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학교생활부적응과 관련하여 구체적이고 실증적 조사를 통해 학교사회사업서비스 욕구를 탐색함으로써 청소년 복지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학교생활부적응과 관련하여 구체적이고 실증적 조사를 통해 학교사회사업서비스 욕구를 탐색함으로써 청소년 복지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
이 논문은 학교생활부적응과 관련하여 구체적이고 실증적 조사를 통해 학교사회사업서비스 욕구를 탐색함으로써 청소년 복지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 학교사회사업에 대한 연구는 교육계의 학교사회사업에 대한 인식부족과 전문영역에 대한 영역갈등과 시범사업에 대한 연구결과 객관적인 근거자료를 제시하지 못해 그 효과성을 일반화하기엔 다소 어려움을 가진다고 연구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학교생활부적응의 주요 요인인 가정환경적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교사회사업에 비해 갈등적 가정요소가 적고 결손가정이 적은 편이고 학교사업 서비스 욕구는 학교차원, 지역사회차원, 가정차원의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고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가정차원과 지역사회차원의 서비스를 일반계 고등학생은 학교차원의 서비스 요구가 높았다. 또한 결손가정의 고등학생들은 가정차원의 서비스욕구가 놓았다. 결과적으로 가정환경의 갈등경험이 적은 학생일수록 학교차원의 서비스 욕구가 높고, 갈등경험이 많은 학생은 가정차원의 서비스나 지역사회차원의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많았다. 그리하여 학교사회사업 서비스 프로그램을 계획하거나 청소년 프로그램을 구성할때는 가족해체 문제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빈곤청소년에 대한 개입전략을 단순경제지원보다는 다원화한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한 정서적 지원 프로그램의 실시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청소년의 문제해결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웍 구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