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디아스포라 현상과 초국가네트워크 활용을 위한 보훈정책: 볼고그라드 중심으로 = The National Merit Reward Policies for Utilizing the Diaspora Phenomenon and Transnational Networks : focusing on Volgogra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585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countries in the world have been trying for the extension as a modern nation-state to streng then their national power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eir attempts have always been to broaden their own national status in various areas including economic and cultural territory. A differencein today is the directional change of this order to take advantage of a transnational network. This refers to the integration of Diasporas which consists a part of ultra-nationalism from below. It is time to have an eye forthe possibility of raising the national prosperity and status through the dispersed people worldwide.
      Along the wave ofglobalization, the Diasporas, born in the history of pain and neglected, now appeared as the core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o many countries. The Korean Diaspora also should no longer remain in the discourse of ethnic minorities. In an ontological perspective, it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subject for the development or utilization in terms of units of each nation-state. Rather, it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and ethnic identity and the strengthening of a sense of community on the extension of globalization or ultra-nationalism. In addition, unity of both ethnic people and citizens should be achieved.
      To this end, it requires to identify the true picture of reality. The way for overcoming heterogeneity is to spread the spirit of independence, peace, and democratic citizenship throughout society as universal values. This is to foster a social climate of balance and harmony and to heighten the sense of ethnic pride and community. This indeed establishes the foundation fornational unity and social integration. And this is the establishment of the spirit of national merit reward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another cornerstone on which a new ideology and policies of the national merit reward can suggesta symbol and a vision of the future.
      번역하기

      Many countries in the world have been trying for the extension as a modern nation-state to streng then their national power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eir attempts have always been to broaden their own national status in various areas includ...

      Many countries in the world have been trying for the extension as a modern nation-state to streng then their national power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eir attempts have always been to broaden their own national status in various areas including economic and cultural territory. A differencein today is the directional change of this order to take advantage of a transnational network. This refers to the integration of Diasporas which consists a part of ultra-nationalism from below. It is time to have an eye forthe possibility of raising the national prosperity and status through the dispersed people worldwide.
      Along the wave ofglobalization, the Diasporas, born in the history of pain and neglected, now appeared as the core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o many countries. The Korean Diaspora also should no longer remain in the discourse of ethnic minorities. In an ontological perspective, it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subject for the development or utilization in terms of units of each nation-state. Rather, it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and ethnic identity and the strengthening of a sense of community on the extension of globalization or ultra-nationalism. In addition, unity of both ethnic people and citizens should be achieved.
      To this end, it requires to identify the true picture of reality. The way for overcoming heterogeneity is to spread the spirit of independence, peace, and democratic citizenship throughout society as universal values. This is to foster a social climate of balance and harmony and to heighten the sense of ethnic pride and community. This indeed establishes the foundation fornational unity and social integration. And this is the establishment of the spirit of national merit reward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another cornerstone on which a new ideology and policies of the national merit reward can suggesta symbol and a vision of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 많은 나라들은 자국의 힘과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근대적 민족국가의 외연을 넓히는 노력을 해왔다. 경제영토, 문화영토 등 여러 분야에서 자국의 위상을 넓히는 시도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러한 질서가 과거와는 달리 오늘날에 와서는 초국가적 네트워크 활용을 위한 방향으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는 아래로부터 초국가주의의 일부를 구성하는 디아스포라와의 통합이다. 세계적으로 분산된 이산민족들을 통해 국가의 번영과 위상을 높일 수 있다는 안목을 가지게 된 것이다. 과거 눈물의 역사에서 탄생한 디아스포라 존재를 거들떠보지 않던 국가들이 오늘날에 와서는 그들이 세계화의 물결에 찾아온 국제경쟁력 핵심으로 보이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제 디아스포라 한인 문제도 더 이상 소수민족의 담론에 머무르게 해서는 않된다. 존재론적 관점에서 각 민족국가 단위의 개발론 혹은 활용론의 대상에 그쳐서는 않된다. 오히려 이들 현상을 세계화 내지는 초국가주의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 국가와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공동체 의식의 강화가 요구된다. 더불어 국민통합과 민족통합을 이루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실상을 규명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질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국가보훈에 담긴 자주, 평화, 민주시민 정신을 보편적 가치로 사회 전반으로 확산하는 것이다. 이는 조화와 균형 있는 사회풍토를 조성하는 것이며 민족의 긍지와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 것이다. 이야 말로 국민화합과 사회통합을 위한 토대 마련이다. 그리고 세계화 시대에 맞는 국가 보훈정신의 정립이며, 새로운 국가 보훈의 이념과 정책이 미래의 상징과 비젼을 제시할 수 있는 또 다른 초석이 된다.
      번역하기

      세계 많은 나라들은 자국의 힘과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근대적 민족국가의 외연을 넓히는 노력을 해왔다. 경제영토, 문화영토 등 여러 분야에서 자국의 위상을 넓히는 시도는 어제 오늘의...

      세계 많은 나라들은 자국의 힘과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근대적 민족국가의 외연을 넓히는 노력을 해왔다. 경제영토, 문화영토 등 여러 분야에서 자국의 위상을 넓히는 시도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러한 질서가 과거와는 달리 오늘날에 와서는 초국가적 네트워크 활용을 위한 방향으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는 아래로부터 초국가주의의 일부를 구성하는 디아스포라와의 통합이다. 세계적으로 분산된 이산민족들을 통해 국가의 번영과 위상을 높일 수 있다는 안목을 가지게 된 것이다. 과거 눈물의 역사에서 탄생한 디아스포라 존재를 거들떠보지 않던 국가들이 오늘날에 와서는 그들이 세계화의 물결에 찾아온 국제경쟁력 핵심으로 보이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제 디아스포라 한인 문제도 더 이상 소수민족의 담론에 머무르게 해서는 않된다. 존재론적 관점에서 각 민족국가 단위의 개발론 혹은 활용론의 대상에 그쳐서는 않된다. 오히려 이들 현상을 세계화 내지는 초국가주의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 국가와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공동체 의식의 강화가 요구된다. 더불어 국민통합과 민족통합을 이루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실상을 규명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질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국가보훈에 담긴 자주, 평화, 민주시민 정신을 보편적 가치로 사회 전반으로 확산하는 것이다. 이는 조화와 균형 있는 사회풍토를 조성하는 것이며 민족의 긍지와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 것이다. 이야 말로 국민화합과 사회통합을 위한 토대 마련이다. 그리고 세계화 시대에 맞는 국가 보훈정신의 정립이며, 새로운 국가 보훈의 이념과 정책이 미래의 상징과 비젼을 제시할 수 있는 또 다른 초석이 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형근, "한·러간 민간차원의 문화교류와 고려인 이주현황" 러시아연방 모스크바 삼일문화원 2006

      2 마샬 맥루한, "지구촌: 21세기 인류의 삶과 미디어의 변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3 김재기,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러시아 볼고그라드 재이주 현상" 한국동북아학회 11 (11): 237-266, 2006

      4 임채완, "재외한인과 글로벌네트워크" 한울아카데미 15-, 2006

      5 부가이 N., "시간의 시련" 117-, 2004

      6 유영옥, "세계화시대의 한민족 정기의 선양방안" 한국동북아학회 13 (13): 383-408, 2008

      7 이병희, "세계화시대의 국제관계 (제2판)" 대왕사 15-, 2008

      8 채재병, "세계화시대의 국가보훈" 40 (40): 52-126, 2001

      9 임채완, "세계화 시대 ‘디아스포라 현상’접근: 초국가네트워크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3 (13): 469-491, 2008

      10 권희영, "사회 환경의 변화와 사회과 교육의 과제: 세계시민의식과 민족, 국민적 정체성" 43-, 2010

      1 이형근, "한·러간 민간차원의 문화교류와 고려인 이주현황" 러시아연방 모스크바 삼일문화원 2006

      2 마샬 맥루한, "지구촌: 21세기 인류의 삶과 미디어의 변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3 김재기,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러시아 볼고그라드 재이주 현상" 한국동북아학회 11 (11): 237-266, 2006

      4 임채완, "재외한인과 글로벌네트워크" 한울아카데미 15-, 2006

      5 부가이 N., "시간의 시련" 117-, 2004

      6 유영옥, "세계화시대의 한민족 정기의 선양방안" 한국동북아학회 13 (13): 383-408, 2008

      7 이병희, "세계화시대의 국제관계 (제2판)" 대왕사 15-, 2008

      8 채재병, "세계화시대의 국가보훈" 40 (40): 52-126, 2001

      9 임채완, "세계화 시대 ‘디아스포라 현상’접근: 초국가네트워크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3 (13): 469-491, 2008

      10 권희영, "사회 환경의 변화와 사회과 교육의 과제: 세계시민의식과 민족, 국민적 정체성" 43-, 2010

      11 정경환, "민족주의 연구" 이경 138-139, 2009

      12 이봄철, "러시아 볼고그라드 고려인 농촌실태" 2005

      13 형시영, "국가보훈의 환경변화에 따른 미래지향적 보훈정책 전망" 204-, 2010

      14 강원택, "국가보훈과 국가정체성: 국가보훈과 국가안보" 12 : 2010

      15 오일환, "국가보훈과 국가정체성" 한국민족사상학회 5 (5): 47-79, 2011

      16 남호엽, "공간스케일의 관점에서 본 민족정체성 교육" 34 : 115-, 2001

      17 Marshall McLuhan, "The global village : transformations in world life and media in the 21st century" Oxford Univ. Press 1922

      18 Manuel Castells,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Black Well 1996

      19 Robin Cohen, "Global diasporas: An introduction" UCL Press 157-167, 1997

      20 정경환, "21세기 국제관계와 한국" 이경 43-49,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7-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Patriots And Veterns Affairs Studies -> The Korean Association for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Studies KCI등재후보
      2018-07-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al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in the Republic Korea -> Journal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in the Republic of Korea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1 0.51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