170-, 1988

      2 Training Committee, "Training guideline for use of propofol in gastrointestinal endoscopy" 60 : 167-172, 2004

      3 Fath JJ, "The therapy of anaphylactic shock" 18 : 14-21, 1984

      4 Riphaus A, "Quality of psychomotor recovery after propofol sedation for routine endoscopy: a randomized and controlled study" 38 : 677-683, 2006

      5 채동렬, "Propofol을 이용한 진정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시 propofol의 적절한 진정 유도용량 연구" 대한내과학회 68 (68): 261-267, 2005

      6 Bryson HM, "Propofol: an update of its use in anaesthesia and conscious sedation" 50 : 513-559, 1995

      7 AstraZeneca Canada Inc, "Product monograph" AstraZeneca Canada Inc 12-, 2004

      8 Laxenaire MC, "Life-threatening anaphylactoid reactions to propofol (Diprivan)" 77 : 275-280, 1992

      9 Doenicke A, "Effects of propofol(‘Diprivan’) on histamine release, immunoglobulin levels and activation of complement in healthy volunteers" 61 : 15-20, 1985

      10 Yocum MW, "Assessment of patients who have experienced anaphylaxis: a 3-year survey" 69 : 93-, 1994

      1 Aitken HA, "Weals after propofol" 43 : 170-, 1988

      2 Training Committee, "Training guideline for use of propofol in gastrointestinal endoscopy" 60 : 167-172, 2004

      3 Fath JJ, "The therapy of anaphylactic shock" 18 : 14-21, 1984

      4 Riphaus A, "Quality of psychomotor recovery after propofol sedation for routine endoscopy: a randomized and controlled study" 38 : 677-683, 2006

      5 채동렬, "Propofol을 이용한 진정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시 propofol의 적절한 진정 유도용량 연구" 대한내과학회 68 (68): 261-267, 2005

      6 Bryson HM, "Propofol: an update of its use in anaesthesia and conscious sedation" 50 : 513-559, 1995

      7 AstraZeneca Canada Inc, "Product monograph" AstraZeneca Canada Inc 12-, 2004

      8 Laxenaire MC, "Life-threatening anaphylactoid reactions to propofol (Diprivan)" 77 : 275-280, 1992

      9 Doenicke A, "Effects of propofol(‘Diprivan’) on histamine release, immunoglobulin levels and activation of complement in healthy volunteers" 61 : 15-20, 1985

      10 Yocum MW, "Assessment of patients who have experienced anaphylaxis: a 3-year survey" 69 : 93-, 1994

      11 Kemp SF, "Anaphylaxis: a review of causes and mechanisms" 110 : 341-348, 2002

      12 de Leon-Casasola OA, "Anaphylaxis due to propofol" 77 : 384-386, 1992

      13 Tsai MH, "Anaphylaxis after propofol infusion for Port-A-Cath insertion in a 35-year old man" 100 : 424-426, 2001

      14 Bochner BS, "Anaphylaxis" 324 : 1785-1790, 1991

      15 Jamieson V, "Allergy to propofol?" 43 : 70-, 1988

      16 Stoelting RK, "Allergic reactions during anesthesia" 62 : 341-356,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edicine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 0.1 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1 0.1 0.259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