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의 비파괴 훼손도진단과 입지환경 검토 = Nondestructive Deterioration Diagnosis and Environmental Investigation of the Stupa of the Buddhist Monk Soyo in Baegyangsa Temple, Jangseong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pa of Buddhist Monk Soyo in Baegyangsa temple, Jangseong, was erected to pay a 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the Buddhist monk Soyo, who worked for Baegyangsa temple as a chief monk, and is a bell-shaped stupa with the detailed pattern of a Korean traditional buddhist bell. It is composed of pinkish-grey sandstone and the body of the stupa was damaged by longitudinal cracks on the front and back areas and the exfoliation caused break-out in the most part of the sculpture on the left and right areas. According to the ultrasonic test and infrared thermography analysis for physical deterioration diagnosis, most weathering aspects appeared on the body of the stupa and some exfoliated part that could not be seen with the naked eye was detected 6.1% and 5.9% on the left and right side respectively. Hyperspectral imaging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to assess biological deterio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the surface of the stupa was covered 71.8 ~ 79.9% with vegetation like algae, lichen and moss.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was higher relatively on the bottom part near the ground, right and back areas of the stupa. Therefore conservation treatment for the exfoliated part and bio-deterioration is necessary and the environment condition needs to be fixed to prevent extra damages on the stupa.
      번역하기

      The Stupa of Buddhist Monk Soyo in Baegyangsa temple, Jangseong, was erected to pay a 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the Buddhist monk Soyo, who worked for Baegyangsa temple as a chief monk, and is a bell-shaped stupa with the detailed pattern of a Kor...

      The Stupa of Buddhist Monk Soyo in Baegyangsa temple, Jangseong, was erected to pay a 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the Buddhist monk Soyo, who worked for Baegyangsa temple as a chief monk, and is a bell-shaped stupa with the detailed pattern of a Korean traditional buddhist bell. It is composed of pinkish-grey sandstone and the body of the stupa was damaged by longitudinal cracks on the front and back areas and the exfoliation caused break-out in the most part of the sculpture on the left and right areas. According to the ultrasonic test and infrared thermography analysis for physical deterioration diagnosis, most weathering aspects appeared on the body of the stupa and some exfoliated part that could not be seen with the naked eye was detected 6.1% and 5.9% on the left and right side respectively. Hyperspectral imaging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to assess biological deterio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the surface of the stupa was covered 71.8 ~ 79.9% with vegetation like algae, lichen and moss.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was higher relatively on the bottom part near the ground, right and back areas of the stupa. Therefore conservation treatment for the exfoliated part and bio-deterioration is necessary and the environment condition needs to be fixed to prevent extra damages on the stup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은 백양사 주지를 역임한 소요대사의 유업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범종의세부양식이 그대로 표현되어 있는 석종형의 승탑이다. 이 승탑은 담회색의 사암으로 구성되며, 탑신석의 전ㆍ후면에는 수직균열이관찰되고 좌ㆍ우면에는 박리·박락으로 인해 조각의 상당부분이 유실되어 있다. 초음파측정 및 적외선 열화상 분석을 실시하여물리적 손상도를 평가한 결과, 소요대사탑은 탑신석에 풍화양상이 집중되어 나타나며, 이미 박락이 발생한 영역의 주변으로 육안으로는 식별되지 않는 박리부가 좌면에서 6.1%, 우면에서 5.9% 확인된다. 또한 하이퍼스펙트럴 이미지 분석으로 생물학적 손상도를평가한 결과, 승탑 좌·우면의 71.8%와 79.9%가 생물에 의해 피복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생물의 활력도는 우면, 후면과 지면에서가까운 기단석에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진단결과를 종합한 결과, 향후 지속적으로 훼손이 진행될 것으로 판단되는 박리영역과생물에 대한 1차적인 보존처리와 함께 보존환경의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은 백양사 주지를 역임한 소요대사의 유업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범종의세부양식이 그대로 표현되어 있는 석종형의 승탑이다. 이 승탑...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은 백양사 주지를 역임한 소요대사의 유업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범종의세부양식이 그대로 표현되어 있는 석종형의 승탑이다. 이 승탑은 담회색의 사암으로 구성되며, 탑신석의 전ㆍ후면에는 수직균열이관찰되고 좌ㆍ우면에는 박리·박락으로 인해 조각의 상당부분이 유실되어 있다. 초음파측정 및 적외선 열화상 분석을 실시하여물리적 손상도를 평가한 결과, 소요대사탑은 탑신석에 풍화양상이 집중되어 나타나며, 이미 박락이 발생한 영역의 주변으로 육안으로는 식별되지 않는 박리부가 좌면에서 6.1%, 우면에서 5.9% 확인된다. 또한 하이퍼스펙트럴 이미지 분석으로 생물학적 손상도를평가한 결과, 승탑 좌·우면의 71.8%와 79.9%가 생물에 의해 피복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생물의 활력도는 우면, 후면과 지면에서가까운 기단석에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진단결과를 종합한 결과, 향후 지속적으로 훼손이 진행될 것으로 판단되는 박리영역과생물에 대한 1차적인 보존처리와 함께 보존환경의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병길, "항공 하이퍼스펙트럴 영상의 PCA기법 적용을 통한 토지 피복 분류 정확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2 (22): 81-88, 2014

      2 류경석,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의 재질특성 및 손상도 평가" 대한지질학회 48 (48): 521-532, 2012

      3 조영훈, "함수율과 이방성을 고려한 석조문화유산의 초음파 측정방법 설정"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0 (30): 467-480, 2014

      4 김대성, "최근 공간정보 획득 수단으로 소개되는 하이퍼스펙트럴 영상(Hyperspectral Images)이란 무엇인가?" 59 (59): 83-85, 2011

      5 이규성, "초분광 원격탐사의 특성, 처리기법 및 활용 현황" 대한원격탐사학회 21 (21): 341-369, 2005

      6 유지현, "창녕 물계서원 원정비의 재질특성 및 손상도 평가와 균열심도 측정"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0 (30): 427-438, 2014

      7 성춘경, "조선시대 소요대사부도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사학회 (20) : 209-233, 2003

      8 이찬희, "울산 반구대암각화의 손상도 및 사면안정성 평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8 (28): 153-164, 2012

      9 이성민, "숭례문 육축 석재의 비파괴진단 연구" 9 (9): 57-58, 2013

      10 이영준, "석조문화재의 풍화지수 산정을 위한 초음파속도의 평가 및 보정" 한국지구과학회 33 (33): 126-138, 2012

      1 최병길, "항공 하이퍼스펙트럴 영상의 PCA기법 적용을 통한 토지 피복 분류 정확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2 (22): 81-88, 2014

      2 류경석,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의 재질특성 및 손상도 평가" 대한지질학회 48 (48): 521-532, 2012

      3 조영훈, "함수율과 이방성을 고려한 석조문화유산의 초음파 측정방법 설정"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0 (30): 467-480, 2014

      4 김대성, "최근 공간정보 획득 수단으로 소개되는 하이퍼스펙트럴 영상(Hyperspectral Images)이란 무엇인가?" 59 (59): 83-85, 2011

      5 이규성, "초분광 원격탐사의 특성, 처리기법 및 활용 현황" 대한원격탐사학회 21 (21): 341-369, 2005

      6 유지현, "창녕 물계서원 원정비의 재질특성 및 손상도 평가와 균열심도 측정"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0 (30): 427-438, 2014

      7 성춘경, "조선시대 소요대사부도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사학회 (20) : 209-233, 2003

      8 이찬희, "울산 반구대암각화의 손상도 및 사면안정성 평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8 (28): 153-164, 2012

      9 이성민, "숭례문 육축 석재의 비파괴진단 연구" 9 (9): 57-58, 2013

      10 이영준, "석조문화재의 풍화지수 산정을 위한 초음파속도의 평가 및 보정" 한국지구과학회 33 (33): 126-138, 2012

      11 이찬희, "석조문화재 풍화도 평가를 위한 초음파 측정의 설정과 직접-간접전달방법의 상관관계"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5 (25): 233-244, 2009

      12 전유근, "석조문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하이퍼스펙트럴 이미지분석의 활용"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1 (31): 395-402, 2015

      13 조영훈, "석조문화유산의 박리검출을 위한 수동적 적외선 열화상분석의 적용성 연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9 (29): 55-67, 2013

      14 김태우, "산림지역의 항공기 탑재 하이퍼스펙트럴 영상에 대한 식생-Endmember와 식생지수의 상관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5 (15): 52-65, 2012

      15 이명성, "비파괴 기법을 이용한 태종 헌릉 신도비의 표면 훼손도 진단" 국립문화재연구소 46 (46): 90-107, 2013

      16 조지현, "봉화 북지리마애여래좌상의 비파괴 정밀진단과 사면안정성 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6 (26): 121-132, 2010

      17 문화재청, "문화재 상세정보, 보물 제1346호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

      18 전우현, "도시열섬현상 저감을 위한 토지피복온도와 정규화식생지수(NDVI) 상관분석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2

      19 이찬희, "경천사십층석탑의 암석학적 특성과 풍화훼손도" 대한지질학회 44 (44): 765-779, 2008

      20 이순영, "朝鮮後期 梵鍾型 石造浮屠의 樣式과 特徵" 한국문화사학회 (40) : 155-182, 2013

      21 Titman, D. j., "Some applications of infra-red thermography to civil engineering problems" 32 (32): 627-630, 1990

      22 Haboudane D., "Hyperspectral vegetation indices and novel algorithms for predicting green LAI of crop canopies: Modeling and validation in the context of precision agriculture" 90 : 337-352, 2004

      23 Gates and David M, "Biophysical Ecology" Springer-Verlag 611-,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