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종묘 지당(池塘)의 변천(變遷)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of Pond in the Jongmyo Shrin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larify the process of change to the pond at the Jongmyo Shrine(宗廟), from the Joseon Dynasty period to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The consequent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record of the Jongmyo pond is confirmed in the 『Annals of King Sejong(世宗實錄)』. The pond, which was being constructed at the time, refers to the current upper pond(上池). A pair of islets(雙島) were constructed during the Sukjong(肅宗) period, with several trees planted on the middle islet(中池). The middle pond is thick with lotuses. In particular, the middle island on the middle pond subsequently changed into a single island(單島), which is likely to be related to the pond expansion during the reign of Youngjo(英祖). When the lower pond(下池), involving dualistic arrangement, was constructed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the pond of the Jongmyo Shrine underwent a drastic transformation phase. The lower pond was constructed before 1947 at the latest, and whe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pond was filled in the mid 1980s, the dualistically arranged lower pond became a unified type of lower pond. On the other hand, the bank protections of the upper and middle ponds were constructed with earth, but was subsequently modified into its current form using ston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larify the process of change to the pond at the Jongmyo Shrine(宗廟), from the Joseon Dynasty period to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The consequent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larify the process of change to the pond at the Jongmyo Shrine(宗廟), from the Joseon Dynasty period to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The consequent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record of the Jongmyo pond is confirmed in the 『Annals of King Sejong(世宗實錄)』. The pond, which was being constructed at the time, refers to the current upper pond(上池). A pair of islets(雙島) were constructed during the Sukjong(肅宗) period, with several trees planted on the middle islet(中池). The middle pond is thick with lotuses. In particular, the middle island on the middle pond subsequently changed into a single island(單島), which is likely to be related to the pond expansion during the reign of Youngjo(英祖). When the lower pond(下池), involving dualistic arrangement, was constructed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the pond of the Jongmyo Shrine underwent a drastic transformation phase. The lower pond was constructed before 1947 at the latest, and whe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pond was filled in the mid 1980s, the dualistically arranged lower pond became a unified type of lower pond. On the other hand, the bank protections of the upper and middle ponds were constructed with earth, but was subsequently modified into its current form using sto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종묘(宗廟)의 지당(池塘)을 대상으로 조선시대부터 근현대기까지 진행된 변천과정의 규명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종묘 지당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세종실록』에서 확인된다. 세종 25년(1443)에 조성 중이던 지당은 지금의 상지(上池)를 가리키며, 『국조오례의』「 종묘전도」에 따르면 중도(中島)가 없는 형태의 방지(方池)였다. 숙종대의 중지(中池)에는 쌍도(雙島)가 조성되어있었고 , 중도( 中島) 내에는 단풍나무 , 박달나무 등을 비롯한 여러 수목이 식재되어 있었다 . 또한 중지 내에는 무성한 연꽃도자라고 있었다. 특히 쌍도 형식이었던 중지의 중도는 이후 단도(單島) 형식으로 변화하였는데, 영조(英祖) 연간에 이루어진 지당의확장공사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근현대기에 이르러 이원적(二元的) 배치의 하지(下池)가 조성되면서 종묘의 지당은 본격적인 변형국면에 접어들었다. 근대기의항공사진에 의하면 하지는 적어도 1947년 이전에 조성되었는데, 1980년대 중반에 이르러 이원적 배치의 하지 가운데 우측 하지가매립되면서 일원화된 형태의 하지가 나타나게 되었다 . 한편 「종묘배치도」와 국가기록원 소장 사진첩에 의하면 상지와 중지의호안(護岸)은 본래 토축(土築)으로 조성되었지만 이후의 어느 시점에 석축(石築)으로 개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종묘(宗廟)의 지당(池塘)을 대상으로 조선시대부터 근현대기까지 진행된 변천과정의 규명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종묘 지당에 관...

      본 연구는 종묘(宗廟)의 지당(池塘)을 대상으로 조선시대부터 근현대기까지 진행된 변천과정의 규명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종묘 지당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세종실록』에서 확인된다. 세종 25년(1443)에 조성 중이던 지당은 지금의 상지(上池)를 가리키며, 『국조오례의』「 종묘전도」에 따르면 중도(中島)가 없는 형태의 방지(方池)였다. 숙종대의 중지(中池)에는 쌍도(雙島)가 조성되어있었고 , 중도( 中島) 내에는 단풍나무 , 박달나무 등을 비롯한 여러 수목이 식재되어 있었다 . 또한 중지 내에는 무성한 연꽃도자라고 있었다. 특히 쌍도 형식이었던 중지의 중도는 이후 단도(單島) 형식으로 변화하였는데, 영조(英祖) 연간에 이루어진 지당의확장공사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근현대기에 이르러 이원적(二元的) 배치의 하지(下池)가 조성되면서 종묘의 지당은 본격적인 변형국면에 접어들었다. 근대기의항공사진에 의하면 하지는 적어도 1947년 이전에 조성되었는데, 1980년대 중반에 이르러 이원적 배치의 하지 가운데 우측 하지가매립되면서 일원화된 형태의 하지가 나타나게 되었다 . 한편 「종묘배치도」와 국가기록원 소장 사진첩에 의하면 상지와 중지의호안(護岸)은 본래 토축(土築)으로 조성되었지만 이후의 어느 시점에 석축(石築)으로 개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화성성역의궤"

      2 이상필, "한국 전통 원지 조영에 관한 연구 : 옛 그림 및 발굴조사 된 원지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5

      3 "춘관통고"

      4 문화재청, "창덕궁·종묘 원유"

      5 문화재관리국, "종묘정전실측조사보고서" 1989

      6 문화재관리국, "종묘정비계획(조경)"

      7 "종묘의궤속록"

      8 "종묘의궤"

      9 "종묘배치도"

      10 문화재청, "종묘 조경정비기본계획" 37-, 2006

      1 "화성성역의궤"

      2 이상필, "한국 전통 원지 조영에 관한 연구 : 옛 그림 및 발굴조사 된 원지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5

      3 "춘관통고"

      4 문화재청, "창덕궁·종묘 원유"

      5 문화재관리국, "종묘정전실측조사보고서" 1989

      6 문화재관리국, "종묘정비계획(조경)"

      7 "종묘의궤속록"

      8 "종묘의궤"

      9 "종묘배치도"

      10 문화재청, "종묘 조경정비기본계획" 37-, 2006

      11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12 문화재관리국, "조선왕조의 제사"

      13 문화재청 종묘관리소, "자연과 어우러지는 역사와 제례공간 종묘"

      14 "일성록"

      15 "승정원일기"

      16 "숙천제아도, 종묘서,"

      17 "세종실록"

      18 문화재청, "세계유산 종묘"

      19 "서파집"

      20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지도" 예맥 2006

      21 "국조오례의"

      22 趙貞淑, "傳統庭苑에 있어서 池塘構成의 特性에 關한 硏究" 漢陽大學校 環境科學大學院 1987

      23 정연익, "傳統 연못의 造成技法 및 管理方案에 關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2009

      24 "Kyongsong or Seoul"

      25 "1958년 촬영 사진첩"

      26 "1947년 촬영 항공사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