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자음발음 교육방안 : 장애음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0565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여자대학교, 201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410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Korean Consonant Proununciation Education Plan for Vietnamese Learners - Focused on Incorrect Pronunciation

      • 형태사항

        ⅲ, 76 장 ; 27 cm.

      • 일반주기명

        부록 수록
        참고문헌: p. 64-69

      • 소장기관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ies on vietnamese who learns Korean are not actively carried out even though the number of Vietnamese who stay in Korea is continuously increasing. Especially, there is almost none of study o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eek effective education plan to correct and teach errors that vietnamese frequently make or may make when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Especiall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incorrect pronunciation that vietnamese have trouble pronouncing correctl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Chapter 1, existing studies have been classified and review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by planning study method.
      Chapter 2, Vietnamese consonant system was closely examined and consonant system of Vietnamese and Korean was compared and analyzed. Vietnamese consonants are classified into bilabial, labiodental, alveolar, retroflex, palatal, velar and glottal by articulatory location, while into implosive, fricative, nasal and liquid consonants by articulatory method. The greatest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consonant system is that fricative consonant is developed, such that most consonants show intellectual confrontation between vocal and voiceless sound.
      Some errors are assumed from the result from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vietnamese and Korean. Since there is no information on confrontation in three ways, they may have trouble distinguishing lax, fortis and aspirated consonants. Also, they have a difficulty in pronouncing /j(ㅈ), jj(ㅉ), ch(ㅊ)/ because there is no affricate consonant in vietnamese.
      Chapter 3, Vietnamese who learn Korean in community welfare center were selected as subject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ir error in pronunciation. The cognition and speech experiment results indicate that they felt difficult when pronouncing implosive, fricative and affricate consonant that show confrontation in three ways on initial consonant. However, there were no other errors indicated in other initial consonants.
      Based on the experiment results of Chapter 3, Chapter 4 suggested education plan for Vietnamese learners who feel the most difficult pronouncing incorrect consonants having confrontation in three ways among Korean consonants. Since the order of consonant to be taught should be considered to offer more systemic pronunciation education for learners, learning order of incorrect consonants was suggested. For learners to understand confrontation in three ways that they feel difficult to pronounce, this study suggested the order of 'lax, fortis and aspirated consonants' considering the intensity of air and the order of 'implosive, fricative and affricate consonant' considering that they feel difficult to pronounce affricate consonant. Also, this study suggested education plan from 'introduction to cognition and understanding, imitation, confirmation and correction, and integrated practice' in order in that the beginning of pronunciation education is considered from cognition of correct pronunciation via listening.
      If actual class is given by education plan designed in this study, more effective education plan can be suggested by complementing disadvantages. However, this will be left to be covered for the further study.
      번역하기

      Studies on vietnamese who learns Korean are not actively carried out even though the number of Vietnamese who stay in Korea is continuously increasing. Especially, there is almost none of study o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

      Studies on vietnamese who learns Korean are not actively carried out even though the number of Vietnamese who stay in Korea is continuously increasing. Especially, there is almost none of study o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eek effective education plan to correct and teach errors that vietnamese frequently make or may make when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Especiall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incorrect pronunciation that vietnamese have trouble pronouncing correctl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Chapter 1, existing studies have been classified and review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by planning study method.
      Chapter 2, Vietnamese consonant system was closely examined and consonant system of Vietnamese and Korean was compared and analyzed. Vietnamese consonants are classified into bilabial, labiodental, alveolar, retroflex, palatal, velar and glottal by articulatory location, while into implosive, fricative, nasal and liquid consonants by articulatory method. The greatest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consonant system is that fricative consonant is developed, such that most consonants show intellectual confrontation between vocal and voiceless sound.
      Some errors are assumed from the result from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vietnamese and Korean. Since there is no information on confrontation in three ways, they may have trouble distinguishing lax, fortis and aspirated consonants. Also, they have a difficulty in pronouncing /j(ㅈ), jj(ㅉ), ch(ㅊ)/ because there is no affricate consonant in vietnamese.
      Chapter 3, Vietnamese who learn Korean in community welfare center were selected as subject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ir error in pronunciation. The cognition and speech experiment results indicate that they felt difficult when pronouncing implosive, fricative and affricate consonant that show confrontation in three ways on initial consonant. However, there were no other errors indicated in other initial consonants.
      Based on the experiment results of Chapter 3, Chapter 4 suggested education plan for Vietnamese learners who feel the most difficult pronouncing incorrect consonants having confrontation in three ways among Korean consonants. Since the order of consonant to be taught should be considered to offer more systemic pronunciation education for learners, learning order of incorrect consonants was suggested. For learners to understand confrontation in three ways that they feel difficult to pronounce, this study suggested the order of 'lax, fortis and aspirated consonants' considering the intensity of air and the order of 'implosive, fricative and affricate consonant' considering that they feel difficult to pronounce affricate consonant. Also, this study suggested education plan from 'introduction to cognition and understanding, imitation, confirmation and correction, and integrated practice' in order in that the beginning of pronunciation education is considered from cognition of correct pronunciation via listening.
      If actual class is given by education plan designed in this study, more effective education plan can be suggested by complementing disadvantages. However, this will be left to be covered for the further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자음발음 교육방안
      -장애음을 중심으로-

      현재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베트남인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발음교육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발음을 교육할 때 그들이 쉽게 범하거나 그럴 가능성이 있는 오류를 수정, 지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장애음을 위한 교육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 논의된 것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이 논문의 연구목적과 기존의 선행 연구들을 세분화하여 검토해 본 후에 이 연구에서 행할 연구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2장에서는 베트남어의 자음체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 후 베트남어와 한국어의 자음체계를 대조 분석하였다. 베트남어의 자음은 조음위치에 따라 양순음, 순치음, 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으로 분류되고 조음방법에 따라 폐쇄음, 마찰음, 비음, 유음으로 분류된다. 베트남어의 자음체계에서 가장 큰 특징으로 보이는 것은 마찰음이 발달했다는 것과 대부분의 자음이 유성: 무성의 이지적 대립관계를 보인다는 것이다.
      베트남어를 한국어와 대조 분석한 결과 몇 가지 오류를 예측할 수 있었다. 그것은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삼지적 대립 관계에 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평음, 경음, 격음의 구별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것과 베트남어에 파찰음이라는 조음방법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ㅈ, ㅉ, ㅊ/의 발음이 어려울 것이라는 것이다.
      3장에서는 복지관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베트남인 학습자들을 피실험자로 선정하여 그들의 발음오류를 조사․분석하였다. 인지실험과 발화실험을 실행 한 결과 초성자음에서 삼지적 대립관계를 이루고 있는 폐쇄음, 마찰음, 파찰음의 발음을 특히 어려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 외 초성자음에서는 별다른 오류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4장에서는 3장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자음 가운데에서 장애음들의 삼지적 대립관계를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에게 보다 체계적인 발음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학습 할 자음의 순서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장애음의 학습순서를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삼지적 대립관계를 이해시키기 위해서 공기의 세기를 고려하여 ‘격음→평음→경음’의 순서와 파찰음을 어려워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폐쇄음→마찰음→파찰음’의 순서를 제시하였다. 또한 발음교육의 시작은 청취를 통한 정확한 발음의 인지에 있다고 보고 ‘도입→ 인지와 이해→ 모방→ 확인과 교정→ 통합연습’의 단계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성한 교안을 바탕으로 실제 수업을 할 수 있다면 부족한 점을 보완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육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는 차후 연구 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번역하기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자음발음 교육방안 -장애음을 중심으로- 현재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베트남인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자음발음 교육방안
      -장애음을 중심으로-

      현재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베트남인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발음교육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발음을 교육할 때 그들이 쉽게 범하거나 그럴 가능성이 있는 오류를 수정, 지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장애음을 위한 교육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 논의된 것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이 논문의 연구목적과 기존의 선행 연구들을 세분화하여 검토해 본 후에 이 연구에서 행할 연구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2장에서는 베트남어의 자음체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 후 베트남어와 한국어의 자음체계를 대조 분석하였다. 베트남어의 자음은 조음위치에 따라 양순음, 순치음, 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으로 분류되고 조음방법에 따라 폐쇄음, 마찰음, 비음, 유음으로 분류된다. 베트남어의 자음체계에서 가장 큰 특징으로 보이는 것은 마찰음이 발달했다는 것과 대부분의 자음이 유성: 무성의 이지적 대립관계를 보인다는 것이다.
      베트남어를 한국어와 대조 분석한 결과 몇 가지 오류를 예측할 수 있었다. 그것은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삼지적 대립 관계에 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평음, 경음, 격음의 구별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것과 베트남어에 파찰음이라는 조음방법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ㅈ, ㅉ, ㅊ/의 발음이 어려울 것이라는 것이다.
      3장에서는 복지관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베트남인 학습자들을 피실험자로 선정하여 그들의 발음오류를 조사․분석하였다. 인지실험과 발화실험을 실행 한 결과 초성자음에서 삼지적 대립관계를 이루고 있는 폐쇄음, 마찰음, 파찰음의 발음을 특히 어려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 외 초성자음에서는 별다른 오류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4장에서는 3장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자음 가운데에서 장애음들의 삼지적 대립관계를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에게 보다 체계적인 발음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학습 할 자음의 순서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장애음의 학습순서를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삼지적 대립관계를 이해시키기 위해서 공기의 세기를 고려하여 ‘격음→평음→경음’의 순서와 파찰음을 어려워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폐쇄음→마찰음→파찰음’의 순서를 제시하였다. 또한 발음교육의 시작은 청취를 통한 정확한 발음의 인지에 있다고 보고 ‘도입→ 인지와 이해→ 모방→ 확인과 교정→ 통합연습’의 단계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성한 교안을 바탕으로 실제 수업을 할 수 있다면 부족한 점을 보완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육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는 차후 연구 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선행 연구 2
      • 1.3. 연구방법 및 대상 6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선행 연구 2
      • 1.3. 연구방법 및 대상 6
      • 2. 베트남어와 한국어 자음체계 분석 8
      • 2.1. 베트남어의 자음체계 8
      • 2.2.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자음체계 대조분석 12
      • 3. 자음 발음오류에 대한 오류실험과 분석 18
      • 3.1 실험방법과 대상 18
      • 3.2 실험결과와 분석 22
      • 3.2.1 인지실험 결과와 분석 22
      • 3.2.2 발화실험 결과와 분석 27
      • 4. 한국어 자음발음 교육방안 41
      • 4.1. 교육방안 설계원리 41
      • 4.2. 교수모형의 실제 46
      • 5. 결론 62
      • 참고 문헌 64
      • ABSTRACT 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