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 = The Issues and Tasks in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775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sues and Tasks in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Jeong-Ah ChoThis study reviews changing discussions and theoretical points at isue concerning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based on social and cultural approaches related to uni-fication since the 2000s. In accordance with analysis of major researches on theory and direc-tions of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conducted after the year 2000, this study draws focal points of discussions in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provides analysis on con-flicting points against the aforementioned focal points, and presents theoretical tasks and fu-ture directions in unification education thereafter.
      As a result, this study draws the following three issues as major theoretical focal points in current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directions of education on understanding North Korea;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citizenship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nationalism in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As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in the 1990s was developed through advocating ‘unification’ instead of standing for ‘anti-communism,’ this is a period necessary for epoch-making in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Instead of simply cramming learners with a variety of knowledge regarding unification, it is necessary to intermediate a process of ‘self-reflection’ related to unification among learners.
      번역하기

      The Isues and Tasks in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Jeong-Ah ChoThis study reviews changing discussions and theoretical points at isue concerning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based on social and cultural approaches related to uni-fication s...

      The Isues and Tasks in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Jeong-Ah ChoThis study reviews changing discussions and theoretical points at isue concerning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based on social and cultural approaches related to uni-fication since the 2000s. In accordance with analysis of major researches on theory and direc-tions of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conducted after the year 2000, this study draws focal points of discussions in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provides analysis on con-flicting points against the aforementioned focal points, and presents theoretical tasks and fu-ture directions in unification education thereafter.
      As a result, this study draws the following three issues as major theoretical focal points in current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directions of education on understanding North Korea;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citizenship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nationalism in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As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in the 1990s was developed through advocating ‘unification’ instead of standing for ‘anti-communism,’ this is a period necessary for epoch-making in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Instead of simply cramming learners with a variety of knowledge regarding unification, it is necessary to intermediate a process of ‘self-reflection’ related to unification among learn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2000년대 이후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있는 통일에 관한 사회문화적 접근에 기반한 통일교육 담론의 변화와 이론적 쟁점을 고찰하였다. 통일교육 이론 및 방향성과 관련된 2000년 이후의 주요 연구물의 내용을 분석하여 통일교육 담론의 핵심 쟁점을 추출하여, 이들 주요 쟁점에 대한 논점의 대립 지점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일교육이 해결해야 할 이론적 과제와 방향성을 논의하였다.연구 결과 북한이해교육의 방향과 교육의 도구화 문제, 통일교육과 민주시민교육평화교육간의 관계, 통일에서의 민족주의 문제 등 세 가지 문제를 현재 통일교육의 주요한 이론적 쟁점으로 도출하였다.1990년대의 통일교육이 ‘반공’이 아닌 ‘통일’을 표방하면서 질적인 발전을 이루었듯이, 지금은 통일교육에 또 다른 획을 긋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반공을 통일로 대체한 상태에서 통일과 관련된 다양한 지식을 학습자에게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정이 주체적 학습자들의 통일과 관련된 과정을 매개하고 그것에 도움을 주는 계기로 작용할 때 진정으로 성숙한 통일 주체의 양성이 가능해질 것이다. 이 글에서 시론적으로 다룬 북한이해 문제, 평화교육 문제, 민족주의 문제 등 통일교육과 관련된 쟁점에 대한 논의와 실천을 통해 통일교육의 내용적 구체성을 확보해나가야 한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2000년대 이후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있는 통일에 관한 사회문화적 접근에 기반한 통일교육 담론의 변화와 이론적 쟁점을 고찰하였다. 통일교육 이론 및 방향성과 관련된 2000년 ...

      이 글에서는 2000년대 이후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있는 통일에 관한 사회문화적 접근에 기반한 통일교육 담론의 변화와 이론적 쟁점을 고찰하였다. 통일교육 이론 및 방향성과 관련된 2000년 이후의 주요 연구물의 내용을 분석하여 통일교육 담론의 핵심 쟁점을 추출하여, 이들 주요 쟁점에 대한 논점의 대립 지점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일교육이 해결해야 할 이론적 과제와 방향성을 논의하였다.연구 결과 북한이해교육의 방향과 교육의 도구화 문제, 통일교육과 민주시민교육평화교육간의 관계, 통일에서의 민족주의 문제 등 세 가지 문제를 현재 통일교육의 주요한 이론적 쟁점으로 도출하였다.1990년대의 통일교육이 ‘반공’이 아닌 ‘통일’을 표방하면서 질적인 발전을 이루었듯이, 지금은 통일교육에 또 다른 획을 긋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반공을 통일로 대체한 상태에서 통일과 관련된 다양한 지식을 학습자에게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정이 주체적 학습자들의 통일과 관련된 과정을 매개하고 그것에 도움을 주는 계기로 작용할 때 진정으로 성숙한 통일 주체의 양성이 가능해질 것이다. 이 글에서 시론적으로 다룬 북한이해 문제, 평화교육 문제, 민족주의 문제 등 통일교육과 관련된 쟁점에 대한 논의와 실천을 통해 통일교육의 내용적 구체성을 확보해나가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의 민족 정체성과 통일을 위한 ‘열린 민족’ 개념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5 (5): 2001

      2 "학교통일교육의 사회과학적 접근 모색. 통일문제연구 . 제6권 제2호" 평화문제연구소 1994.

      3 "학교 통일교육의 평화교육적 접근" 6 : 2003

      4 "평화지향적 통일교육의 이해" 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7

      5 "평화와 통일을 지향하는 교육의 접근 방향과 과제" 한국정치학회 2000

      6 "평화를 위한 통일교육" 서울: 인간사랑 2007

      7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본 통일교육" 17 (17): 2004

      8 "통일지향 교육 패러다임 정립과 추진방안" 서울: 통일연구원 2004

      9 "통일의식의 세대간지역간 편차 해소방안" 2006

      10 "통일교육지침체계 재정립에 관한 연구" 서울: 통일부 2003

      1 "한국의 민족 정체성과 통일을 위한 ‘열린 민족’ 개념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5 (5): 2001

      2 "학교통일교육의 사회과학적 접근 모색. 통일문제연구 . 제6권 제2호" 평화문제연구소 1994.

      3 "학교 통일교육의 평화교육적 접근" 6 : 2003

      4 "평화지향적 통일교육의 이해" 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7

      5 "평화와 통일을 지향하는 교육의 접근 방향과 과제" 한국정치학회 2000

      6 "평화를 위한 통일교육" 서울: 인간사랑 2007

      7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본 통일교육" 17 (17): 2004

      8 "통일지향 교육 패러다임 정립과 추진방안" 서울: 통일연구원 2004

      9 "통일의식의 세대간지역간 편차 해소방안" 2006

      10 "통일교육지침체계 재정립에 관한 연구" 서울: 통일부 2003

      11 "통일교육의 철학적 바탕"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0 : 2002

      12 "통일교육의 실태조사 및 성과분석" 서울: 통일연구원 2003

      13 "통일교육으로서의 평화교육 재정립 방안" 민주평통자문회의 제62차 교육위원회 자료집 2007

      14 "통일교육에서 평화교육적 접근의 타당성" 평화문제연구소 15 (15): 2003

      15 "통일교육에 있어서의 민족, 평화, 시민에 대한 논의" 33집 : 2001

      16 "통일과 민주시민교육" 서울: 엠-에드 2004

      17 "즐거운 초등학교 통일교육" 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3

      18 "외국 민주시민교육의 통일교육적 함의" 6 : 2003

      19 "신패러다임 통일교육 구현방안" 서울: 통일연구원 2005

      20 "소프트해진 통일교육, 그 쟁점과 위상"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6 (6): 2003

      21 "북한이해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통일교육학회 2007

      22 "민주시민교육과 통일교육의 균형적 발전방향." 5 (5): 2000

      23 "독일 연방정치교육원의 기능과 역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05

      24 "남북한 평화체제의 건설과 통일교육" 세종연구소 9 (9): 2003

      25 "남북한 문화의 ‘긍정적 다름’이 통일교육에 주는 함의 연구" 통일연구원 10 (10):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통일정책연구
      외국어명 : Unification Policy Studies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8 1.82 2.05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