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국어 음운론에서의 융합과 그 유형 = Convergence and its type in Korean Phon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705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어사전에서 “다른 종류의 것이 녹아서 서로 구별이 없게 하나로 합하여지거나 그렇게 만듦. 또는 그런 일.”로 풀이되어 있는 ‘융합(融合)’이, 국어학에서는 일반적으로 형태론의 술어...

      국어사전에서 “다른 종류의 것이 녹아서 서로 구별이 없게 하나로 합하여지거나 그렇게 만듦. 또는 그런 일.”로 풀이되어 있는 ‘융합(融合)’이, 국어학에서는 일반적으로 형태론의 술어로 쓰인다. 이는 ‘융합’이라는 술어가 국어 음운론에서는 그다지 활발히 쓰이지 못함을 뜻하는데, 본고는 국어 음운론 일부 영역에서 쓰이는 ‘융합’의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흔하지는 않지만, 음운론 논의에서 보이는 ‘융합’의 예를 살펴보아 그 개념을 정리한 결과, 국어 음운론에서의 융합은 축약과 합류 정도로 국한할 수 있다고 보았다. 3장에서는 2장을 바탕으로 ‘융합’의 유형을 분류하되, 분류와 관련된, ‘융합’의 몇 문제를 간단히 짚어보면서, 국어음운론에서 축약과 합류에 속할 수 있는 몇 사례를 개관해 보았다. 전체적으로 번역술어의 사용과 관련된 문제에 눈길을 오래 두었는데, 이는 음운론에서 ‘융합’이라는 술어의 사용이 그리 흔하지 않은 점과 무관하지 않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vergence’ is defined as “the occurrence of two or more things coming together, or the act of converging(coming closer)” in Korean dictionary. In Korean phonology, the convergence is rarely used as academic terms. In Korean phonology, the c...

      ‘Convergence’ is defined as “the occurrence of two or more things coming together, or the act of converging(coming closer)” in Korean dictionary. In Korean phonology, the convergence is rarely used as academic terms. In Korean phonology, the convergence is confined to contraction(or coalescence) and merger. The contraction in Korean phonology is related with phoneme arrangement. On the contrary, the merger is related with phoneme system. In Korean phonology, the aspiration belongs to the former and the loss of ‘ㆍ’ belongs to the lat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국어 음운론에서의 ‘융합’의 쓰임
      • 3. 국어 음운론에서의 ‘융합’의 유형
      • 4. 결론
      • 〈국문초록〉
      • 1. 서론
      • 2. 국어 음운론에서의 ‘융합’의 쓰임
      • 3. 국어 음운론에서의 ‘융합’의 유형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白斗鉉, "嶺南 文獻語의 音韻史 硏究" 太學社 1992

      2 金芳漢, "歷史-比較言語學" 民音社 1988

      3 오정란, "현대국어음운론" 형설출판사 1993

      4 정명숙, "현대 국어 말소리의 통시적 변화 : 1950년대 이후 방송 자료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02

      5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월인 2012

      6 이상신, "학교 문법의 ‘축약(縮約)’ 및 관련 어문 규정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153) : 417-439, 2009

      7 이동화, "최근 이론 중심의 국어음운론" 문창사 1996

      8 이진호, "이중모음" 태학사 13-32, 2010

      9 김현, "이중모음" 태학사 53-74, 2010

      10 배주채, "음절말자음과 어간말자음의 음운론" 서울대학교 1989

      1 白斗鉉, "嶺南 文獻語의 音韻史 硏究" 太學社 1992

      2 金芳漢, "歷史-比較言語學" 民音社 1988

      3 오정란, "현대국어음운론" 형설출판사 1993

      4 정명숙, "현대 국어 말소리의 통시적 변화 : 1950년대 이후 방송 자료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02

      5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월인 2012

      6 이상신, "학교 문법의 ‘축약(縮約)’ 및 관련 어문 규정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153) : 417-439, 2009

      7 이동화, "최근 이론 중심의 국어음운론" 문창사 1996

      8 이진호, "이중모음" 태학사 13-32, 2010

      9 김현, "이중모음" 태학사 53-74, 2010

      10 배주채, "음절말자음과 어간말자음의 음운론" 서울대학교 1989

      11 곽동기, "음운론적 단어와 음절화" 한국언어학회 24 : 3-23, 1996

      12 전상범, "음운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13 이정민, "언어학사전" 박영사 1987

      14 문양수, "생성․비단선 음운론" 한신문화사 1994

      15 신지영,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 1" 녹진 22-67, 1991

      16 최명옥, "북한의 어음연구" 서울大學校 語學硏究所 28 (28): 621-639, 1992

      17 강순경, "북한어 모음체계의 실험 음성학적 연구" 한국문화사 2001

      18 권경근, "모음충돌에서의 인접현상" 우리말학회 (34) : 5-20, 2013

      19 이은정, "국어학․언어학 용어 사전" 국어 문화사 1995

      20 이지양, "국어의 융합현상" 太學社 1998

      21 배주채, "국어음운론 개설" 신구문화사 2011

      22 최명옥, "국어음운론" 태학사 2004

      23 허웅, "국어 음운학 –우리말 소리의 오늘․어제-" 샘문화사 1985

      24 이상신, "국어 음운론에서의 기술 문법과 학교 문법" 국어학회 (69) : 207-231, 2014

      25 이진호, "국어 음운론 강의" 삼경문화사 2014

      26 이진호, "국어 음운 교육 변천사" 박이정 2009

      27 이진호, "국어 ㅎ- 말음 어간의 음운론" 국어국문학회 133 : 2003

      28 박창원, "고대국어 음운(1)" 태학사 2002

      29 亀井孝, "言語學 大辞典" 三省堂 1996

      30 趙成植(편집주간), "英語學辭典" 新雅社 1990

      31 李基文, "國語音韻論" 學硏社 1984

      32 李基文, "國語史槪說" 塔出版社 1972

      33 韓榮均, "周時經學報 8" 周時經硏究所/탑출판사 53-70, 1991

      34 Hoeniswald, Henry M, "Language Change and Linguistic Reconstruc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0

      35 Antilla, Raimo, "An Introduction to Historical and Comparative Linguistics" Macmillan 1972

      36 崔銓承, "19세기 후기 全羅方言의 음운현상과 그 역사성" 翰信文化社 1986

      37 김현, "15세기 겸양법 선어말어미 결합에서의 경음화" 국어사학회 (17) : 197-218,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72 1.37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